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장애물 넘기 트레드밀 보행 훈련이 편마비 환자의 정적 및 동적 균형 능력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readmill Gait Training with Obstacle-Crossing on Static and Dynamic Balance Ability in Patients with Post Stroke Hemiplegia 원문보기 논문타임라인

대한물리의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physical medicine, v.14 no.1, 2019년, pp.139 - 150  

이지은 (단국대학교 대학원 운동의과학과) ,  이호성 (단국대학교 대학원 운동의과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effects of treadmill gait training with obstacle-crossing on the static and dynamic balance ability of patients with post stroke hemiplegia. METHODS: Twenty-one patients with post stroke hemiplegia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as: treadmill gait 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는 장애물 훈련이 편마비 환자의 자세 조절과 관련된 균형 능력개선에 중요하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생각된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장애물 넘기 트레드밀 보행 훈련이 일상생활에서 흔히 발견될 수 있는 장애물 환경에서의 훈련으로 편마비 환자의 FHI를 증가시켰다고 생각된다.
  • 이에 이 연구에서는 대조 집단 및 트레드밀 보행 훈련 집단과 비교하여 장애물 넘기 트레드밀 보행 훈련집단이 정적 및 동적 균형 능력을 유의하게 개선시킬 것이라는 가설을 세워서 실제로 편마비 환자를 대상으로 8주간의 장애물 넘기 트레드밀 보행 훈련이 정적 및 동적 균형 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를 밝히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장애물 훈련이 편마비 환자의 재활프로그램에 트레드밀 보행 훈련과 더불어 필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한편, Hwang 등[18]의 연구에 의하면, 대부분의 트레드밀 보행 훈련은 일상생활과 지역사회에서의 환경처럼 다양한 물리적 장애물을 반영한 것이 아니라 임상적으로 조절 및 통제를 통한 환경에서 훈련이 이루어졌다고 주장하였으며, Park 등[19]은 트레드밀 보행 훈련의 다리만 반복적으로 움직이는 단순 동작의 기능적인 의문점을 제시하면서 지역사회와 유사한 환경 및 상황에서의 반복적인 보행 훈련을 실시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주장하였다. 이에 Shumway-Cook 등[20]은 지역사회 보행을 위해 필수적인 조건은 불규칙한 지면, 경사로, 계단 및 문턱과 같은 장애물 넘기에 대한 이동 능력이라고 하였다.
편마비가 무엇인가? 뇌졸중의 후유 장애는 뇌의 손상 정도와 부위에 따라 다르지만 가장 흔히 발생하는 후유 장애는 편마비이다[1]. 편마비는 뇌병변 반대쪽의 팔 다리 근육이 약화되는 증상이며[2], 감소된 운동 능력에 따라 불안정한 안정성 지수, 비정상적인 체중분포 및 자세 조절의 어려움 등의 균형 장애가 나타난다[3]. 편마비 환자(patients with post stroke hemiplegia)는 선 자세에서 신체 중심을 마비측으로 옮기는 능력이 많이 저하되며, 이는 균형 능력의 비대칭성을 일으키고 체중이 한쪽으로 치우치는 결과를 초래한다[4].
트레드밀 보행 훈련이 편마비 환자의 균형 능력 향싱을 위해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이유는 무엇인가? 선행연구에 의하면, 편마비 환자의 균형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운동 치료 방법으로 근육 강화 운동과 비마비측 보상 운동[9], 과제 훈련[10], 체중 이동 훈련[11], 장애물 훈련[12], 트레드밀 보행 훈련[13] 등 많이 보고되고 있으며, 그 중 트레드밀 보행 훈련이 많이 적용되고 있다. Dobkin [14]은 트레드밀 보행 훈련은 서있는 자세의 유지만을 위한 치료가 아니라 자세 조절과 균형 능력 훈련에 긍정적이라고 보고하였으며, 트레드밀 보행 훈련은 동적인 움직임에 대해 자세 및 균형을 유지하기 위하여 편마비 환자들의 다리 관절이 자연스럽게 움직이게 되어 균형 능력과 균형 조절 능력에 긍정적이라고 보고하였다[15]. 또한 Winter [16]은 트레드밀 보행 훈련은 반복적인 보행 훈련이기 때문에 체중지지 능력과 균형 능력에 긍정적이라고 보고하였으며, 편마비 환자의 트레드밀 보행 훈련은 보행 시 마비측의 체중 지지 시간을 연장시켜 자세의 대칭성을 향상시키는 효과적인 훈련이라고 보고하였다[1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0)

  1. Kwakkel G, Kollen B. Predicting improvement in the upper paretic limb after stroke: a longitudinal prospective study. Restor Neurol Neurosci. 2007;25(5-6):453-60. 

  2. Langhorne P, Bernhardt J, Kwakkel G. Stroke rehabilitation. The Lancet. 2011;377(9778):1693-702. 

  3. Kelley RE, Borazanci AP. Stroke rehabilitation. Neurological research. 2009;31(8):832-40. 

  4. Eng JJ, Chu KS. Reliability and comparison of weight-bearing ability during standing tasks for individuals with chronic stroke. Arch Phys Med Rehabil. 2002;83(8):1138-44. 

  5. Bean J, Herman S, Kiely DK, et al. Weighted stair climbing in mobility-limited older people: a pilot study. J Am Geriatr Soc. 2002;50(4):663-70. 

  6. Nyberg L, Gustafson Y. Patient falls in stroke rehabilitation. A challenge to rehabilitation strategies. Stroke. 1995;26(5):838-42. 

  7. Duncan PW, Weiner DK, Chandler J, et al. Functional reach: a new clinical measure of balance. J Gerontol. 1990;45(6):M192-7. 

  8. Maguire C, Sieben JM, Frank M, et al. Hip abductor control in walking following stroke -- the immediate effect of canes, taping and TheraTogs on gait. Clin Rehabil. 2010;24(1):37-45. 

  9. Weiss A, Suzuki T, Bean J, et al. High intensity strength training improves strength and functional performance after stroke. American journal of physical medicine & rehabilitation. 2000;79(4):369-376. 

  10. Bayouk JF, Boucher JP, Leroux A. Balance training following stroke: effects of task-oriented exercises with and without altered sensory input. International Journal of Rehabilitation Research. 2006;29(1):51-59. 

  11. Taube W, Gruber M, Gollhofer A. Spinal and supraspinal adaptations associated with balance training and their functional relevance. Acta Physiologica. 2008;193(2):101-116. 

  12. Said CM, Goldie PA, Patla AE, et al. Effect of stroke on step characteristics of obstacle crossing. Archives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2001;82(12):1712-1719. 

  13. Ivey FM, Hafer-Macko CE, Macko RF. Task-oriented treadmill exercise training in chronic hemiparetic stroke. Journal of rehabilitation research and development. 2008;45(2):249. 

  14. Dobkin BH. Strategies for stroke rehabilitation. The Lancet. Neurology. 2004;3(9):528-36. 

  15. Lum P, Reinkensmeyer D, Mahoney R, et al. Robotic devices for movement therapy after stroke: current status and challenges to clinical acceptance. Top Stroke Rehabil. 2002;8(4):40-53. 

  16. Winter DA. Biomechanics of normal and pathological gait: implications for understanding human locomotor control. J Mot Behav. 1989;21(4):337-55. 

  17. Hesse S, Konrad M, Uhlenbrock D. Treadmill walking with partial body weight support versus floor walking in hemiparetic subjects. Arch Phys Med Rehabil. 1999;80(4):421-7. 

  18. Hwang EO, Oh DW, Kim SY. Community ambulation in patients with chronic post-stroke hemiparesis : Comparison of walking variables in five different community situations. Journal of Korean Physical Therapy Science. 2009;16(1):31-9. 

  19. Park HJ, Oh DW, Kim SY, et al. Effectiveness of community-based ambulation training for walking function of post-stroke hemiparesis: a randomized controlled pilot trial. Clin Rehabil. 2011;25(5):451-9. 

  20. Shumway-Cook A, Patla AE, Stewart A, et al. Environmental demands associated with community mobility in older adults with and without mobility disabilities. Phys Ther. 2002;82(7):670-81. 

  21. Lu TW, Yen HC, Ehen HL. Comparisons of the inter-joint coordination between leading and trailing limbs when crossing obstacles of different heights. Gait & posture. 2008;27(2);309-315. 

  22. Carr JH, Shepherd RB. Stroke rehabilitation guidelines for exercise and training to optimize omtor skill. Butterworth-Heinemann Medical. 2003. 

  23. Chung CS, Yoon TJ, Yu YJ, et al. Analysis of kinematics and EMG on steeping over ostacles in elderly persons. Korean J Phys Educ. 2004;43:423-436. 

  24. Kim SN, Lee SH, Cheon YJ, et al. Crossing obstacles of different heights in hemiplegic stroke patients.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rehabilitation medicine. 2009;33(6):668-674. 

  25. Chen HC, Ashton-Miller JA, Alexander NB, et al. Stepping over obstacles: gait patterns of healthy young and old adults. J Gerontol. 1991;46(6):M196-203. 

  26. Amatachaya S, Thaweewannakij T, Adirek-udomrat J, et al. Factors related to obstacle crossing in independent ambulatory patients with spinal cord injury. J Spinal Cord Med. 2010;33(2):144-9. 

  27. Kohen Raz R. Application of tetra-ataxiametric posturography in clinical and developmental diagnosis. Perceptual and motor skills. 1991;73(2):635-56. 

  28. Berg K, Wood-Dauphine S, Williams JI, et al., Measuring balance in the elderly: preliminary development of an instrument. Physiotherapy Canada. 1989;41(6):304-11. 

  29. Stevenson TJ. Detecting change in patients with stroke using the Berg Balance Scale. Aust J Physiother. 2001;47(1):29-38. 

  30. Liston RA, Brouwer BJ. Reliability and validity of measures obtained from stroke patients using the Balance Master. Arch Phys Med Rehabil. 1996;77(5):425-30. 

  31. Podsiadlo D, Richardson S. The timed "Up & Go": a test of basic functional mobility for frail elderly persons. J Am Geriatr Soc. 1991;39(2):142-8. 

  32. Heung TH, Ng SS. Effect of seat height and turning direction on the timed up and go test scores of people after stroke. J Rehabil Med. 2009;41(9):719-22. 

  33. Ng SS, Hui-Chan CW. The timed up & go test: its reliability and association with lower-limb impairments and locomotor capacities in people with chronic stroke. Arch Phys Med Rehabil. 2005;86(8):1641-7. 

  34. Winstein CJ, Gardner ER, McNeal DR, et al. Standing balance training: effect on balance and locomotion in hemiparetic adults. Arch Phys Med Rehabil. 1989;70(10):755-62. 

  35. Dickstein R, Nissan M, Pillar T, et al. Foot-ground pressure pattern of standing hemiplegic patients. Major characteristics and patterns of improvement. Phys Ther. 1984;64(1):19-23. 

  36. Goldie PA, Matyas TA, Evans OM, et al. Maximum voluntary weight-bearing by the affected and unaffected legs in standing following stroke. Clin Biomech (Bristol, Avon). 1996;11(6):333-42. 

  37. Franceschini M, Carda S, Agosti M, et al. Walking after stroke: what does treadmill training with body weight support add to overground gait training in patients early after stroke? : a single-blind, randomized, controlled trial. Stroke. 2009;40(9):3079-85. 

  38. Dietz V. Body weight supported gait training: from laboratory to clinical setting. Brain Res Bull. 2008;76(5):459-63. 

  39. Kim CM, Lee HJ, Choi MS, et al. The Effects of Circuit Obstacle Group Gait Training on Gait and Emotion in Stroke Patients. J Korean Soc Phys Med. 2012;7(1):125-35. 

  40. Cha HG, JI S. The effects of community ambulation training on muscle activity of the lower extremities and dynamic balance ability, gait scale in stroke patients. Institute of Special Education & Rehabilitation Science. 2012;51(51):159-75.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