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대학생의 시간관리 행동이 시간관리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Time Management Behaviors on the Satisfaction of Time Management for College Students 원문보기

한국가정관리학회지 = Journal of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v.25 no.6 = no.90, 2007년, pp.121 - 131  

서인주 (상명대학교 소비자주거학과) ,  두경자 (상명대학교 소비자주거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first to reveal the factors of time management behaviors of college students. The second purpose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those factors on the satisfaction of time management.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400 college students in Seoul by a self-administered questi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2007년 5월 10일부터 16일까지 약 일주일 동안 63명을 대상으로 예비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예비조사는 각 문항의 타당도와 척도의 신뢰성을 검토하는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부실기재를 제외한 51부를 분석하여 설문지의 일부 문항을 수정, 보완한 후 재구성하였다.
  • 그러나 시간관리를 자원관리에 포함되는 개념으로 보고 시간 관리 행동을 관리과정으로 이해하여 체계이론의 틀로 분석한 연구는 많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시간관리 행동을 일련의 자원관리과정으로 보고 시간관리 행동을 요인분석한 후 계획과 수행으로 나누고 시간관리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시간 관리 행동 요인을 밝히고자 하였다. 시간관리행동을 계획과 수행으로 나누는 이유는 계획행동으로만 볼 경우 시간 계획을 비합리적, 비효율적으로 정하여 시간사용 실행 상 방해가 될 수 있으며 시간관리를 수행행동으로만 볼 경우 미리 계획한 시간 배분과 관계없이 즉흥적으로 시간을 사용하기가 쉽기 때문이다(두경자, 2002).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시기적으로 효율적 시간관리가 중요한 대학생을 대상으로 시간관리 행동의 요인을 분석하여 시간관리 행동의 다양한 측면을 밝히고 개인적 특성에 따라 시간관리 행동이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시간 관리 만족도에 미치는 시간관리 행동 요인이 무엇인지를 밝혀 바람직한 시간 관리 행동을 제시하며 시간관리 행동의 미흡한 점을 보완하여 효율적 시간관리를 위한 지침을 마련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한다.
  • 본 연구는 변화하는 현대사회에서 시간에 대한 관심과 그 중요성이 증가되는 시점에서, 자유재량시간의 증가로 인한 시간 활용이 중요한 대학생을 대상으로 시간관리행동 요인을 분석하고 이러한 행동이 시간관리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들의 시간관리 행동 및 만족도의 일반적 경향과 시간관리 행동의 요인구조를 파악하여 시간 관리 행동이 시간관리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함이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위해 본 연구에서 설정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시간 관리 행동을 요인분석하여 어떤 요인이 시간관리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밝히고자 하였다. 이는 대학생들의 자신의 효율적 시간관리행동을 통해 시간관리만족도를 높이는데 도움을 주고자 한 것이다.
  • 이기영(2005)은 시간을 사용하고 관리하는 과정 및 결과에 긍정적인 평가를 의미하며 심리적으로 충족감을 느끼는 정도로 정의하였다. 이러한 만족도에 대한 정의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시간관리 만족도를 자신이 시간관리행동을 얼마나 잘하고 있다고 생각하는지에 대한 주관적 평가로 정의하였다.
  • 이상과 같은 시간관리행동에 대한 기존 연구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시간관리 행동의 하위요인을 밝히며 이러한 시간 관리 행동 요인들은 개인의 상황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또한, 시간관리 행동요인이 시간관리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살펴보고자 한다.
  • 이러한 연구결과에서 시간관리행동과 만족도는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내고 있으나 시간관리행동을 크게 유형화하였을 뿐 구체적으로 시간관리행동을 세분화하여 만족도와의 관계를 밝히지는 못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시간 관리 행동을 요인분석하여 어떤 요인이 시간관리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밝히고자 하였다. 이는 대학생들의 자신의 효율적 시간관리행동을 통해 시간관리만족도를 높이는데 도움을 주고자 한 것이다.
  • 실행은 계획을 실천에 옮기는 것이며, 통제는 행동을 점검하거나 계획과 비교하여 필요하면 원하는 산출을 위해서 이미 계획된 행동의 표준과 순서를 조정하는 것을 의미한다(임정빈 등, 1994). 이에 본 연구에서는 시간 관리 행동을 자원관리의 과정으로 보고 개인이 자신이 처한 환경에서 만족한 결과를 도출해내기 위해 시간을 사용하는 행동으로 정의하였다.
  • 그러므로 자신의 시간을 통제할 수 있는 능력이 필요하며, 많아진 자유시간의 효율적 관리가 결국 자신의 인생목표를 달성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함을 인식하고 시간관리를 하여야 할 시기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시기적으로 효율적 시간관리가 중요한 대학생을 대상으로 시간관리 행동의 요인을 분석하여 시간관리 행동의 다양한 측면을 밝히고 개인적 특성에 따라 시간관리 행동이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시간 관리 만족도에 미치는 시간관리 행동 요인이 무엇인지를 밝혀 바람직한 시간 관리 행동을 제시하며 시간관리 행동의 미흡한 점을 보완하여 효율적 시간관리를 위한 지침을 마련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한다.
  • 주로 가정학 분야에서는 주부를 대상으로 시간관리 행동과 가사노동과의 관계를 중점적으로 다루어왔다. 즉 효율적 가사노동을 위한 시간 관리전략에 초점을 맞추어 연구되어 취업주부나 시간제약이 있는 주부에게 유용한 자료를 제공하였다. 또한 생활시간을 중심으로 생리적시간, 노동시간, 여가시간 등으로 나누어 인간의 생활시간사용 자체에 대한 연구나 학습과 관련된 시간 관리전략 등이 연구되었으며 최근에는 직장인, 대학생 등으로 그 대상이 확대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8)

  1. 김외숙.이기영(2002). 가정생활과 관리.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출판부 

  2. 김외숙.조희금.두경자(2000). 시간의 사용과 관리. 교문사, 248: 27-249:2 

  3. 김지연(1994). 취업주부의 시간관리행동이 시간갈등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대 석사논문 

  4. 김효정(2001). 기혼여성 재택근무자와 직장근무자의 가사노동 시간관리 전략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9(2), 83-96 

  5. 두경자(1990). 가정관리 체계모형의 실증적 검증-서울시내 주부의 가사활동을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박사학위논문 

  6. 두경자(2002). 생활시간 어떻게 관리할 것인가. 신광출판사, 22:17-20 

  7. 두경자(2002). 시간관리 교육 후의 교육효과측정. 상명대학교 사회과학연구 15호 

  8. 박동혁.이민규.신희천(2006). 대학생 시간관리 행동 척도의 개발과 타당화. 한국심리학회지 18(4), 801-816 

  9. 박경규(1988). 도시주부의 가정관리능력에 관한 연구. 효성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0. 박현미(1987). 가정관리능력과 생활만족도와의 관계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1. 서경희(1994). 대구지역 취업 주부의 시간관리전략에 관한 연구. 계명대 석사학위논문 

  12. 서미경(1996). 주부의 Life-Style과 시간제약지각 및 시간관리 행동에 관한 연구. 한국생활과학회지, 5(1), 15-31 

  13. 서창호(1997). 초등교원의 시간관리와 생활만족도의 관계분석. 동아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4. 성유진(1995). 취업주부의 시간갈등수준 및 시간관리 전략과 가정관리 만족도에 관한 연구. 동아대 석사학위논문 

  15. 유성은(1998). 시간관리와 자아실현. 생활지혜사, 32:14-17 

  16. 이승미 (1989). 주부가 지각한 시간제약과 가사노동의 수행방안. 서울대 석사논문 

  17. 이정우외 공저(1997). 최신 가정경영학. 수학사, 222:22-23 

  18. 이정숙(2000). 도시 미혼남녀의 시간관리전략과 관련변인 연구.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11(2), 1-14 

  19. 이정숙(1983). 도시주부의 가정관리능력과 자아실현성과의 관계.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 임정빈 외 공저(1994). 가정관리학. 학지사 

  21. 이현아(2004). 인터넷중독 방지를 위한 시간관리교육프로그램 개발. 대한가정학회지, 42(10), 63-77 

  22. 정순희.김현정(2002). 시간제약 소비자의 쇼핑행동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6(2), 15-29 

  23. 정태근(2003). 자기 주도적 가정학습의 시간관리전략 실제에 관한 연구. 부산교육학연구, 16(1), 93-110 

  24. 조성은(1991). 주부의 가사노동 시간관리전략에 관한 연구. 이화여대 석사학위논문 

  25. 채화영.이기영(2005). 직장인의 시간관리행동 유형화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43(11), 211-224 

  26. 최수임(1993). 체계적 접근을 통해 본 기혼 여교사의 시간갈등, 시간관리전략, 생활만족도.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7. 한경미(1992). 시간관리척도 개발에 관한 연구. 가정과학연구, 2, 43-55 

  28. 한경미(1993). 시간관리행동과 관련변수: 취업주부를 대상으로.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1(2), 83-95 

  29. 황기아.이미란(2004). 주부의 Life-Style과 시간관리행동에 관한 연구. 동아대학교 생활과학연구, 12, 149-162 

  30. Bond, M.J. & Feather, N.T.(1988). Some correlates and purpose in the use of time. Journal of Personality, 55, 321-329 

  31. Burr, W.R.(1970). Satisfaction with Various Aspects of Marriage over the Life Cycle: Random Middle Class Samples. Journal of Leisure Research, 15(3) 

  32. Deacon, R.E. & Firebaugh, F.M.(1966). Home management context and conceps(1 st Ed). Boston Houghton-Mifflin 

  33. Hawkin, J.L., & L. Trens(1968). Association satisfaction of Marriage and the Family 

  34. Jordan, R.S. & Bird, B.J.(1989). An explanatory study using the Future Time Perfective scale. Paper presented at The Mid-West Academy meeting Columbus, OH 

  35. L J. 자이베르트(1993), 시간관리학, 미래비지니스, 14:16-18 

  36. Macan, Therese Hoff et al.(1990). College Student's time management: correlations with academic performance and stress.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82(4) 

  37. Shelton, B.A. & John, D.(1996). The Division of Household Labor. Annual Review Sociology, 22, 229-322 

  38. Surober, M.H. & Weinberg C.B.(1980). Identifying differences in time pressure.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6, 338-348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