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Consideration of the Exercise position for Facilitating Gluteus Medius Maximally in Normal Adults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n Physical Therapy : JKPT = 대한물리치료학회지, v.31 no.1, 2019년, pp.62 - 66  

Park, Sung Jin (Department of Physical Therapy, Yeungnam University College) ,  Park, Ji Won (Department of Physical Therapy, College of Bio and Medical Science, Daegu Catholic University) ,  Kwon, Yonghyun (Department of Physical Therapy, Yeungnam University College)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examined the most efficient exercise position to activate the gluteus medius (GM) and tensor fascia latae (TFL) in hip abduction in side-lying (HA-SL), clam in side-lying (CL-SL), and sling bridging in side-lying (SB-SL), which are the most representative GM exercises. Methods: 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특히, 중간볼기근은 일차적인 엉덩관절의 외전 역할을 담당하고, 외전근 중에서 가장 큰 근육으로 전체 횡단 면적의 60%를 차지하고 있다. 12 이로 인해 많은 연구들이 가장 효과적인 외전 운동을 찾기 위해 일상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운동이나 그 운동 방법의 단점을 보완할 수 있는 응용 동작을 만들기 위해 노력하였고, 또한 어떤 운동이 가장 효과적으로 중간볼기근을 활성화 시킬 수 있는지에 대해 연구하였다. 13-15 특히 Distefano 등 16과 Selkowitz 등 17 은 각각 11가지, 12가지 중간볼기근 활성화 운동중 옆으로 누운 자세에서 엉덩관절 외전운동(hip abduction in side-lying, HA-SL)이 가장 많은 활성화가 나타난다고 보고하였으며, Jang 18 은 클램운동(clam exercise in side-lying, CL-SL)이 중간볼기근 활성에 가장 효과적인 운동이라 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는 중간볼기근 수축의 대표적인 운동인 HA-SL운동, CL-SL운동, SB-SL운동을 선별하여, 넙다리근막긴장근을 고려한 중간볼기근에 어떤 운동 방법이 가장 효과적인지를 연구하였다.
  • 본 연구 결과는 정상 성인에 국한되며, 엉덩관절의 기능 이상이 있는 환자에게 적용하기에 한계점이 있고 심부 근육을 측정할 수 없는 표면 근전도의 제한점으로 인해 총체적인 근육군들의 분석이 현실 적으로 불가능한 단점이 있었다. 본 연구는 가장 대표적 중간볼기근 운동인 HA-SL, CL-SL, SB-SL 중에서 넙다리근막긴장근을 제외한 가장 효과적인 중간볼기근 운동을 상대적으로 실험하고 비교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상대적으로 가장 효율이 뛰어난 운동은 SB-SL이었으며, HA-SL 운동 또한 효율적이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본 연구에서는 중간볼기근의 안정화 개선을 위하여 중간볼기근 운동의 가장 대표적인 세 가지 운동인 HA-SL, CL-SL, SB-SL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운동군 간의 근활성도는 중간볼기근과 넙다리근막긴장근 모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엉덩근의 약화는 무엇인가? 엉덩근의 약화는 상지의 부상, 엉덩정강띠 통증 증후군(patellofemoral pain syndrome), 엉덩정강띠 마찰 증후군(iliotibial band friction syndrome), 요통, 앞십자인대의 염좌 그리고 만성 발목불안정성과 연관이 있다. 1-4 엉덩정강띠 통증 증후군과 장경인대 마찰 증후군은 넙다리뼈의 내전과 내회전, 무릎의 외반슬과 목말밑관절의 회내를 유발 한다.
중간볼기근은 무엇인가? 중간볼기근은 대표적인 엉덩관절 외전근으로서 골반의 엉덩뼈능선에서 대퇴골의 큰돌기로 연결되는 부채꼴 모양의 근육으로 엉덩관절의 외전, 신전, 외회전 동작을 한다. 특히, 중간볼기근은 일차적인 엉덩관절의 외전 역할을 담당하고, 외전근 중에서 가장 큰 근육으로 전체 횡단 면적의 60%를 차지하고 있다.
특정한 움직임의 수행에 어려움을 겪고 방어적 행동으로 자세의 불균형을 초래하게 되는 부위는? 엉덩근의 약화는 상지의 부상, 엉덩정강띠 통증 증후군(patellofemoral pain syndrome), 엉덩정강띠 마찰 증후군(iliotibial band friction syndrome), 요통, 앞십자인대의 염좌 그리고 만성 발목불안정성과 연관이 있다. 1-4 엉덩정강띠 통증 증후군과 장경인대 마찰 증후군은 넙다리뼈의 내전과 내회전, 무릎의 외반슬과 목말밑관절의 회내를 유발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Cichanowski HR, Schmitt JS, Johnson RJ et al. Hip strength in collegiate female athletes with patellofemoral pain. Med Sci Sports Exerc. 2007;39(8):1227-32. 

  2. Friel K, McLean N, Myers C et al. Ipsilateral hip abductor weakness after inversion ankle sprain. J Athl Train. 2006;41(1):74-8. 

  3. Hewett TE, Myer GD, Ford KR. Anterior cruciate ligament injuries in female athletes: Part 1, mechanisms and risk factors. Am J Sports Med. 2006;34(2):299-311. 

  4. Robinson RL, Nee RJ. Analysis of hip strength in females seeking physical therapy treatment for unilateral patellofemoral pain syndrome. J Orthop Sports Phys Ther. 2007;37(5):232-8. 

  5. Ford KR, Myer GD, Toms HE et al. Gender differences in the kinematics of unanticipated cutting in young athletes. Med Sci Sports Exerc. 2005;37(1):124-9. 

  6. Fredericson M, Cookingham CL, Chaudhari AM et al. Hip abductor weakness in distance runners with iliotibial band syndrome. Clin J Sport Med. 2000;10(3):169-75. 

  7. Earl JE, Hoch AZ. A proximal strengthening program improves pain, function, and biomechanics in women with patellofemoral pain syndrome. Am J Sports Med. 2011;39(1):154-63. 

  8. Fukuda TY, Rossetto FM, Magalhaes E et al. Short-term effects of hip abductors and lateral rotators strengthening in females with patellofemoral pain syndrome: a randomized controlled clinical trial. J Orthop Sports Phys Ther. 2010;40(11):736-42. 

  9. Wagner T, Behnia N, Ancheta WK et al. Strengthening and neuromuscular reeducation of the gluteus maximus in a triathlete with exercise-associated cramping of the hamstrings. J Orthop Sports Phys Ther. 2010;40(2):112-9. 

  10. Granat MH, Maxwell DJ, Ferguson AC et al. Peroneal stimulator; evaluation for the correction of spastic drop foot in hemiplegia. Arch Phys Med Rehabil. 1996;77(1):19-24. 

  11. Lebangie PK, Norkin CC. Joint structure and function: A comprehensive analysis. 5th, Philadelphia, F.A. Davis Company, 2011. 

  12. Clark JM, Haynor DR. Anatomy of the abductor muscles of the hip as studied by computed tomography. J Bone Joint Surg Am. 1987;69(7):1021-31. 

  13. Boudreau SN, Dwyer MK, Mattacola CG et al. Hip-muscle activation during the lunge, single-leg squat, and step-up-and-over exercises. J Sport Rehabil. 2009;18(1):91-103. 

  14. Ekstrom RA, Donatelli RA, Carp KC. Electromyographic analysis of core trunk, hip, and thigh muscles during 9 rehabilitation exercises. J Orthop Sports Phys Ther. 2007;37(12):754-62. 

  15. McBeth JM, Earl-Boehm JE, Cobb SC et al. Hip muscle activity during 3 side-lying hip-strengthening exercises in distance runners. J Athl Train. 2012;47(1):15-23. 

  16. Distefano LJ, Blackburn JT, Marshall SW et al. Gluteal muscle activation during common therapeutic exercises. J Orthop Sports Phys Ther. 2009;39(7):532-40. 

  17. Selkowitz DM, Beneck GJ, Powers CM. Which exercises target the gluteal muscles while minimizing activation of the tensor fascia lata? Electromyographic assessment using fine-wire electrodes. J Orthop Sports Phys Ther. 2013;43(2):54-64. 

  18. Jang PH. Electromyographic analysis of gluteus medius and gluteus maximus during 20 exercises. Dankook University, Dissertation of Master's degree. 2015. 

  19. Chun DC. Comparison of gluteus medius activity according to the posture of hip abduction exercise. Daegu Catholic University, Dissertation of Master's degree. 2014. 

  20. Kwak SD, Ahmad CS, Gardner TR et al. Hamstrings and iliotibial band forces affect knee kinematics and contact pattern. J Orthop Res. 2000;18(1):101-8. 

  21. Powers CM. The influence of abnormal hip mechanics on knee injury: A biomechanical perspective. J Orthop Sports Phys Ther. 2010;40(2):42-51. 

  22. Soderberg GL, Dostal WF. Electromyographic study of three parts of the gluteus medius muscle during functional activities. Phys Ther. 1978;58(6):691-6. 

  23. Gombatto SP, Norton BJ, Sahrmann SA et al. Factors contributing to lumbar region passive tissue characteristics in people with and people without low back pain. Clin Biomech (Bristol, Avon). 2013;28(3):255-61. 

  24. Widler KS, Glatthorn JF, Bizzini M et al. Assessment of hip abductor muscle strength. A validity and reliability study. J Bone Joint Surg Am. 2009;91(11):2666-72. 

  25. Avers D, Brown M, Hislop H. Daniels and worthingham's muscle testing. 9th. Saunders, Elsevier Health Sciences, 2013. 

  26. Houglum PA, Bertoti DB. Brunnstrom's clinical kinesiology. 6th. Philadelphia F.A. Davis Company, 2012. 

  27. Chaitow L, Crenshaw K. Muscle energy techniques. 3th, London, Elsevier Churchill Livingstone, 2006. 

  28. Sahrmann S. Diagnosis and treatment of movement impairment syndromes. 1st. St Louis, Mosby, 2001. 

  29. Konradsen L, Voigt M, Hojsgaard C. Ankle inversion injuries. The role of the dynamic defense mechanism. Am J Sports Med. 1997;25(1):54-8. 

  30. Bolgla LA, Malone TR, Umberger BR et al. Comparison of hip and knee strength and neuromuscular activity in subjects with and without patellofemoral pain syndrome. Int J Sports Phys Ther. 2011;6(4):285-96. 

  31. Andersen LL, Magnusson SP, Nielsen M et al. Neuromuscular activation in conventional therapeutic exercises and heavy resistance exercises: implications for rehabilitation. Phys Ther. 2006;86(5):683-97. 

  32. Delp SL, Hess WE, Hungerford DS et al. Variation of rotation moment arms with hip flexion. J Biomech. 1999;32(5):493-501. 

  33. Boren K, Conrey C, Le Coguic J et al. Electromyographic analysis of gluteus medius and gluteus maximus during rehabilitation exercises. Int J Sports Phys Ther. 2011;6(3):206-23.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