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대학생들의 시간 사용과 삶의 질의 관계 : 보건계열 대학생을 중심으로
The Relationship between Structured Time Usage and Quality of Life for University Students : Centered on Health-related University Students 원문보기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지=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mmunity Based Occupational Therapy, v.9 no.3, 2019년, pp.31 - 39  

심경보 (김천대학교 작업치료학과) ,  곽성원 (이룸통합발달센터)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을 대상으로 시간 관리에 대해 파악하여 클라이언트의 기능적 향상 뿐만 아니라 비장애인을 포함한 작업치료 서비스를 제공받는 모든 클라이언트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효율적인 시간 관리 방법을 계획 및 교육하는데 기초 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4년제 대학교 재학생들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시간 사용과 삶의 질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설문지법을 이용한 조사연구이다. 일반적 특성, 구조화된 시간 사용 설문지(time structure questionnaire)와 세계보건기구에서 개발한 삶의 질 단축형(WHOQOL-BREF)을 사용하여 조사하였고, 결측값이 있는 설문지 8부를 제외한 총 142부를 수합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 본 연구 결과 삶의 질과 구조화된 시간 관리에 유의한 상관성이 있었고, 구조화된 시간 관리의 하위 항목인 목적의식, 구조화된 일상, 지속, 과거방향, 수면정도에서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또한,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수면정도(β=.214), 구조화된 일상(β=.203), 목적의식(β=.343), 과거방향(β=.244)순으로 나타났다. 결론 : 결론적으로 구조화된 시간 내에서 작업을 하고 있는 대학생의 경우 만족스러운 삶의 질을 보이기에 어려움이 있고, 이러한 삶의 질 저하의 요인은 구조화된 일상, 목적 의식, 과거 방향, 그리고 수면 정도가 영향을 주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ime management among college students and provide them with a basic resource for planning and educating them on efficient time management methods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of all clients who receive occupational therapy services, includi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현재까지 대학생의 삶의 질에 대한 선행연구들은 진행되어지고 있으나 시간 관리에 대한 연구는 적은 실정이며, 더불어 일반적 특성과 대학생의 구조화된 시간 관리에 따른 삶의 질 차이를 함께 비교한 연구는 드물다. 따라서 본 연구는 대학교에 재학 중인 대학생의 일반적 특성과 구조화된 시간 관리가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중심으로 논의 하고자 한다.
  • 따라서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시간 관리를 파악하고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건강관리변인과 시간 관리, 삶의 질의 관계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한다. 또한 효율적인 시간 관리를 통한 삶의 질 향상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시간 관리를 파악하고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건강관리변인과 시간 관리, 삶의 질의 관계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한다. 또한 효율적인 시간 관리를 통한 삶의 질 향상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대학교에 재학 중인 대학생 142명을 대상으로 일반적 특성과 구조화된 시간 관리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 결과 첫째, 대학생의 특성과 구조화된 시간 관리와 삶의 질의 상관관계는 ‘구조화된 시간 관리’, ‘목적의식’, ‘구조화된 일상’, ‘지속’, ‘과거 방향’ 그리고 대학생의 일반적 특성 중 ‘수면정도’에서 삶의 질과 상관관계를 보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시간 관리의 정의는 무엇인가? Seiwert(2003)의 (Joen & Kim, 2019에 인용된)연구에 의하면 시간 관리란 자신을 케어(care)하거나 기본적 일상생활을 관리하는데 주어진 시간을 극대화하여 보다 의미 있는 사용을 하는 것으로써,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일생상활에서 유용한 활동 수행방법을 적합하게 적용하는 것이라 정의하였다. Lee(2000)는 시간 관리란 목표 달성에 필요한 과제의 우선순위를 선정하고, 이를 수행할 수 있도록 개인의 환경과 외부의 환경, 그리고 자기 자신을 통제하는 것으로 정의하였다.
시간 관리가 대학생의 경우에 보다 더 중요한 이유는? 시간 관리는 인간의 생에 있어 대부분에 걸쳐 요구되지만 학교 혹은 부모의 보호 아래 자신 스스로가 아닌 타인이 정해놓은 시간 속에서 생활을 해온 학령기 및 청소년기 시절과 달리 자율적이고 능동적 시간 사용이 가능하게 되는 대학생의 경우에 보다 더 중요해진다(Youn & Kim, 2007; Chung, Kim & Kim, 2012).
대학생의 시간의 효율적 관리능력이 필수적인 이유는 무엇인가? 대학생활은 한 개인이 자신의 미래를 결정하고 예비사회인으로서 사회적 기대에 적합한 역량을 갖추고 목표를 성취하기 위해 많은 시간을 사용하게 되므로 주어진 시간을 잘 관리해야 한다(Park & Shim, 2016). 하지만 현시대가 요구하는 역량과 스펙(Specification), 그리고 학습 환경을 포함한 사회적 요구는 빠르게 변화되고 있으나 대학 생활에 주어진 시간은 한정되어 있다(Yun & Kim, 201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American Occupational Therapy Association. (2002). Occupational Therapy practice framework: Domain and process.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56(6), 609-639. 

  2. Bond, M. J., & Feather, N. T. (1988). Some correlates of structure and purpose in the use of time.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5(2), 321-329. 

  3. Chang, H. K., Lee, S. J., Park, C. S., Kim, B. J., Lee, C. S., Cha B. S., Lee, D. Y., & Seo, J. Y. (2015). Association between quality of life and eveningness as well as sleep quality among medical students. Sleep Medicine and Psychophysiology, 22(2), 64-69. 

  4. Choi, J. H. (2016). The structural relation among time management, engagement, and happiness. The Journal of Research in Education, 29(1), 1-19. 

  5. Chung, A. K., Kim, J. S., & Kim, J. H. (2012). The effects of mastery goal orientation and time management ability on job search self-efficacy in the vocation of engineering college students. Journal of Engineering Education Research, 15(3), 12-21. 

  6. Hand, S. H. (2018). The effects of time perspective on leisure engagement and flow in university students. Journal of Sport and Leisure Studies, 71, 393-404. 

  7. Hong, S. P., Lee, J. E., & Park, S. H. (2008). The analysis study of time use and occupational performance issues for individuals with a spinal cord injury in rehabilitation hospital.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16(4), 89-98. 

  8. Jeon, J. W., & Kim, J. S. (2019). The effects of a time management program on time management ability and future time perspective of the transitioning elementrary school students. The Korean Association For Thinking Development, 15(1), 43-59. 

  9. Joo, S. J., & Jeong, H. S. (2019). The effect of the personality education program on self-esteem, self-leadership, and time management of korea polytechnics college students.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echnical Education and Training, 24(3), 45-54. 

  10. Kim, H. H., & Chang, M. Y. (2011). Relationship between structured time use and weel-being for university students.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mmunity Based Occupational Therapy, 1(1), 21-31. 

  11. Kim, O. S., & Park, E. J. (2015). The effects of time perspective on time management and life satisfaction for college students. Journal of Korean Family Resource Management Association, 19(4), 141-161. 

  12. Lee, J. H., & Park, S. H. (2008). A study on the time management of college: The comparison of seoul with provinoes.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15(2), 91-120. 

  13. Lee, W. H. (2000).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ime management and the school academic achievement of high school students. published master's thesis, University of Seoul, Seoul. 

  14. Oh, H. J., & Jung, J. Y. (2006). A study on self-efficaac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following the capability of time management. Journal of Korean Practical Arts Education, 19(3), 101-112. 

  15. Park, D. H., Lee, M. K., & Shin, H. C. (2006).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time management behavior scale. The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18(4), 801-816. 

  16. Park, Y. J., & Shim, E. K. (2016). The mediation effect of self-efficacy, time management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for college Students. Journal of Social Science, 42(2), 213-230. 

  17. Seiwert. L. J. (2003). 성공하는 리더를 위한 시간관리 테크닉 (Mehr zeit fur das wesentliche) (박기안 역). 서울: 미래사. 

  18. Seo, I. J., & Doo, K. J, (2007). The effect of time management behaviors on the satisfaction of time management for college students. Journal of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25(6), 121-131. 

  19. Seo, I. J., & Doo, K. J. (2009). College students' time management behavior using the time-matrix.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47(8), 13-24. 

  20. Shin, S. C., & Jo, H. B. (2011). A study on the time management behavior pattern of police officers.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Public Safety and Criminal Justice, 20(1), 82-107. 

  21. Song, W. I., Hwang, J. W., & Oh, E. S. (2016). Relations among leisure limitation, coping stress, and quality of life in college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Wellness, 11(3), 159-167. 

  22. Youn, Y. O., & Kim, O. S. (2007). University students' time management: Affecting variables and correlations with life satisfaction: focusing on the students at korea national open university. Journal of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25(6), 71-82. 

  23. Yun, J., & Kim, J. S. (2017). Relation between time pressure, discretionary time and subjective well-being of university students. The Korean Journal of Edu04cational Psychology, 31(3), 389-408.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