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의 지질유산 분포와 가치평가: 전라권
Assessment of the Value and Distribution of Geological Heritages in Korea: Jeolla Province 원문보기

암석학회지 = The journal of the petrological society of korea, v.28 no.4, 2019년, pp.319 - 345  

조형성 (경상대학교 지질과학과) ,  강희철 (부산대학교 지질환경과학과) ,  김종선 (부산대학교 지질환경과학과) ,  정대교 (강원대학교 지질학과) ,  백인성 (부경대학교 지구환경과학과) ,  임현수 (부산대학교 지질환경과학과) ,  최태진 (조선대학교 에너지자원공학과) ,  김현주 (부경대학교 지구환경과학과) ,  노열 (전남대학교 지구환경과학부) ,  조규성 (전북대학교 과학교육학부) ,  허민 (전남대학교 지구환경과학부) ,  신승원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질연구센터)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최근 지질유산의 보존에 대한 사회적 인식이 확산되고, 지질공원과 같은 다양한 제도적 장치가 마련됨에 따라, 지질유산의 발굴, 가치평가, 체계적인 보존 그리고 관리 및 활용을 위한 노력이 요구되고 있다. 이번 연구에서는 전라권을 대상으로 지질유산 발굴, 가치평가 및 등급화, DB 구축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를 바탕으로 국가지질공원 유망 후보지를 제안하였다. 지질유산의 발굴은 문헌조사를 통해 총 325개의 지질유산 조사대상 목록을 작성하고, 이들 중 지질학적 가치가 높은 158개를 선정하여 상세한 야외조사와 가치평가를 실시하였다. 각 지질유산의 가치평가는 본질적 가치, 부수적 가치, 보존 및 관리의 세 항목으로 구분하여 실시하였다. 본질적 가치는 다시 학술 및 교육적 가치(대표성, 희소성, 다양성, 전형성, 재현성, 특이성)와 지형 및 경관적 가치(규모, 자연성, 심미성)로, 부수적 가치는 기능적 가치, 경제적 가치 그리고 역사 및 문화적 가치로 각각 세분하여 평가하였다. 보존 및 관리분야는 접근성, 편의 및 방호시설, 관리현황 항목에 대해 평가하였다. 지질유산의 관리등급은 본질적 가치의 점수를 기준으로 5단계로 구분하였다. 발굴된 지질유산을 유형별로 살펴보면, 지질학적 특징을 가진 유산이 73개, 지형학적 특징을 가진 유산이 42개, 양쪽 모두를 가진 복합유산이 42개가 발굴되었다. 전라권 지질유산들의 가치평가 및 등급화 결과, 세계급 보호대상인 I 등급은 12개, 국가급 보호대상인 II 등급은 39개, 국가지정 관리대상인 III 등급은 52개, 관리목록 등록대상인 IV 등급은 34개, 마지막으로 목록 작성대상인 V 등급은 21개로 각각 나타났다. 이상의 지질유산 상세 기재와 가치평가 및 등급화 결과들은 Arc-GIS를 기반으로 한 DB로 구축하였으며, 지질유산의 등급과 분포를 바탕으로 '지리산 및 섬진강 유역권(구례, 광양, 남원)'과 '전남 남해안권(해남, 진도, 고흥, 보성)'의 두 곳을 지질공원 유망후보지로 제안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ecently planification and effort for management, assessment and discovery of geological heritagesare being increasingly demanded with institutional strategies such as geopark, as their preservation is asked socially. In this study, we discovered geological heritages in the Jeolla Province and then ...

주제어

표/그림 (11)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번 연구에서는 전라권을 대상으로 수행된 지질유산 발굴 현황, 가치평가 및 등급화 결과, DB 구축 과정을 상세히 소개하고, 이로부터 전라권 국가지질공원 유망 후보지를 제안하고자 한다. 나아가서 타권역(충청권, 경북권, 경남권 등)의 결과와 비교분석을 통해, 보다 합리적인 지질유산 가치평가 방법 및 개선방향에 대해서도 논의하고자 한다. 이번 연구의 결과는 지질유산의 보호를 포함하여 지질명소의 선정, 지질교육 및 지질관광을 지질명소의 활성화, 지역의 경제발전 등 현재 지질공원을 운영 또는 추진 중인 지자체들에게 유익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 이번 연구에서는 전라권을 대상으로 수행된 지질유산 발굴 현황, 가치평가 및 등급화 결과, DB 구축 과정을 상세히 소개하고, 이로부터 전라권 국가지질공원 유망 후보지를 제안하고자 한다. 나아가서 타권역(충청권, 경북권, 경남권 등)의 결과와 비교분석을 통해, 보다 합리적인 지질유산 가치평가 방법 및 개선방향에 대해서도 논의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지질유산이 무엇인가요? , 2016). 대표적인 예로, 유엔 산하 국제기구인 유네스코에서는 ‘발달규모, 특이성, 희귀성 등에서 보존가치를 지니며, 이와 함께 과학적인 연구와 교육, 아름다움, 문화의 발전 등에서 인류에게 중요한 가치를 가지는 특이지질기록’들을 총칭하여 지질문화재 또는 유산이라는 의미가 부여된 ‘지질유산(geological heritage 또는 geoheritage)’으로 정의하고 있다(Dixon, 1996). 또한, 지질시대를 통해 일어난 중요 지질유산들이 모여 있는 장소를 지칭하는 지질명소(geological site 또는 geosite)의 개념도 제시되었으며, 뛰어난 경관과 지질학적 중요성을 지닌 지역의 보호와 함께 이들을 교육과 관광에 활용하는 지질공원(geopark, 지질명소들이 모여 있는 곳) 제도가 확립되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 지질유산 목록 작성을 위해 참고한 문헌엔 무엇이 있나요? 먼저 기초 문헌조사를 통한 목록작성은 지질학회지, 자원환경지질, 암석학회지, 지구과학회지, 고생물 학회지, 광물학회지, 지형학회지, 지리학회지 등의 국내 학술지와 해외 학회지, 석사 및 박사학위 논문, 국가 정부기관 보고서 및 관련 도서, 전라권의 시·군지와 같은 지자체 관련 자료, 기타 인터넷 자료를 망라하여 조사하였다. 특히, ‘전국자연환경조사(환경부)’, ‘한국의 지질유산 정보구축 및 관리방안(Lee et al., 2008)’, ‘전국 지질유산 분포 및 현황조사(국가지질공 원사무국)’, ‘한국의 지질유산(국가지질공원사무국)’, ‘한국의 지질다양성(문화재청)’, ‘한국의 지질노두 150선 및 160선(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형·지질 문화재 정밀조사 보고서(문화재청)’, ‘지질·광물 문화재 정밀조사 보고서(문화재청)’ 등과 같은 지질유산과 직접 관련된 문헌들은 필수적으로 활용하였다. 이러한 기초 문헌조사를 통해 전라권에서 총 325개의 지질유산 목록이 작성되었다(Table 1, Fig.
현재 우리나라의 국가지질공원 제도 상황은 어떤가요? 지질유산의 사회적 및 경제적 활용의 실질적인 창구가 되는 지질공원 제도 운영의 필요성에 대해서는 이미 국제적인 공감대가 형성되어, 유럽지질공원 네트워크(EGN, European Geoparks Network), 아시아-태평양 지질공원 네트워크(APGN, Asia-Pacific Geopark Network), 유네스코 세계지질공원 네트워크 (GGN, Global Geoparks Network) 등을 통해 세계 적인 활동으로 진전되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2012 년 국가지질공원 제도가 공식 도입되었으며, 제주도, 울릉도·독도, 부산, 청송, 강원평화지역, 무등산권, 한탄강, 강원고생대, 전북 서해안권, 경북 동해안, 백령·대청, 진안·무주 지질공원 등 12개의 국가지질공원이 순차적으로 인증됨에 따라, 국가지질공원 제도의 본격적인 운영 단계에 접어들게 되었다. 이러한 국가지 질공원으로의 인증 준비과정과 인증 이후의 관리를 통해, 해당 지질공원 내의 지질유산에 대한 기초적인 학술조사와 관련 자료의 체계적 구축이 부분적으로 이루어져 가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Brocx, M. and Semeniuk, V., 2007, Geoheritage and geoconservation - history, definition, scope and scale. Journal of the Royal Society of Western Australia, 90, 53-87. 

  2. Bruschi, V.M., Cendrero, A., and Albertos, J.A.C., 2011, A statistical approach to the validation and optimisation of geoheritage assessment procedures. Geoheritage, 3, 131-149. 

  3. Chae, Y.-U., Ha, S., Kim, C.-B., Kim, K.S., and Lim, H.S., 2019, Zircon U-Pb ages of Duwon Formation and Goheung Tuff in Goheung area, southern Korea.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55, 583-59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4. Cheong, C. and Kim, N., 2012, Review of radiometric ages for Phanerozoic granitoids in southern Korean Peninsula. The Journal of the Petrological Society of Korea, 21, 173-192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5. Cho, H., Kang, H.-C., Shin, S., Cheong, D., Paik, I.S., Lim, H.S., Shin, D., Kim, H.J., Lee, C.H., and Kim, J.-S., 2016, Assessment of the value and distribution of geological heritages in Chungcheong Province, Korea.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52, 639-66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6. Cho, H., Kang, K., Cheon, Y., Son, M., and Kim, J.-S., 2014. Geoheritage values of the geological outcrops distributed in the Dusong Peninsular geosite of the Busan National Geopark, Korea. The Journal of the Petrological Society of Korea, 23, 153-162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7. Chun, S.C. and Kim, S.B., 1995, The Cretaceous Kyokpori Formation, SW Korea: sublacustrine steep-sloped delta facies.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31, 215-236. 

  8. Dixon, G., 1996, Geoconservation: an international review and strategy for Tasmania. Parks & Wildlife Service, Tasmania, 101 p. 

  9. Fassoulas, C., Mouriki, D., Dimitriou-Nikolakis, P. and Iliopoulos, G., 2012, Quantitative assessment of geotopes as an effective tool for geoheritage management. Geoheritage, 4, 177-193. 

  10. KIGAM, 1995, Geological map of Korea (1:1,000,000). Korea Institute of Geology, Mining and Materials. 

  11. KIGAM, 2001, Tectonic map of Korea (1:1,000,000).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and Mineral Resources. 

  12. Kim, S.B., Chough, S.K., and Chun, S.S., 1995, Bouldery deposits in the lowermost part of the Cretaceous Kyokpori Formation, SW Korea; Cohesionless debris flows and debris falls on a steep-gradient delta slope. Sedimentary Geology, 98, 97-119. 

  13. Kim, Y.P. and Im, E.S., 2004, Restructuring mountain systems in Korean peninsula: Focusing on mountain range analysis.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Human Settlements, 208 p (in Korean). 

  14. Koh, H.J., Kwon, C.W., Park, S.I., Park, J., and Kee, W.-S., 2013, Geological Report of the Julpo and Wido.Hawangdeungdo sheets (1:50,000). Korea Institute of Geology and Mineral Resources, 81 p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5. Kwon, C.W., Ko, K., and Koh, H.J., 2015, Geological Report of the Beopseongpo.Anmado.Songido.Bunamgundo.Imjado sheets (1:50,000). Korea Institute of Geology and Mineral Resources, 57 p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6. Lee, C.-H., Lee, S.-W., Ock, S.-S., and Song, Y.-S., 2001, Petrology of the blastoprophyritic granite gneiss in the southwestern part of the Sobaegsan Massif.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22, 528-547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7. Lee, D.W., 1999, Strike-slip fault tectonics and basin formation during the Cretaceous in the Korean Peninsula. The Island Arc, 8, 218-231. 

  18. Lee, S., 2015, Evaluation of geological heritage and its utilization. Annual Conference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Abstracts), Jeju, October 28-31, 203 p (in Korean). 

  19. Lee, S., Cho, H., Kang, K., and Son, M., 2016, How to Assess the value of geological heritage?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52, 5, 539-56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0. Lee, S.-J., Kim, J.Y., Lee, Y.J., Sagong, H., and Lee, E.J., 2008, Geological heritage and management in Korea. Korea Environment Institute, 387 p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1. Lee, Y.-U. and Song, J.-H., 2007, The stratigraphy and the depositional environments of the Cretaceous Gurye Basin, Jeollanamdo, Korea.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43, 265-279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2. Mampel, L., Cobos, A., Alcall, L., Alcala, L., Luque, L., and Royo-Torres, R., 2009, An integreted system of heritage management applied to dinosaur sites in Teruel (Aragon, Spain). Geoheritage, 1, 53-73. 

  23. Paik, I.S., Kim, S.K., Huh, M., Lee, S.J., Kim, H.J., and Lim, J.D., 2010, Touristic aspects of geological heritagesCretaceous dinosaur fossil sites-. Annual Review in Cultural Heritage Studies, 43, 4-27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4. Park, J. and Cheong, D., 2012, A quantitative evaluation model for geoheritage.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48, 163-178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5. Reynard, E., Fontana, G., Kozlik, L., and Scapozza, C., 2007, A method for assessing 'scientific' and 'additional values' of geomorphosites. Geographica Helvetica, 62, 148-158. 

  26. Rybar, P., 2010, Assessment of attractivenss (value) of geotouristic objects. Acta Geoturistica, 1, 13-21. 

  27. Sagong, H. and Lee, S.-J., 2014, A Measure on the Conservation of Geological Heritages: Geological Survey and Evaluation Forms for Geologic Outcrops. The Journal of the Petrological Society of Korea, 23, 145-152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8. Shin, S., Lim, H.S., Kang, H.-C., Kim, J.-S., Shin, S., Kim, H.J., Cheong, D., Paik, I.S., Hwang, S.K., Huh, M., and Cho, H., 2018, Assessment of the value and distribution of geological heritages in Gyeongbuk Province, Korea.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54, 133-15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9. Sohn, Y.K., 2014, Geoheritage in Korea and its conservation, utilization and management plans.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50, 1-2 (in Korean). 

  30. Strba, L., Rybar, P., Balaz, B., Molokac, M., Hvizdak, L., Krsak, B., Lukac, M., Muchova, L., Tometzova, D., and Ferencikova, J., 2015, Geosite assessments: comparison of methods and results. Current Issues in Tourism, 18, 496-510. 

  31. Turek, A. and Kim, C.-B.,, 1995, U-Pb zircon ages of Mesozoic plutons in the Damyang-Gochang area, Ryeongnam massif, Korea. Geochemical Journal, 29, 243-258. 

  32. Warszynska, J., 1970, Evaluation of the village in terms of the tourism attractiveness. Prace Geograficzne, 17, 103-114. 

  33. Wimbledon, W.A.P., Ishchenko, A.A., Gerasimenko, N.P., Karis, L.O., Suominen, V., Ohansson, C.E., and Freden, C., 2000, Geosites-an IUGS initiative: Science supported by conservation. In: Barettino, D., Wimbledon, W.A.P. and Gallego, E. (eds.), Geological heritage: its conservation and management. IGME, Spain, 69-94.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