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변산반도 격포 적벽강 일대 야외지질 학습자료 개발 및 적용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Teaching Materials for Geological Fieldwork in Jeokbyeokgang Area, Gyeokpo, Byeonsan, Korea 원문보기

한국지구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v.33 no.7, 2012년, pp.658 - 671  

조규성 (전북대학교 과학교육학부) ,  양우헌 (전북대학교 과학교육학부) ,  신순선 (군산여자고등학교) ,  오재명 (전주솔빛중학교) ,  정덕호 (전북대학교 과학교육학부)

초록

이 연구는 전북 부안군 변산반도 국립공원 내 적벽강 지역의 야외지질 학습자료를 개발하려는 것이다. 또한 이를 중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교육적 효과를 최대화하기 위해 적용하였다. 적벽강 지역의 중생대 백악기 퇴적층은 해안 절벽에 형성된 큰 규모의 뚜렷한 퇴적구조와 암석을 관찰할 수 있어 지구과학 교과 야외학습 자료로 개발할 만한 가치가 있다. 또한 이 지역은 중등 과학과 교과과정의 일반적 내용, 심화학습 프로그램과 관련된 다양한 지질구조를 관찰할 수 있다. 5단계 야외학습 모델이 중학교 지구과학 수업에서 20명에게 적용되었다. 이 연구는 야외학습 과정에 따른 학생들의 반응을 분석하였다. 결과적으로 개발한 학습자료를 이용한 야외지질학습은 학생들의 과학에 대한 정의적 인식을 높였고 학습 활동에 긍정적 효과가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s to develop teaching materials for the geological fieldwork of Jeokbyeokgang area located in the national park of the Byeonsan-bando National Park, Buangun, Jeonbuk, Korea. The developed teaching materials are used in middle school science to effectively teach the fieldwork of the are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뿐만 아니라 주상절리, 돌개구멍, 층내 교란구조 등 다양한 지질구조가 존재하기 때문에 야외지질 학습자료로 매우 활용가치가 높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다양한 지질학습 요소가 존재하는 적벽강 일대를 중심으로 학생에게 적용 가능한 야외지질 학습자료를 개발하고 이를 적용해 봄으로써 그 교육적 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먼저 전라북도 전주시 소재 중학교 2학년 두 학급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여 사전 검사를 실시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초·중·고등학교 학생들이 지구과학 학습을 할 수 있는 다양한 지질학적 특징을 가지고 있는 적벽강 일대에 대한 야외지질 학습 자료를 개발하고 중학생들을 대상으로 현장 교육에 적용해 봄으로써 학생들의 과학과 관련된 태도 등의 반응을 알아보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지구과학은 무엇을 기초로 한 학문인가? 이러한 교육 목표에 맞는 자연현상을 실생활에서 직접 체험할 수 있는 탐구학습의 장이 야외학습장이다. 특히 지구과학은 자연현상의 관찰과 조사를 기초로 한 학문으로 초등학교 때부터 많은 지질현상들을 학습해 왔지만 대부분 교실에서 이루어진 수업으로 실제 자연을 관찰하여 이론적인 내용과 연결시키는 교육을 하지 못했다. 즉 직접적인 관찰 없이 교실에서의 지식 전달만을 강조하는 수업으로는 우리 주변의 많은 자연현상을 과학적으로 이해하지 못할 뿐 아니라 암석이나 지질구조의 생성 원인에 대한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창출해 낼 수가 없다.
2009 개정 교육과정의 과학과 교육의 목표는 무엇인가? 2009 개정 교육과정의 과학과 교육의 목표는 “자연현상과 사물에 대하여 흥미와 호기심을 가지고 탐구하여 과학의 기본 개념을 이해하고, 과학적 사고력과 창의적 문제 해결력을 길러 일상생활의 문제를 해결할 줄 아는 과학적 소양을 기른다.”고 되어 있다.
전북 부안군 변산반도 국립공원 내 적벽강 지역에서 관찰할 수 있는 것은 무엇인가? 또한 이를 중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교육적 효과를 최대화하기 위해 적용하였다. 적벽강 지역의 중생대 백악기 퇴적층은 해안 절벽에 형성된 큰 규모의 뚜렷한 퇴적구조와 암석을 관찰할 수 있어 지구과학 교과 야외학습 자료로 개발할 만한 가치가 있다. 또한 이 지역은 중등 과학과 교과과정의 일반적 내용, 심화학습 프로그램과 관련된 다양한 지질구조를 관찰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Cho, K.S., Ryang, W.H., Lee, B.J., Noh, B.S., and Park, E.S., 2002, The Earth is my friend.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Earth Science Series 14, Seoul, Korea, 63 p. (in Korean) 

  2. Choi, S.W., Lee, Y.E., Park, K.H., and Lee, C.H., 2001, Occurrences and formation model of peperite in the Jugmagri Area, Byeonsan Peninsula, Korea.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37, 297-308. 

  3. Chun, S.S. and Kim, S.B., 1995, The Cretaceous Kyokpori Formation, SW Korea: Sublacustrine steep-sloped delta facies. Journal of Geological Society of Korea, 31, 215- 236. 

  4. Chun, S.S. and Lee, H.J., 1991, Basin analysis of the Crtaceous sediment basins : Depositional environments and depositional mechanisms of the Kyokpo Basin. Korea ocean research and development institute, BSPE 00233-348-5, 131 p. 

  5. Huntoon, J.E., Bluth, G.J.S., and Kennedy, W.A., 2001, Measuring the effects of a research-based field experience on undergraduates and K-12 teachers. Journal of Geoscience Education, 49, 235-248. 

  6. Kang, J.H., 2002, A development of field geology course in Mt. Songak area, Jeju Island by using field geology modul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142 p. (in Korean) 

  7. KIER (Korea Institute of Energy and Resources), 1981, Report on stability of proposed site for a nuclear power plant (Buan Site), Korea Institute of Energy and Resources, Seoul. 

  8. Kim, H.N., Chung, W.H., and Jeong, J.W., 1998, National assessment system development of science-related affective domain.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18, 357-370.(in Korean) 

  9. Kim, S.B., 1993, Bouldery deposits in the lowermost part of Kyokpori formation, SW Korea: Suaqeous cohesionless debris flows and gravity falls on steep slope. Graduate School, Seoul National University, 120 p.(in Korean) 

  10. Kim, S.B., 2000, Sedimentary processes and environments of the Kyokpori Formation (Cretaceous), SW Korea. Ph.D.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Korea, 200 p. 

  11. Kim, S.B., Chough, S.K., and Chun, S.S., 1999, Sedimentary facies and environments of the Cretaceous Kyokpori Formation, southwest Korea. KSRG Field Trip Guide Book, 71 p. 

  12. Lee, C.J. and Cheong, S.W., 2005, Development of learning place for geologic field survey around the Duta Mountain, Chungbuk, Korea. Journal of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26, 41-57. (in Korean) 

  13. Maeng, S.H. and Wee, S.M., 2005, A qualitative analysis on a geological field excursion teaching model on Tando Coast and Hanyom area at Shiwha Lake in Kyounggido. Journal of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26, 9-27. (in Korean) 

  14.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2011, Science curriculum. Notification No. 2011-361 of the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2 p. (in Korean) 

  15. Munn, B.J., Tracy, R.J., and Jenks, P.J., 1995, A collaborative approach to petrology field trips. Journal of Geoscience Education, 43, 381-384. 

  16. Orion, N., 1989, Development of a high-school geology course based on field trips. Journal of Geological Education, 37, 13-17. 

  17. Orion, N., 1993, A model for the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field trips as an integral part of the science curriculum. School Science and Mathematics, 93, 325-331. 

  18. Orion, N. and Hofstein, A., 1994, Factors that influence learning during a scientific field trip in a natural environment.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0, 1097-1119. 

  19. Park, J.H., Jeong, J.W., Cho, K.S., and Lee, B.J., 2000, Development of geological field courses and field activities for secondary school students. Journal of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21, 13-21. (in Korean) 

  20. Park, J.M., Cho, K.S., Ryang, W.H., and Kim, S.B., 2009,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teaching materials for geological fieldwork in the Area of Bongwhabong, Buan-gun, Jeonbuk, Korea. Journal of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30, 883-896. (in Korean) 

  21. Park, J.M., Ryang, W.H., and Cho, K.S., 2007,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teaching aids for geological fieldwork based on Chaeseokgang area, Buan-gun, Jeonbuk, Korea. Journal of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28, 747-761. (in Korean)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