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노인 커뮤니티케어제도 내 작업치료사의 업무중요도와 수행에 대한 인식
Awareness of the Job Task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Occupational Therapists in the Elderly Community Care System 원문보기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지=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mmunity Based Occupational Therapy, v.9 no.3, 2019년, pp.11 - 19  

홍소영 (고신대학교 작업치료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적 : 본 연구는 노인 커뮤니티케어제도 및 제도 내에서 작업치료사 업무중요도와 수행에 대한 인식도를 알아보기 위해 실시되었다. 연구방법 : 전국의 152명의 작업치료사들을 대상으로 2019년 5월 31일부터 2019년 6월 24일까지 온라인 설문지를 통하여 조사하였다. 기술통계를 사용하여 일반적 특성, 제도 인식도, 역할과 수행 인식도를 분석하였고, 근무연수, 근무지역, 업무 분야에 따른 차이를 비교하기 위해서 ANOVA를 실시하였다. 결과 : 국내 작업치료사들의 노인 커뮤니티케어제도에 대한 인식은 2.93±1.049점으로 상대적으로 낮았으나, 커뮤니티케어제도의 중요도는 3.94±0.799점, 제도 내 작업치료사 역할의 중요도는 4.34±0.763점으로 높게 나타났다. 작업치료사의 업무의 중요도는 낙상 예방(4.63±0.7)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수행도는 수단적 일상생활 활동 훈련 (3.94±0.8), 신체 기능 증진훈련(3.94±0.8)이 높게 나타났다. 결론 : 본 연구는 노인 커뮤니티케어제도 내 작업치료사 업무중요도와 수행 인식도에 대한 기초자료로서 제시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향후 노인 커뮤니티케어제도 내 작업치료사의 역할 정착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wareness of job task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occupational therapists in the community care system for the elderly. Methods : We conducted an online questionnaire survey of 152 occupational therapists nationwide from May 31, to Jun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국내 작업치료사들을 대상으로 노인 커뮤니티케어제도 내 작업치료사의 업무의 중요도와 수행에 대한 인식도를 조사하여 향후 노인 커뮤니티케어제도 내 작 업치료사의 전문성강화를 위한 자료제공을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작업치료사의 업무의 중요도와 수행에 대한 인식도 조사를 위하여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설문지를 구성 하였고, 신뢰도 분석결과 업무중요도의 Cronbach alpha 는 .
  • 본 연구는 국내 작업치료사들을 대상으로 노인 커뮤니티케어제도에 대한 인식, 작업치료 업무중요도 및 수행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였다. 조사결과 노인 커뮤니티케 어제도 내 작업치료사 역할은 중요하게 인식하였으나, 커뮤니티케어제도에 대해서는 인식정도가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 본 연구는 정부의 노인 커뮤니티케어 정책 발표에 따라 작업치료사의 전문성 강화를 대비하기 위해 노인 커뮤니티케어제도 내 작업치료사 업무 중요도와 수행도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고자 실시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노인 커뮤니티케어제도 내 작업치료사의 역할방향 설정에 근거자료로 제공될 수 있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커뮤니티케어가 의미하는 바는 무엇인가? 커뮤니티케어는 고령사회에 적극 대응하기 위한 방안으로, 장기요양보험제도를 통한 돌봄의 제공을 넘어 지역사회 중심의 종합적인 접근법이다. 인간 중심 사회의 지속가능성을 고려하는 돌봄 방식으로, 자택이나 지역홈등 지역 사회에 거주하면서 개개인의 욕구에 맞는 복지급여와 서비스를 누리고, 지역 사회와 함께 어울려 살아가며 자아실현과 활동을 할 수 있도록 하려는 사회 서비스체계를 의미한다(KAOT, 2018).
커뮤니티케어란 무엇인가? 보건복지부는 2018년 3월 노인에 대한 돌봄을 커뮤니티케어 중심으로 전환한다고 발표하였다(MOWH, 2018). 커뮤니티케어는 고령사회에 적극 대응하기 위한 방안으로, 장기요양보험제도를 통한 돌봄의 제공을 넘어 지역사회 중심의 종합적인 접근법이다. 인간 중심 사회의 지속가능성을 고려하는 돌봄 방식으로, 자택이나 지역홈등 지역 사회에 거주하면서 개개인의 욕구에 맞는 복지급여와 서비스를 누리고, 지역 사회와 함께 어울려 살아가며 자아실현과 활동을 할 수 있도록 하려는 사회 서비스체계를 의미한다(KAOT, 2018).
노인 커뮤니티케어 중심의 지역사회 통합 돌봄 기본계획에 의한 핵심요소는 무엇인가? 2018년 수립된 노인 커뮤니티케어 중심의 지역사회 통합 돌봄 기본계획에 의한 핵심요소는 주거 지원 인프라 확충, 어르신의 집으로 찾아가는 방문건강 및 방문의료 실시, 재가 장기요양 및 돌봄서비스 획기적 확충, 사람 중심의 민관 서비스 제공이다. 노인 커뮤니티케어의 핵심 추진과제로 생활 SOC와 연계한 커뮤니티케어형 주거지원 인프라 대폭 확충, 지역사회 기반 방문형 보건의료서비스 실시, 퇴원서비스로 끊김 없는 재가서비스 연계, 건강 취약 노인에 대한 지역사회 기반 1:1 맞춤형 의료 제공, 2025년까지 OECD 선진국 수준으로 노인 장기요양 수급자 확대, 병원의 서비스 전문화 및 합리적 이용 유도, 지역사회 자율형 커뮤니티케어 서비스 연계체계 구축, 케어 전문인력 양성 및 기술적 기반 마련을 제시하였다(MOHW, 201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American Occupational Therapy Association(AOTA). (2014). Occupational therapy practice framework: Domain and process.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68, S1-S48. doi:10.5014/ajot.2014.68s1 

  2. American Occupational Therapy Association. (2002). Occupational therapy practice framework: Domain and process.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56(6), 609-639. 

  3. Cha, Y. J., & Jeon, B. J. (2012). Job characteristics and factors affecting work orientation of occupational therapists who take CBR based on the regional public health act: Focusing on public health centers and centers for dementia.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20(3), 41-53. 

  4. Chang, K. Y., & Woo, H. S. (2010). Influence of fall-preventive occupational therapy applied to elderly in the community upon balance ability.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0(3), 232-240. 

  5. Kim, S. K. (2005). The risk factors and occupational therapy for prevention of falling in the elderly.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13(3), 66-76. 

  6. Korean Association of Occupational Therapists (KAOT). (2018). Community care and occupational therapy. Seoul: Elderly Information Center. 

  7. Lee, C. Y., Park, Y. J., Park, K. H., Ji, S. Y., & Kim, H. J. (2018). The preliminary study for development of occupational therapy model focused on improving living functions within the community care system.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mmunity Based Occupational Therapy, 8(3), 1-12. 

  8. Lee, H. S., Chang, K. Y., Jung, M. Y., Ku, I. S., & Woo, H. S. (2014). Job analysis of occupational therapists for 2013.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22(2), 89-112. 

  9. Lee, H. S. (2011). A survey of the core job of occupational therapists and their different job tasks depending on the therapist's experience in years and different treatment areas.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19(1), 1-14. 

  10. Lim, S. R. (2006). Influence of the effects of training and the service capacity of hospital staff in results of service training. Korean Journal of Resources Development 8(2), 21-46. 

  11. Mann, W. C., Hurren, D., & Tomita, M. (1995). Assistive devices used by home-based elderly persons with arthritis.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49(8), 810-820. 

  12.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MOWH). (2018). Community care promotion direction for community-based welfare implmentation. Retrieved from file:///C:/Users/pc/Downloads/(%EB%B6%99%EC%9E%84%201)%20%EC%BB%A4%EB%AE%A4%EB%8B%88%ED%8B%B0%EC%BC%80%EC%96%B4%20%EC%B6%94%EC%A7%84%EB%B0%A9%ED%96%A5.pdf 

  13. Park, Y. J., Lee, C. Y., Ji, S. Y., Park, K. H., & Kim, H. J. (2019). Roles of occupational therapist in community care system.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27(1), 103-113. 

  14. Woo, J. H., & Kim, J. H. (2019). Intervention on visiting home occupational therapy: A systematic.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27(3), 59-77.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