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과학관 전시물 연계 동화 활용 스토리텔링 수업이 초등학생의 과학학습정서에 변화를 가져온 요인 분석
An Analysis of the Factors that Change the Science Academic Emotion of Elementary Students in Storytelling Classes Using Fairy Tales Connected to Exhibits in Science Museum 원문보기

과학교육연구지 : 경북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v.43 no.3, 2019년, pp.300 - 317  

최소영 (경인교육대학교) ,  신영준 (경인교육대학교)

초록

본 연구는 과학관 전시물 연계 동화 활용 스토리텔링 수업이 초등학생의 과학 긍정경험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고자 한 것이다. 연구를 위해 동화를 과학관 전시물과 연관시켜 학교 밖에서도 개인이 과학을 탐구할 수 있도록 탐방활동지를 개발하였다. 초등교과서에 언급되어지는 동화 4종을 G 과학관 전시물과 연계시켜 활동지 4종류를 개발하였고, 개발된 활동지는 현직 초등교사 7명에게 검토를 의뢰하여 내용 검증을 거쳤다. 개발한 활동지를 통한 수업은 10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매번 1시간 30분씩 연속 4회 진행하였다. 연구 참여 학생들을 대상으로 과학긍정경험 검사를 실시하여 본 활동이 과학긍정경험의 하위 영역 중 과학학습정서에 유의미한 변화를 일으켰음을 확인하였다. 과학학습정서에 영향을 미친 요인을 알아보기 위해 연구 참여 학생들과 참여 학생의 학부모를 대상으로 면담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동화를 전시물과 함께 활용하면 과학적 호기심을 유발시켜 과학적 사고를 하는데 도움을 주고, 과학적 흥미를 유발시켜 놀이장소로 인식하는 과학관 전시물체험을 통해 학습 부담감을 감소시켜 과학에 대한 과학학습정서에 유의미한 변화가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s to find how storytelling classes using fairy tales related to science museum exhibits have an effect on positive experience about science. For this study, the theoretical background and preceding studies on the relevance of science education and literature were collected and based on...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스토리텔링의 유형은 무엇입니까? 과학 수업에서 학습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전략으로 스토리텔링이 활용되어 학생들의 과학에 대한 흥미와 관심도가 향상되었고, 과학적 사고에 바탕을 둔 문제해결 능력과 창의적 사고 능력에 긍정적인 효과를 보여 준다는 논의는 일련의 연구를 통해 지속적으로 이어져오고 있다(Kang, 201; Kim & Yoo, 2013; Le & Le, 2012). Park(2015)은 과학교육에서 사용하는 스토리텔링의 유형을 크게 ‘실생활 연계형, 과학사 탐구형, 과학동화형, 학문융합형’으로 분류하였다. 그는 동화를 통한 과학적 요소 발견 및 탐구, 동화 캐릭터 변형(활용)을 통한 학습 도움.
과학적 호기심이 점차 사라지는 이유는? 학교에서 과학을 배울 때는 오로지 학습적인 이유로 과학을 접하게 되다보니 학년이 올라갈수록 과학학습에 대한 부담감이 점차 증가하게 된다. 과학적 호기심은 학습에 대한 부담감이 많지 않은 초등학교 저학년 때부터 자라기 시작하는데 이렇게 시작한 과학적 호기심은 체험중심의 과학수업이 아닌 지식위주의 과학수업으로 인해 학년이 올라갈수록 과학을 어렵게 생각하고 흥미가 사라지고 있는 것은 사실이다. 특히 여학생들의 과학학습의 어려움과 학습 부담감은 학습이 본격적으로 이루어지는 초등학교 고학년이 될수록 상승하고 있다(Choi et al.
직접 체험을 통한 탐구가 간접 탐구보다 중요한 이유는? 학생들은 직접 눈으로 보고, 손으로 만져 보고, 귀로 소리를 듣고, 코로 냄새를 맡는 등 과학현상을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생생한 경험을 통해 탐구하는 것이 중요하다. 직접 체험이 주를 이루는 과학관에서의 탐구는 탐구 내용이 생생하게 각인되고 오랫동안 기억되기 때문에 책을 통한 간접 탐구(혹은 학습) 보다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학습자의 현상에 대한 호기심으로부터 출발한 직접 체험을 통한 탐구는 학습 현장의 상황과 이전의 지식을 연계하여 지식의 기억을 장기화하는 데 효과적으로 작용한다(Hofstein & Rosenfeld, 19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7)

  1. Albert, H. (1978). Science and the search for truth: Critical rationalism and the methodology of science. In G. Radnitzky, & G. Andersson (Eds.), Process and Rationality in Science. Dordrecht, Netherlands: Reidel. 

  2. Beiers, J., & McRobbie, J. (1992). Learning in interactive science centers.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22, 38-44. 

  3. Cerbus, D., & Rice, C. (1991). Connecting science and literature. Garden Grove, CA: Teacher Created Resources. 

  4. Chang, H., & Choi, G. (2006). The effects of science museum field trips on middle school students' awareness about science-technology-society (STS) interactions.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6(2), 425-445. 

  5. Chang, H., & Lee, H. (2008). Discourse analysis of pre-service science teachers and students in science museums and its implication for teacher education.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27(3), 211-220. 

  6. Choi, H., Chang, H., & Lee, H. (2006).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ceptions on the use of educational programs in science museums.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25(3), 331-337. 

  7. Choi, K., Shin, D., & Rhee, H. (2008). Facts on gender difference in science education and solutional strategies. Women, 25(2), 117-158. 

  8. Cohen, G. (1994). Restructuring the classroom: Conditions for productive small groups.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64(1), 1-35. 

  9. Hefner, C., & Lewis, K. (1995). Literature-based science: Children's books and activities to enrich the K-5 Curriculum. Phoenix, AZ: Oryx Press. 

  10. Henriksen, E., & Froyland, M., (2000). The contribution of museums to scientific literacy: views from audience and museum professionals. Public Understanding of Science, 9(4), 393-416. 

  11. Henriksen, E., & Jorde, D. (2001). High school students' understanding of radiation and the environment: Can museums play a role?. Science education, 85(2), 189-206. 

  12. Hofstein, A., & Rosenfeld, S. (1996). Bridging the gap between formal and informal science learning. Studies in Science Education, 28(1), 87-112. 

  13. Hwang, M. (2007). A study of picture-book picture read teaching-learning plan for literature response activation (Master thesis).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14. Jung, J., Song, J., Lee, S., Kim, C., & Kim, H. (2005). Reflection of the school science curriculum in the exhibits of natural history museums in the United States. Biology Education, 33(2), 235-247. 

  15. Kang, H., Gong, Y., Kwon, H., Kim, J., Bae, J., Song, M., Shin, Y., Yang, I., Yoon, H., Lee, D., Lee, M., Lim, C., Lim, H., Jang, S., Jeon, Y., &, Chae, D. (2007). Theory of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Seoul: Gyoyukkawkhaksa. 

  16. Kang, K. (2011). The development of storytelling biology learning program on the basis of narrative thinking. Educational Research, 50, 175-196. 

  17. Kim, H., & Yoo, B. (2013). The effect of science instruction with storytelling on the achievement, science related attitude and interest in elementary School. Journal of Korean Earth Science Education, 6(3), 207-220. 

  18. Kim, S. (2013). A study on utilization of korean traditional fairy tales in elementary science class: Focusing on the units 'dissolution and solution', 'various gases', 'combustion and extinguishment' (Master thesis). Kwangj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19. Koran, J., & Longino, S. (1982). Curiosity behavior in formal and informal learning settings: What research says. Bulletin prepared for the Frorida Educational Research and Development Council. 

  20. Lee, K. (2013). A study on the economy class in elementary schools with the utilization of children's story. Research in Social Studies Education, 20(4), 81-96. 

  21. Lee, S., Shin, H., Myeong, J., & Kim, C. (2010). The effect of science museum educational program on primary school students' science learning motivation.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29(1), 47-55. 

  22. Lee, S., & Lee, Y. (2012). The effects of 'Solar System and Star' using storytelling skill on science learning motivation and space perception ability. Journal of Korean Earth Science Education, 5(1), 105-113. 

  23. Melber, L. M., & Abraham, L. M. (2002). Science education in U.S. natural history museums: A historical perspective. Science & Education, 11, 45-54. 

  24. Mello, R. (2001). The power of storytelling: How oral narrative influences children's relationships in classrooms. International Journal of Education & the Arts, 2(1). 55-83. 

  25. Ministry of Education [MOE]. (2015). Science Curriculum (MOE Notification No. 2015-74 [supplement 9]). Sejong, Korea: Author. 

  26. Na, B. R. (2011). A study on distraction and tactility of virtual space focusing on the gameplay of . Digital Storytelling Studies, 6, 123-159. 

  27. NGSS Lead States (2013). Next generation science standards: for states, by states. Washington, DC: National Academies Press. 

  28. Osborne, J., & Dillon, J. (2007). Research on learning in informal contexts: Advancing the field?.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9(12), 1441-1445. 

  29. Park, S. (1985). Effects of cooperative and competitive learning strategy on cognitive - Affective outcomes : A Review. CNU Journal of Educational Studies, 7(1), 79-94. 

  30. Park, S., Kang, H., Kim, H., Song, J., Yoo, J, Yoon, H., Jang, G., Jeo, Y., & Han, I. (2000). A study on the promotion of scientific activities outside the school of youth (ORM 2008-18). Seoul, Korea: Ministry of Science and Technology. 

  31. Park, Y. (2015). Types and flow structure of storytelling in elementary science textbooks : Focusing on 3rd and 4th grades on matter area (Master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32. Rix, C., & McSorley, J. (1999). An investigation into the role that school-based interactive science centres may play in the education of primary-aged children.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1(6), 577-593. 

  33. Semper, R. (1990). Science museums as environments for learning. Physics Today, 43(11), 50-56. 

  34. Shin, Y. (2012). The status of science teacher training programs in English science museum and Gwacheon national science museum. Biology Education, 40(1), 38-46. 

  35. Shin, Y., Kwak, Y., Kim, H., Lee, S. Y., Lee, S. H., & Kang, H. (2017).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est for indicators of positive experiences about science.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7(2), 335-346. 

  36. Shin, Y., Shin, M., Jhun, Y., Chung, K., Lim, D., Moon, M, Lim, J., & Lee, B. (2013). A study on the current status of domestic science museum: Focus on organization, operation, and education.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3(2), 359-372. 

  37. Slavin, R. (1995). Cooperative learning: Theory, research, and practice. Boston, MA: Allyn & Bacon.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