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소 단어 이상 선택하여야 합니다.
최대 10 단어까지만 선택 가능합니다.
다음과 같은 기능을 한번의 로그인으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NTIS 바로가기대한물리의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physical medicine, v.14 no.1, 2019년, pp.139 - 150
이지은 (단국대학교 대학원 운동의과학과) , 이호성 (단국대학교 대학원 운동의과학과)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effects of treadmill gait training with obstacle-crossing on the static and dynamic balance ability of patients with post stroke hemiplegia. METHODS: Twenty-one patients with post stroke hemiplegia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as: treadmill gait t...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핵심어 | 질문 |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
---|---|---|
장애물 훈련이 편마비 환자의 재활프로그램에 트레드밀 보행 훈련과 더불어 필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 한편, Hwang 등[18]의 연구에 의하면, 대부분의 트레드밀 보행 훈련은 일상생활과 지역사회에서의 환경처럼 다양한 물리적 장애물을 반영한 것이 아니라 임상적으로 조절 및 통제를 통한 환경에서 훈련이 이루어졌다고 주장하였으며, Park 등[19]은 트레드밀 보행 훈련의 다리만 반복적으로 움직이는 단순 동작의 기능적인 의문점을 제시하면서 지역사회와 유사한 환경 및 상황에서의 반복적인 보행 훈련을 실시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주장하였다. 이에 Shumway-Cook 등[20]은 지역사회 보행을 위해 필수적인 조건은 불규칙한 지면, 경사로, 계단 및 문턱과 같은 장애물 넘기에 대한 이동 능력이라고 하였다. | |
편마비가 무엇인가? | 뇌졸중의 후유 장애는 뇌의 손상 정도와 부위에 따라 다르지만 가장 흔히 발생하는 후유 장애는 편마비이다[1]. 편마비는 뇌병변 반대쪽의 팔 다리 근육이 약화되는 증상이며[2], 감소된 운동 능력에 따라 불안정한 안정성 지수, 비정상적인 체중분포 및 자세 조절의 어려움 등의 균형 장애가 나타난다[3]. 편마비 환자(patients with post stroke hemiplegia)는 선 자세에서 신체 중심을 마비측으로 옮기는 능력이 많이 저하되며, 이는 균형 능력의 비대칭성을 일으키고 체중이 한쪽으로 치우치는 결과를 초래한다[4]. | |
트레드밀 보행 훈련이 편마비 환자의 균형 능력 향싱을 위해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이유는 무엇인가? | 선행연구에 의하면, 편마비 환자의 균형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운동 치료 방법으로 근육 강화 운동과 비마비측 보상 운동[9], 과제 훈련[10], 체중 이동 훈련[11], 장애물 훈련[12], 트레드밀 보행 훈련[13] 등 많이 보고되고 있으며, 그 중 트레드밀 보행 훈련이 많이 적용되고 있다. Dobkin [14]은 트레드밀 보행 훈련은 서있는 자세의 유지만을 위한 치료가 아니라 자세 조절과 균형 능력 훈련에 긍정적이라고 보고하였으며, 트레드밀 보행 훈련은 동적인 움직임에 대해 자세 및 균형을 유지하기 위하여 편마비 환자들의 다리 관절이 자연스럽게 움직이게 되어 균형 능력과 균형 조절 능력에 긍정적이라고 보고하였다[15]. 또한 Winter [16]은 트레드밀 보행 훈련은 반복적인 보행 훈련이기 때문에 체중지지 능력과 균형 능력에 긍정적이라고 보고하였으며, 편마비 환자의 트레드밀 보행 훈련은 보행 시 마비측의 체중 지지 시간을 연장시켜 자세의 대칭성을 향상시키는 효과적인 훈련이라고 보고하였다[17]. |
Kwakkel G, Kollen B. Predicting improvement in the upper paretic limb after stroke: a longitudinal prospective study. Restor Neurol Neurosci. 2007;25(5-6):453-60.
Langhorne P, Bernhardt J, Kwakkel G. Stroke rehabilitation. The Lancet. 2011;377(9778):1693-702.
Lum P, Reinkensmeyer D, Mahoney R, et al. Robotic devices for movement therapy after stroke: current status and challenges to clinical acceptance. Top Stroke Rehabil. 2002;8(4):40-53.
Hwang EO, Oh DW, Kim SY. Community ambulation in patients with chronic post-stroke hemiparesis : Comparison of walking variables in five different community situations. Journal of Korean Physical Therapy Science. 2009;16(1):31-9.
Carr JH, Shepherd RB. Stroke rehabilitation guidelines for exercise and training to optimize omtor skill. Butterworth-Heinemann Medical. 2003.
Chung CS, Yoon TJ, Yu YJ, et al. Analysis of kinematics and EMG on steeping over ostacles in elderly persons. Korean J Phys Educ. 2004;43:423-436.
Kim SN, Lee SH, Cheon YJ, et al. Crossing obstacles of different heights in hemiplegic stroke patients.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rehabilitation medicine. 2009;33(6):668-674.
Cha HG, JI S. The effects of community ambulation training on muscle activity of the lower extremities and dynamic balance ability, gait scale in stroke patients. Institute of Special Education & Rehabilitation Science. 2012;51(51):159-75.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원문 PDF 파일 및 링크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KISTI DDS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원문복사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