$\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SNS 빅데이터 분석을 활용한 국립과학관에 대한 이미지 분석과 경영전략 제안
Image Analysis and Management Strategy for The National Science Museum Utilizing SNS Big Data Analysis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21 no.1, 2020년, pp.81 - 89  

신성연 (국민체육진흥공단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대중들이 지각하는 과학관에 대한 인식의 분석을 바탕으로 효과적인 과학관 경영전략을 제시하는 것이며, 이를 위해 연구문제들을 설정하여 분석을 진행하였다. 자료의 수집과 분석은 질적연구방법과 양적연구방법을 융합하여 이미지 분석에 대한 새로운 접근방식을 통해 진행되었다. 먼저 면담(Interviewing)을 통한 질적연구방법을 통해 면접 대상자들(대학생, 대학원생 및 일반인)로부터 과학이라는 개념에 대한 이미지를 도출한 후 텍스트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국립과학관과 관련하여 국내 대형 포털사이트 검색결과 중 블로그 포스팅 12,920건의 제목에서 추출한 63,987개의 단어에 대한 LDA기반 토픽 모델링(Latent Dirichlet Allocation Topic modeling)을 통한 양적연구방법을 융합하여 연구가 진행되었다. 분석결과, 응답자 특성에 따라 과학에 대한 인식은 차이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국립과학관에 대한 포털사이트 검색결과는 20개의 토픽으로 도출되었고 7개의 요인으로 분류되었다. 본 연구의 결론에는 이에 대한 논의와 과학관 경영전략을 제시하고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science consumers' perceptions of the National Science Museum and suggest effective management strategies for the museum. Research questions were established and the analyses were conducted to achieve the research goals. The collection and analysis of the ...

주제어

표/그림 (6)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다음의 연구문제를 설정하고 연구문제에 대한 해결과정을 통해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첫째, 과학에 대한 대중의 인식은 무엇인가?: 과학 소비자들이 과학에 대해 가지고 있는 가치와 인식을 확인하여 과학이 대중에게 어떻게 인식되고 있는지를 확인하고자 한다.
  • 둘째, 과학관에 대한 대중의 이미지는 무엇인가?: 과학과 대중의 접점인 과학관에 대해 과학소비자들이 어떠한 이미지를 형성하고 있는지를 확인하여 과학이라는 가치가 생산자나 제공자가 아닌 수용자의 관점에서 어떠한 포지셔닝을 형성하고 있는지 확인 하고자 한다. 셋째, 과학의 유통경로에서 가치를 제공하는 과학관이 수행해야 될 역할은 무엇인가?: 앞서 제시된 연구문제들에 대한 분석을 바탕으로 과학관의 새로운 역할을 제시함으로써 보다 많은 사람들이 과학에 대한 소비를 통해 과학적 앎이나 지식 획득의 즐거움이라는 가치를 경험할 수 있도록 하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 둘째, 과학관에 대한 대중의 이미지는 무엇인가?: 과학과 대중의 접점인 과학관에 대해 과학소비자들이 어떠한 이미지를 형성하고 있는지를 확인하여 과학이라는 가치가 생산자나 제공자가 아닌 수용자의 관점에서 어떠한 포지셔닝을 형성하고 있는지 확인 하고자 한다. 셋째, 과학의 유통경로에서 가치를 제공하는 과학관이 수행해야 될 역할은 무엇인가?: 앞서 제시된 연구문제들에 대한 분석을 바탕으로 과학관의 새로운 역할을 제시함으로써 보다 많은 사람들이 과학에 대한 소비를 통해 과학적 앎이나 지식 획득의 즐거움이라는 가치를 경험할 수 있도록 하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 최근에는 대중들의 특정 대상에 대한 태도 형성에 구전(word-of-mouth)을 의미하는 후기나 특정 제품 및 서비스에 대한 게시글과 같은 SNS가 큰 영향력을 미치며, 개인 간의 소통 역시 SNS를 이용하는 빈도가 높아지고 있다[17-18].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LDA 토픽 모델링을 통해 SNS 게시물에 대한 텍스트 분석을 실시하여 과학 소비자들이 과학관에 대해 형성하고 있는 이미지를 도출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다음의 연구문제를 설정하고 연구문제에 대한 해결과정을 통해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첫째, 과학에 대한 대중의 인식은 무엇인가?: 과학 소비자들이 과학에 대해 가지고 있는 가치와 인식을 확인하여 과학이 대중에게 어떻게 인식되고 있는지를 확인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대중이 과학에 대해 가지고 있는 인식을 확인하고 과학관에 대해 형성하고 있는 이미지를 분석하여 효과적인 과학관 경영전략을 도출하고자 세 개의 연구문제들을 설정하여 이에 대한 해답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가 가지는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에서는 특정 과학분야를 전공하거나 관련업계에 종사하지 않는 일반시민들을 과학소비자로 정의하고, 과학소비자들이 과학에 대해 가지는 관심의 수준을 규명하여 이를 바탕으로 효과적인 과학관 경영전략을 제시하고자 한다.
  • 셋째, 본 연구에서는 융합적인 관점에서 다양한 연구방법을 활용하여 과학관에 대한 이미지를 분석하고자 하였으며, 과학계열과 비과학계열 집단 간의 과학에 대한 이미지 차이의 존재가능성을 제시하였다. 후속 연구에서는 과학 소비자의 특성에 따른 인식의 차이와 과학관 방문 및 비방문 고객들을 대상으로 양적연구를 통해 검증한다면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결과의 일반화 수준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이에 대한 대안으로 본 연구에서는 잠재 디리클레 할당(Latent Dirichlet Allocation: LDA)에 기반 한 토픽 모델링(Topic Modeling)을 제시하고자 한다. 토픽 모델링은 텍스트 마이닝의 한 방법으로 구조화된 텍스트 자료는 물론 비구조화된 다양한 원천으로부터 정보를 수집하여 수집된 자료로부터 특정 토픽들을 추출해내는 기법이다[12-16].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과학과 교양을 이분법적으로 구분하는 것이 의미가 없는 이유는 무엇인가? 과학과 교양에 대한 사전적 의미는 두 개념에 대해 서로 다른 정의를 가지고 있지만 앞서 언급된 것과 같이 현실세계에서는 과학의 발전을 통해 인간의 삶과 문화가 영향을 받기 때문에 과학과 교양을 이분법적으로 구분하는 것은 큰 의미가 없다. 하지만 우리사회에서는 아직까지 과학과 교양을 뚜렷하게 구분하는 경향이 있는데 대표적인 사례가 바로 대학교육과정이다[2].
시민들은 과학전시관을 찾으려하지 않는다. 논문이 제시하는 그 이유는 무엇일까? 이는 본 연구의 결과에 한정되어 있기는 하지만 대중의 인식에서 과학관은 성인보다는 어린이나 학생을 위한 체험 또는 교육의 일부로 자리매김하고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또한, 이 같은 결과를 근거로 과학관 방문을 포함한 소비활동에는 어린 자녀의 체험이 주요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음을 추론할 수 있다.
교양이란 무엇인가? 과학과 교양이라는 단어는 얼핏 보면 상반된 뜻을 가진 것처럼 보이지만, 우리의 삶을 풍요롭게 함에 있어서 필수적인 요소라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1]. 그렇다면 과학과 교양의 경계선은 어디에 있는가? 국립국어원 표준어대사전에서는 ‘교양’을 “학문, 지식, 사회생활을 바탕으로 이루어지는 품위 또는 문화에 대한 폭넓은 지식”으로 정의하고 있다. 그리고 ‘과학’은 “보편적인 진리나 법칙의 발견을 목적으로 한 체계적인 지식”으로 정의하고 있으며 넓은 뜻으로는 학(學)을 말하고, 협의로는 자연 과학을 뜻한다는 설명을 보충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S. Hong, M. Seo, H. Jang, J. Hyeon, Twenty-one century liberal arts science technology and society. p.1-504, Namu, 2016. 

  2. W. S. Kim, J. S. Chung, D. Lee, E. Kim, H. Y. Kim, Y. K. Kwon, B. Lee, "Exploring the goals and contents of integrated science as a liberal arts education in universities", The Korean Association of General Education, Vol.13, No.2, pp.57-90, Apr. 2019. 

  3. H. Kim, E. Lee, Y. Joo, "Analysis of the current situation of science as liberal art in liberal arts education - Focus on the major universities of the metropolitan area", The Korean Association of General Education, Vol.11, No.2, pp.373-411, Apr. 2017. 

  4. Y. Choi, Seoul National University to learn certain liberal arts, MIT picks out of hundreds [Internet]. Dong-A Ilbo, 2018 [cited 2018 September 27], Available From: https://bizn.donga.com/3/all/20170403/83654954/2 (accessed Sep. 27, 2018) 

  5. J. Ryu, M. J. Kim, "Linking school curriculum with education in science museum", Inha Educational Research Institute, Vol.22, No.3, pp.73-98, Jun. 2016. 

  6. J. W. Moon, J. Na,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ception and the status of education program on science museum field trips", The Korean Society of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Vol.38, No.1, pp.87-101, Feb. 2019. DOI: http://dx.doi.org/10.15267/keses.2019.38.1.87 

  7. J. Kim, J. Park, "Scientifically talented students' image of science museums and their preferred topics for exhibits-focused on students in Gwangju city",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Vol.33, No.7, pp.1431-1449, Dec. 2013. DOI: http://dx.doi.org/10.14697/jkase.2013.33.7.1431 

  8. J. Lim, B, Lee. "Aanalysis of students' behavior patters in science museums according to watching rate and watching hour: Focused on the basic science hall in Gwacheon national science museum", Journal of Research in Curriculum and Instruction, Vol.18, No.4, pp.1011-1032, Dec. 2014. DOI: https://dx.doi.org/10.24231/rici.2014.18.4.1011 

  9. H. Brits, L. du Plessis, "Application of focus group interviews for quality management: An action research project", Systemic Practice and Action Research, Vol.20, No.2, pp.117-126, Apr. 2007. DOI: https://dx.doi.org/10.1007/s11213-006-9054-0 

  10. J. Lee, D. Sohn, Y. S. Choi, M. Park, J. Min, "A study on the factors of the hardware cost estimation for service robot development",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19, No.5, pp.35-44, May. 2018. DOI: https://dx.doi.org/10.5762/KAIS.2018.19.5.35 

  11. T. I. Kim, S. J. H. Seo, "A critical review of survey method in public policy studies", The Korean Association For Public Administration, Vol.32, No.3, pp.199-215, Dec. 1998. 

  12. D. M. Blei, A. Y. Hg, M. L. Jordan, "Latent dirichlet allocation", Journal of Machine Learning Research, Vol.3, pp.993-1022, Jan. 2003. 

  13. G. Miner, J. Elder, A., Fast, T. Hill, R. Nisbet, D. Delen. Practical text mining and statistical analysis for non-structured text data applications, Elsevier, 2012. DOI: https://dx.doi.org/10.1007/s11213-006-9054-0 

  14. C. H. Nam, "An illustrative application of topic modeling method to a farmer's diary", Institute of Cross-Cultural Studies, Vol.22, No.1, pp.89-135, Jan. 2016. 

  15. S. G. Lee, "A study on the trends of construction safety accident in unstructured text using topic modeling",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19, No.10, pp.176-182, Oct. 2018. DOI: https://dx.doi.org/10.5762/KAIS.2018.19.10.176 

  16. T. K. Kim, H. R. Choi, H. C. Lee, "A study on the research trends in fintech using topic modeling",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17, No.11, pp.670-681, Nov. 2016. DOI: http://dx.doi.org/10.5762/KAIS.2016.17.11.670 

  17. D. An, S. Kim, "Attitudes toward SNS advertising : A comparison of Blog, Twitter, Facebook, and YouTube", The Korean Journal Of Advertising, Vol.23, No.3, pp.53-84, Apr. 2012. DOI: http://dx.doi.org/10.5762/KAIS.2016.17.11.670 

  18. J. H. Hong, "The detection of public opinion and public opinion cycle via aggregated twitter opinion and sentiment", Korean Journal of Communication Studies, Vol.19, No.3, pp.5-29, Aug. 2011. 

  19. J. C. Lee, J. A. Oh, "A study on analysis for accuracy of knowledge and information related to society and history on internet knowledge search service program: For situation of NAVER KNOWLEDGE iN and DAUM KNOWLEDGE", Survey Research, Vol.15, No.2, pp.149-186, May. 2014. 

  20. J. A. Seol, "A comparative study of internet search engines: Naver versus Google", Journal of Communication Science, Vol.11, No.1, pp.157-186, Mar. 2011.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