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ADHD)아동에게 백호가인삼탕(白虎加人蔘湯)을 투여하여 호전된 2례
2 Cases of Baekhogainsam-tang Treatment on Attention 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ADHD) children. 원문보기

대한상한금궤의학회지 = The Journal of Korean Medical Association of Clinical Sanghan-Geumgwe, v.11 no.1, 2019년, pp.11 - 26  

윤효중 (영광군보건소) ,  변성희 (편안손한방병원) ,  이숭인 (동신대학교 한의과대학 방제학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port the improvement of two children with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DHD) following herbal treatment according to the provision of Shanghanlun. Methods: We diagnosed patients on methylphenidate for ADHD as no. 26 provision in Taeyangbyung...

주제어

표/그림 (4)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ADHD의 한국형 비약물적 치료 권고안에 따르면 환자와 그 보호자에게는 증상을 없애는 것이 아니라 적정 수준으로 조절해야 하는 것이며 치료가 장기화 될 수 있음을 안내하는 것이 권장된다18). 본 증례는 이러한 권고안에 맞춰 한의약이 활약할 수 있는 가능성을 시사한다.
  •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는 소아청소년기에 비교적 높은 빈도로 관찰되는 정신과 질환이기에 약물의 오남용을 피하기 위해 정확한 진단이 요구된다. 본 증례는 이미 양약을 복용하고 있는 환자들을 ADHD로 확진하고 白虎加人蔘湯 중재 이후 뚜렷한 품행개선이 관찰되었음을 보호자의 진술을 근거로 보고하는 바이다.
  • ADHD관련 양약을 복용하고 있는 환자에 대해 『康平傷寒論』 26번 조문에 근거하여 白虎加人蔘湯을 투여하여 품행의 개선을 이끌어낸 2례이다. 이에 그 진단 및 치료의 과정과 결과를 보고하는 바이다.
  • 이와 같이 임상연구는 모두 피부질환 관련 연구였으며, ADHD 치료제로 사용한 증례는 없었다. 이에 저자는 白虎加人蔘湯으로 신경정신과 질환 중 ADHD에 대한 증례보고를 하고자 한다. ADHD관련 양약을 복용하고 있는 환자에 대해 『康平傷寒論』 26번 조문에 근거하여 白虎加人蔘湯을 투여하여 품행의 개선을 이끌어낸 2례이다.

가설 설정

  • 3. 주소증(C/C) : 해야 할 일들이 잘 기억나지 않는다. 그래서 주어진 일을 잘 수행해내지 못함.
  • 아직 보육원 내에서 행동의 변화는 관찰되지 않는다.
  • 아직 집중력이 충분하지는 않고, 양약도 복용하는 것을 잊어버리는 등의 일상생활에서의 망각이 관찰됨.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ADHD의 유병률은 연구에 따라 3~7%로 보고 되는데, ADHD의 발병 원인은 무엇인가? 세계적으로 ADHD의 유병률은 연구에 따라 3~7%로 보고되어 있으며 남녀 성비는 2:1 ~ 9:1의 비율로 차이가 있으나, 성인보다는 아동에게서, 여성보다는 남성에게서 더 많이 나타나는 경향성은 동일하다4-6). ADHD의 발병에 기여하는 것으로 언급되는 요소는 뇌신경 및 유전 등의 선천적 원인에서부터 양육환경, 사회 경제적 여건 등의 후천적 원인까지 광범위하지만 정확한 원인은 밝혀져 있지 않다. 치료는 비약물적 중재보다는 약물적 중재가 권장되고, 일차적으로 D/L-amphetamine이나 methylphenidate 등의 중추신경흥분제와 atomoxetine을 선택할 수 있다.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의 정의와 특징은 무엇인가?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A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s, ADHD)는 성인기까지 지속될 수 있는 신경발달 장애로서 과잉행동 및 충동성, 부주의함 등이 그 대표적인 특징이다1). 이는 인지기능의 일종인 집행기능곤란으로 보이며 아동에게서 학교에서의 생활, 학업수행과 또래에 대한 적응에 직간접적인 문제를 초래한다2).
ADHD의 발병기준은 무엇인가? 아동기 청소년에게 비교적 흔하게 발견되는 장애이기 때문에 과잉진단 될 위험성이 있어 정확한 진단이 요구된다. 부주의 및 과잉행동, 충동성이 적어도 6개월 이상 지속되어야 ADHD로 진단할 수 있으나 증례 1의 경우 보호자가 초진 2개월 전에 바뀌어 정확한 발병시기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없었다. 하지만 K-IOWA-CRS 20점의 결과가 임상적으로 치료의 필요성이 있었다는 점과 이전 의료기관에서도 ADHD를 진단받았음을 고려하여 ADHD 또는 HKD의 진단명을 유지하여 치료를 진행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Pliszka S. AACAP Work group on quality issues. Practice parameter for the assessment and treatment of children and adolescents with 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J Am Acad Child Adolesc Psychiatry. 2007 ; 46 : 894-921. 

  2. Chun SY.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and early school adjustment in first -grade children : The mediating effects of impairments in executive function. Korean Journal of Child Psychotherapy. 2018 ; 13(3) : 41-54. 

  3. Lee SH. A Review on the Medical Diagnosis of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Journal of Emotional & Behavioral Disorders. 2018 ; 34(4) : 1-24. 

  4. Department of pediatrics, Yonsei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Severance manual of pediatrics. 4th Ed. Seoul : Yonsei University College Publishing Center. 2013 : 709-12. 

  5.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 DSM-5. 5th ed. Seoul : Hakjisa. 2015 : 61-8. 

  6. Ahn DH, Kim BS, Du JI, Park TW, Ban GH, Shin MS, Shin YN, Yang SJ, Lee SJ, Lee SY, Lee JW, Lim MH, Jeong YS, Chon GA, Hong HJ. Intergrative understanding of ADHD. Seoul : Hakjisa Publisher Inc. 2015 : 17-8. 

  7. Kim BS. Pharmacotherapy for 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J Korean Med Assoc. 2019 ; 62(1) : 49-55. 

  8. Chang GT. Oriental medical approach to 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ADHD. J Pediatr Korean Med. 2001 ; 15(2) : 141-65. 

  9. Ahn HR, Koo EJ, Lee HL. Review of the Korean medicine studies for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in children. J Pediatr Korean Med. 2019 ; 33(3) : 56-68. 

  10. Choi DH, Jang WC. A comparative study on the Baihutang and Baihujiarenshentang patterns in Jinguiyuhanjing and Songbenshanghanlun. J Korean Med Classics. 2019 ; 32(2) : 111-34. 

  11. Park SG, Jo EH, Choi HG, Hong JE, Park MC. Clinical differences between Baekho-tang and Baekhogainsam-tang through skin disease case. Herbal Formula Science. 2019 ; 27(2) : 179-87. 

  12. Lee SJ, Kim NG. A case report of Psoriasis treated by Bekhogainsamtang. J of KMediACS. 2015 ; 7(1) : 21-7. 

  13. Hwangbo M, Jeong MJ, Seo HS. A case report of child with Alopecia Areata. J Korean Orient Pediatr. 2012 ; 26(2) : 47-52. 

  14. Shin MS, Ryu ME, Kim BN, Hwang JW, Cho SC. Development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IOWA conners rating scale. J Korean Neuropsychiatr Assoc. 2005 ; 44(1) : 82-8. 

  15. Morrison J. DSM-5 made easy, the clinician's guide to diagnosis. Seoul : Sigma press. 2016 : 19. 

  16. Moon JJ, Ahn GS, Kim SH, Park WS, Song MD, Park JH, Kim DH, Kim SW, Choi DY, Shin YI, Ji GY, Shin SW, Ha GT, Lee SG, Kim JB, Lee GG, Kim YM. Shanghanlunjeonghae. Seoul : Publicaton Haneuimunhwasa. 2010 : 97-8. 

  17. Ha YS. The dictionary of old chinese letter. Pusan : publication 3. 2015 : 148,523. 

  18. Shin YM, Kim EJ, Kim YS, Bhang SY, Lee EH, Lee CS et al. The revised korean practice parameter for the treatment of attention-defcit hyperactivity disorder (IV). J Korean Acad Child Adolesc Psychiatry. 2017 ; 28(2) : 84-95. 

  19. Green C, Chee K. Understanding ADHD. Seoul : Minjisa publishing co. 2013 : 410. 

  20. Wolraich ML, DuPaul GJ. ADHD diagnosis and management, a practical guide for the clinic and the classroom. Seoul : Hakjisa Publisher Inc. 2013 : 175-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