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형 작업균형 평가도구 개발
Development of Korean Occupational Balance Assessment(K-OBA) Tool 원문보기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지=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mmunity Based Occupational Therapy, v.9 no.2, 2019년, pp.43 - 58  

홍소영 (고신대학교 작업치료학과) ,  홍덕기 (원광대학교 작업치료학과, 건강증진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적 : 본 연구는 한국형 작업균형을 측정할 수 있는 평가도구를 개발하고자 실시되었다. 연구방법 : 2017년 3월부터 2019년 7월까지 선행연구 분석, 전문가 포커스 회의를 통해 예비문항을 작성하였고, 2차의 델파이조사를 통해 예비문항을 선정하였다. 문항의 타당성 검증을 위해 라쉬분석을 실시하여 대상자 및 문항적합도, 문항난이도, 평정척도, 분리신뢰도를 분석하여 최종문항을 도출하였다. 결과 : 조사대상자 141명 중 시간사용에서 9명(6.38%), 작업영역에서 11명(7.80%)이 부적합 대상자로 나타났다. 시간사용 적합대상자 132명, 작업영역 적합대상자 130명을 대상으로 문항의 적합도를 분석한 결과 3개 문항이 부적합 문항으로 판정되었으나, 이론 및 임상적 근거에 기초하여 최종적으로 작업특성 영역의 1개 문항을 삭제하였다. 문항의 난이도 분석에서 당신은 가정 내에서 다른 사람을 위한 활동에 사용하는 시간의 양은 어떠합니까?, 당신은 정규교육이나 관심분야를 위한 교육을 받고 있습니까? 문항이 높은 난이도를 보였다. 평정척도 분석결과에서는 5점 척도보다 4점 척도가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고, 분리신뢰도는 .86~.94이었다. 최종적으로 3개 범주(시간사용, 작업영역, 작업특성), 18개 문항이 최종 선정되었다. 결론 : 작업균형 평가도구는 3개 범주 영역, 18개 문항을 최종 선정하였고, 4점 리커트 척도로 개발되었다. 추후 연구에서는 작업균형을 측정하는 다른 평가도구와의 상관관계를 통해 공인타당도를 입증하고, 작업균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는 추가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 assessment tool to measure Korean occupational balance. Methods : From March 2017 to July 2019, preliminary questionnaire was prepared through analysis of previous research and expert focus meeting, and preliminary questions were selected throu...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작업균형을 평가하기 위한 도구를 개발하기 위해 예비문항 작성 및 선정 과정과 라쉬분석을 이용한 타당도 검증을 실시하였다. 그러나 조사대상자가 모집단수가 작고, 전국에 고르게 분포되지 못하였다는 제한점이 있다.
  • 이에 본 연구는 작업균형을 평가할 수 있는 한국형 평가도구를 개발하고자하였다. 작업균형 측정도구를 개발하기 위해 7개의 선행연구를 분석한 결과 작업수행과 시간사용으로 구분하여 살펴볼 수 있었다.
  • 그러나 우리나라 배경에 적합한 작업균형평가도구는 현재 전무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문화에 맞는 표준화된 도구를 개발하여 국내 작업균형의 평가기반을 마련하는데 있다. 본 연구의 문제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 첫째, 성인대상의 작업균형 평가도구의 구성요인은 무엇인가?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작업균형이 무엇인가요? 작업균형(Occupational Balance)은 여러 작업으로 구성된 생활양식의 균형으로 작업치료에서 작업과학의 한분야로 중요한 개념을 차지한다(Wagman, & Håkansson, 2014). 작업은(Occupation)은 사회적 배경에서 각 개인이 수행하는 매일의 활동 중에서 목적적이고 의미 있는 활동을(Backmann, 2004) 말하며, 작업균형은 인간생활의각 영역(일, 여가, 휴식, 일상생활활동)의 균형을 이루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Bryden & McColl, 2003; Christiansen & Matuska, 2006). 작업치료의 다양한 연구에 의하면 사람은 작업불균형에 이르게 되면 자신의 삶에 불만족 하게 되고, 삶의 주기에서 자신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없어 건강이 손상된다(Christiansen & Matuska, 2006; Meyer, 1922; Wilcock, 1998).
한국형 작업균형 평가도구에 선정된 문항은 무엇인가요? 한국형 작업균형 평가도구를 개발하기 위하여 선행연구 분석, 전문가 브레인스토밍, 전문가 델파이조사, 라쉬분석을 실시하였다. 선행연구 분석 및 전문가 브레인스토밍 결과 3개 범주 영역, 14개 문항이 도출되었다. 이후 델파이 조사결과 3개 범주 영역(시간사용 영역, 작업 영역, 작업특성 영역), 19개 문항이 선정되었다. 문항의 타당성 검증결과 3개 문항에서 부적합결과가 도출되었으나, 이론적 및 임상적 근거에 기초하여 스트레스 1개 문항만을 삭제하였다. 최종 3개 범주 영역, 18개 문항을 최종 선정하였고, 4점 리커트 척도로 개발되었다. 추후 연구에서는 작업균형을 측정하는 다른 평가도구와의 상관관계를 통해 공인타당도를 입증하고, 작업균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는 후속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스웨덴에서 개발된 작업균형평가도구인 Occupational Balance Questionnaire(OBQ)는 어떤 문항으로 구성되어있나요? 최근 이러한 변화에 따라 작업균형평가도구가 개발되었다. Occupational Balance Questionnaire(OBQ)는 스웨덴에서 개발된 작업균형평가도구로 시간사용만족도, 작업의 양의 충분성, 작업의 다양성등에 대한 13문항으로 구성되었다(Wagman, & Håkansson, 2014). Dür 등(2014)에 의해 개발된 Occupational Balance-Questionnaire(OB-Quest)은 일상생활활동의 중요도, 스트레스, 건강과 일상생활활동 간의 관계, 휴식과 수면 양등 10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American Occupational Therapy Association. (2014). Occupational therapy practice framework: Domain and process (3rd ed.).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68(1), 1-48. 

  2. Anaby, D. R., Backman, C. L., & Jarus, T. (2010). Measuring occupational balance: A theoretical exploration of two approaches. Canadi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77(5), 280-288. 

  3. Backman, C. L. (2004). Occupational balance: Exploring the relationships among daily occupations and their influence on well-being. Canadi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71(4), 202-209. 

  4. Bejerholm, U. (2010). Occupational balance in people with schizophrenia. Occupational Therapy in Mental Health, 26(1), 1-17. 

  5. Bond, T. G., & Fox, C. M. (2007). Applying the rasch model: Fundamental measurement in the human sciences(2nd ed.). Mahwah,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6. Bryden, P., & McColl, M. A. (2003). The concept of occupation: 1900 to 1974. in McColl, M. A., Law, M., Stewart, D., Doubt, L., Pollock, N., & Thorofare, K. D. Theoretical basis of occupational therapy (pp.27-37, eds.). NJ: Slack. 

  7. Christiansen, C. H. (1996). Three perspectives on balance in occupation. In R. Zemke & F. Clark (Eds.), Occupational science: The evolving discipline (pp. 431-451). Philadelphia: F. A. Davis. 

  8. Christiansen, C., & Matuska, K. (2006). Lifestyle balance: A review of concepts and research. Journal of Occupational Science, 13(1), 49-61. 

  9. Custer, J. W. H., Hoijtink, H., & Net, J. (2000). Cultural differences in functional status measurement: Analyses of person fit according to the Rasch model. Quality of Life Research, 9, 571-578. 

  10. Dur, M., Steiner, G., Fialka-Moser, V., Kautzky-Willer, A., Dejaco, C., Prodinger, B., et al. (2014). Development of a new occupational balance-questionnaire: incorporating the perspectives of patients and healthy people in the design of a self-reported occupational balance outcome instrument. Health and Quality of Life Outcomes, 12(1), 45. 

  11. Dur, M., Unger, J., Stoffer, M., Dr?goi, R., Kautzky-Willer, A., Fialka-Moser, V., et al. (2015). Definitions of occupational balance and their coverage by instruments. British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78(1), 4-15. 

  12. Eakman, A. M. (2015). The meaningful activity wants and needs assessment: A perspective on life balance. Journal of Occupational Science, 22(2), 210-227. 

  13. Eklund, M., Orban, K., Argentzell, E., Bejerholm, U., Tjornstrand, C., Erlandsson, L., & & Hakansson, C. (2016). The linkage between patterns of daily occupations and occupational balance: Applications within occupational science and occupational therapy practice. Scandinavi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24(1), 41-56. 

  14. Farnworth, L. (2000). Time use and leisure occupations of young offenders.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54(3), 315-325. 

  15. Forhan, M., & Backman, C. (2010). Exploring occupational balance in adults with rheumatoid arthritis. OTJR: Occupation, Participation and Health, 30(3), 133-141. 

  16. Hong, S. P., & Lee, J. Y. (2010). Time use of areas of occupation according to the periods of life in koreans.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18(1), 95-106. 

  17. Kim, Y. J., Hong, S. P., & Park, H. Y. (2017). Analysing Korean occupational time changing trend based on ages using 2004, 2009, 2014 time use survey.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25(3), 13-25. 

  18. Lawshe, C. H. (1975). A quantitative approach to content validity 1. Personnel Psychology, 28(4), 563-575. 

  19. Linacre, J. M. (2002). Optimizing rating scale category effectiveness. Journal of Applied Measurement, 3(1), 85-106. 

  20. Matuska, K. (2012a). Description and development of the Life Balance Inventory. OTJR: Occupation, Participation and Health, 32(1), 220-228. 

  21. Matuska, K. M., & Christiansen, C. H. (2008). A proposed model of lifestyle balance. Journal of Occupational Science, 15(1), 9-19. 

  22. Meyer, A. (1922). The philosophy of occupation therapy.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31(10), 639-642. (Reprinted from Archives of Occupational Therapy, 1(1), 1-10, 1922). 

  23. Nilsson, A. L., Sunnerhagen, K. S., & Grimby, G. (2005). Scoring alternatives for FIM in neurological disorders applying Rasch analysis. Acta Neurologica Scandinavica, 111(4), 264-273. 

  24. Park, S. M., Park, H. Y., & Park, J. H. (2017). A review on concept and measurement of occupational balance: Trend and therapeutic prospect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Wellness, 12(3), 115-125. 

  25. Pizzi, M. A., & Richards, L. G. (2017). Promoting health, well-being, and quality of life in occupational therapy: A commitment to a paradigm shift for the next 100 years.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71(4), 7104170010p1-7104170010p5. 

  26. Powell, J. M., Rich, T. J., & Wise, E. K. (2016). Effectiveness of occupation-and activity-based interventions to improve everyday activities and social participation for people with traumatic brain injury: A systematic review.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70(3), 7003180040p1-7003180040p9. 

  27. Seo, K. H. (2007). Stress of the korean aging adults. The Korean Journal Of Stress Research, 15(4), 271-278. 

  28. Wagman, P., & Hakansson, C. (2014). Introducing the occupational balance questionnaire (OBQ). Scandinavi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21(3), 227-231. 

  29. Wagman, P., Hakansson, C., & Bjorklund, A. (2012). Occupational balance as used in occupational therapy: A concept analysis. Scandinavi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19(4), 322-327. 

  30. Wagman, P., Hakansson, C., & Jonsson, H. (2015). Occupational balance: A scoping review of current research and identified knowledge gaps. Journal of Occupational Science, 22(2), 160-169. 

  31. Westhorp, P. (2003). Exploring balance as a concept in occupational science. Journal of Occupational Science, 10(2), 99-106. 

  32. Wilcock A. (2006). An occupational perspective of health (2nd ed.). Thorofare, NJ: Slack 

  33. Wilcock, A. A. (1998). An occupational perspective of health. Thorofare, NJ: Slack. 

  34. Wilcock, A., & Townsend, E. (2009). Occupational Justice. In Willard & Sparckman's occupational therapy (11th ed.). Philadelphia: Lopponcott Williams & Wilkins. 

  35. World Health Organization. (2001). The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functioning, disability, and health: ICF. Geneva, Switzerland: World Health Organization.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