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변산반도 국립공원 부안화산암 내의 지질명소 및 지질유산의 가치평가
The Valuation of Geosites and Geoheritages in the Buan Volcanics of Byeonsanbando National Park 원문보기

한국지구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v.37 no.2, 2016년, pp.79 - 88  

조규성 (전북대학교 과학교육학부) ,  김정빈 (순천대학교 물리교육과) ,  권창우 (한국지질자원연구원 국토지질연구본부) ,  홍덕표 (전북대학교 과학교육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는 변산반도 내에 화산암이 분포하는 지역을 중심으로 지질학적 가치를 분석하여 지질명소 및 지질유산의 가능성을 조사한 것이다. 그 결과 외변산에 위치한 궁항, 솔섬, 모항 등 3곳과 내변산에 위치한 직소폭포, 굴바위, 선계폭포, 울금바위 등 4곳, 총 7곳의 지질명소를 제안하였다. 지질명소 중에서 솔섬과 모항은 지질유산적 가치가 높기 때문에 보존과 동시에 지질학습의 장소로 적극 활용해야 한다. 이외에도 적벽강과 채석강은 자연적 경관이 뛰어난 관광지로 유명하며 학술적 가치가 입증되었다. 이렇듯 변산반도 내에 지질유산이 다양하게 분포하고 있어 국가지질공원으로 충분한 가치가 있다고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s analyze the geological values in relation to the volcanic area and to investigate a possibility of the geosites and the geoheritages in Byeonsanbando area.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seven geosites are relevant as a potential national geopark, including Gunghang, Solseom Island, 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적벽강, 채석강, 봉화봉을 제외하고 변산반도 해안을 따라 지질학적 가치가 있는 지질명소들을 소개하였다. 따라서, 적벽강 →채석강 →봉화봉→ 궁항 → 솔섬 →모항에 이르는 지오트레일이 가능하다.
  • 본 연구는 전라북도 변산반도 국립공원 일대에서 지질학적 가치가 있는 화산암의 특징에 대해 조사하여 지질명소를 제안하고 국가지질공원 지질명소로서 가능성이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문헌 연구, 웹 정보 및 현장 지질조사를 통해 지질명소를 선정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변산반도 국립공원의 화산암류에 대한 지질학적 가치를 분석하고 평가하여 지질명소로서 가능한 지역을 보고하며, 지질명소들의 지오트레일(geotrail)에 대해 고찰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향후 한반도에 분포하는 화산암류에 대한 지질유산의 가치 평가와 지질명소 선정에 대한 기초 자료로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지질유산을 지질 관광의 핵심으로 성장시키기 위해 지속적인 지질유산에 대한 발굴이 시급한 이유는? 2015년 12월 기준, 국내에는 제주도, 울릉도·독도, 부산, 강원평화지역, 청송, 무등산권, 한탄강·임진강의 7곳이 국가지질공원으로 인증되었으며, 현재 10여 개 지자체에서 국가지질공원 인증을 추진 중에 있다. 지자체에서 지질공원의 추진은 보존을 주목적으로 하는 유네스코 세계유산, 생물권보존지역 그리고 국내의 국립공원제도와 달리, 지질명소의 지질유산을 보호하고 이를 교육·관광 산업에 활용하여 지역 주민의 소득 향상과 지역의 경제 발전을 도모할 수 있는 제도이기 때문이다(Lee, 2009; Kim et al., 2014).
유네스코 총회에서 공식프로그램이 된 세계지질공원의 정의는 무엇인가? 2015년 제38차 유네스코 총회에서 공식프로그램이 된 세계지질공원은 독특한 과학적 중요성, 희귀성 또는 아름다움을 지닌 지질 현장으로서 지질학적 중요성뿐만 아니라 생태학적, 고고학적, 문화적 가치도 함께 지니고 있는 지역으로 정의되고 있다. 2015년 12월 기준, 국내에는 제주도, 울릉도·독도, 부산, 강원평화지역, 청송, 무등산권, 한탄강·임진강의 7곳이 국가지질공원으로 인증되었으며, 현재 10여 개 지자체에서 국가지질공원 인증을 추진 중에 있다.
우리나라에서 국가지질공원으로 인증 된 곳은? 2015년 제38차 유네스코 총회에서 공식프로그램이 된 세계지질공원은 독특한 과학적 중요성, 희귀성 또는 아름다움을 지닌 지질 현장으로서 지질학적 중요성뿐만 아니라 생태학적, 고고학적, 문화적 가치도 함께 지니고 있는 지역으로 정의되고 있다. 2015년 12월 기준, 국내에는 제주도, 울릉도·독도, 부산, 강원평화지역, 청송, 무등산권, 한탄강·임진강의 7곳이 국가지질공원으로 인증되었으며, 현재 10여 개 지자체에서 국가지질공원 인증을 추진 중에 있다. 지자체에서 지질공원의 추진은 보존을 주목적으로 하는 유네스코 세계유산, 생물권보존지역 그리고 국내의 국립공원제도와 달리, 지질명소의 지질유산을 보호하고 이를 교육·관광 산업에 활용하여 지역 주민의 소득 향상과 지역의 경제 발전을 도모할 수 있는 제도이기 때문이다(Lee, 2009; Kim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Cho, K.S., Hong, D.P., and Park, K.J., 2015, Exploring Geosites Considering Ge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Gochang-gun Area, Korea.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36, 341-350. (in Korean) 

  2. Cho, K.S., Park, K.J., and Rayng, W.H., 2014, Geotourism and educational utilization of the geosites in the Byeonsanbando National Park.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50, 107-120. (in Korean) 

  3. Cho, K.S., Ryang, W.H., Lee, B.J., Noh, B.S., and Park, E.S., 2002, The Earth is my friend.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Earth Science Series 14, Seoul, Korea, 63 p. (in Korean) 

  4. Cho, K.S., Ryang, W.H., Shin, S.S, Oh, J.M., and Chung, D.H., 2012,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Teaching Materials for Geological Fieldwork in Jeokbyeokgang Area, Gyeokpo, Byeonsan, Korea.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33, 658-671. (in Korean) 

  5. Choi, S.W., Lee, Y.E., Park, K.H., and Lee, C.H., 2001, Occurrences and formation model of peperite in the Jugmagri Area, Byeonsan Peninsula, Korea.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37, 297-308. (in Korean) 

  6. Chough, S.K., 2013, Geology and Sedimentology of the Korean Peninsula, Amsterdam, Elsevier, Geology and Sedimentology of the Korean Peninsula. 363 p. 

  7.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Unified Search: Ugeumsanseong, http://www.cha.go.kr/ (January 10th 2016) 

  8. Engebretson, D.C., Cox, A., and Gordon, R.G., 1984, Relative Motions between Oceanic Plates of the Pacific Basin.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89, 10291-10310. 

  9. Jeollabuk-do Culture and Tour Information, Buangun Information of Toursim: Seongye Falls, http://www.gojb.net/ (January 10th 2016) 

  10. Kim, S.B., Chough, S.K., and Chun, S.S., 1995, Bouldery deposits in the lowermost part of the Cretaceous Kyokpori Formation, SW Korea: cohesionless debris flows and debris falls on a steep-gradient delta slope. Sedimentary Geology, 98, 97-119. 

  11. Kim, S.B., Chough, S.K., and Chun, S.S., 2003, Tectonic controls on spatio-temporal development of depositional systems and generation of fining-upward basin fills in a strike-slip setting: Kyokpori Formation (Cretaceous), south-west Korea. Sedimentology, 50, 639-665. 

  12. Kim, S.B., Chun, S.S., and Chough, S.K., 1997, Discussion on structural development and stratigraphy of the Kyokpo Pull-Apart Basin, South Korea and tectonic implications for inverted extensional basins.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154, 369-372. 

  13. Kim, S.W., Kang, K.R, Cho, H.S., Kim, H.J., Son, M., Paik, I.S., and Kim, J.S., 2014, Geotourism of the Busan National Geopark.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50, 43-60. (in Korean) 

  14. Kim, S.W., Kwon, S., Ryu, I.C., Jeong, Y.J., Choi, S.J., Kee, W.S., Yi, K., Lee, Y.S., Kim, B.C., and Park, D.W., 2012, Characteristics of the Early Cretaceous igneous activity in the Korean Peninsula and tectonic implications. Journal of Geology, 120, 625-646. 

  15. Klimetz, M.P., 1983, Speculations on the Mesozoic plate tectonic evolution of eastern China. Tectonics, 139-166. 

  16. Ko, E.J., 2003, Topographical Characteristics on the Natural Landscapes of the Pyonsan-Bando Peninsula National Park. Korean Association of Professional Geographers, 37, 295-305. (in Korean) 

  17. Koh, H.J., Kwon, C.W., Park, S.I., Park, J., and Kee, W.S., 2013, Geological report of the Julpo and Wido- Hawangdeungdo sheets (1:50,000).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and Mineral Resources, 81 p. (in Korean) 

  18. Ko, K.T., Choi, J.H., Edwards, P., and Kim, Y.S., 2015, Paleostress changes based on analysis of geological structures around the Byeonsan peninsula area.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51, 157-170. (in Korean) 

  19. Lambiase, J.J. and Bosworth, W.P., 1995, Structural development and stratigraphy of the Kyokpo Pull-Apart Basin, South Korea and tectonic implications for inverted extensional basins. In Buchanan, J.G., and Buchanan, P.G. (eds.) Basin Inversion. Geological Society, London, Special Publication, 88, 457-471. 

  20. Lee, B.J., 2011, Fault system in the Cretaceous Kyokpo Basin and its basement: Implications for basin formation.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47, 245-254. (in Korean) 

  21. Lee, S.J., 2009, A necessity for introduction of National Geoparks in Korea. Environment Forum, 13, 1-8. (in Korean) 

  22. Park, S.I. and Kwon, C.W., 2014, A model of the formation of fish-bone vein system in the Buan area.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50, 723-734. (in Korean) 

  23. Park, J.M., Cho, K.S., Ryang, W.H., and Kim, S.B., 2009,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teaching materials for geological fieldwork in the Area of Bongwhabong, Buan-gun, Jeonbuk, Korea.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30, 883-896. (in Korean) 

  24. Park, J.M., Ryang, W.H., and Cho, K.S., 2007,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teaching aids for geological fieldwork based on Chaeseokgang area, Buan-gun, Jeonbuk, Korea.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28, 747-761. (in Korean) 

  25. Watson, M.P., Hayward, A.B., Parkinson, D.N., and Zhang, Z.M., 1987, Plate tectonic history, basin development and petroleum source rock deposition onshore China. Marine and Petroleum Geology, 4, 205-225. 

  26. Wimbledon, W.A.P., Ishchendo, A.A., Gerasimenko, N.P., Karis, L.O., Suominen, V., Johansson, C.E., and Freden, C., 2000, Geosites-An IUGS initiative: Science supported by conservation. In Barettino, D., Wimbledon, W.A.P., and Gallego, E. (eds.). Geological Heritage: its conservation and management, Madrid, 69-94. 

  27. Woo, K.S., 2014, Qualification and prospect of national and global geoparks in Korea.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50, 3-19. (in Korean)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