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 수학 교사교육 연구의 동향 분석: 2000년 이후 게재된 한국수학교육학회의 학술지 논문을 중심으로
Domestic research trends of mathematics teacher education: Focused on the journals published since 2000 by the Korean Society of Mathematics Education 원문보기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thematical Education. Series A. The Mathematical Education, v.58 no.1, 2019년, pp.121 - 138  

선우진 (영덕초등학교) ,  방정숙 (한국교원대학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trends of domestic research on mathematics teacher education in terms of the period, topics, methods, subjects, and mathematics content strands. For this purpose, a total of 220 research articles dealing with mathematics teacher education were analyzed, w...

주제어

표/그림 (13)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수학 교사 지식에 대한 연구에 대한 연구는 어떻게 나누어 구분할 수 있는가? 둘째, 교사 지식에 대한 연구는 예비 교사 또는 현직 교사를 대상으로 수학 교육에 대한 지식의 실태를 조사한 연구와 그러한 지식의 신장 및 변화에 초점을 둔 연구로 나누어 구분하였다. 이때 교사 지식에 대한 연구는 교사의 전반적인 지식보다는 교사의 지식을 세분화하여 연구하는 경향이 있었다.
수학 교사교육에 대한 국내의 동향을 다룬 연구를 살펴본 결과, 수학 교사 교육의 주제를 분류하는 기준과 관련하여 얻을 수 있는 시사점은 무엇인가? 이상 수학 교사교육에 대한 국내의 동향을 다룬 연구를 살펴본 결과, 수학 교사교육의 주제를 분류하는 기준과 관련하여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도출할 수 있다. 먼저 수학 교사교육 연구에 초점을 둔 Lo 외(2014), 방정숙과 선우진(2014)에 의하면, 수학 교사교육 연구의 주제는 공통적으로 크게 교사의 지식에 대한 연구, 교사의 신념·가치 등을 다룬 연구, 교사의 전문성 신장 방안에 대한 연구로 분류할 수 있다. 그리고 방정숙과 선우진(2014), 김유경과 방정숙(2017)을 중심으로 세부 기준을 살펴본 결과, 방정숙과 선우진(2014)은 ‘전문성 신장’이라는 주제 안에 교사 지식 및 교사 지향의 신장을 다룬 연구, 수학 수업에 대한 연구를 포함하였는데, 이는 다른 세부기준들과 다소 중복되었다. 예를 들어, 교사 지식 및 교사 지향의 신장을 다룬 연구는 각각 교사 지식에 대한 연구와 교사 지향에 대한 연구로 분류하는 것이 오히려 연구주제에 대한 분류 결과를 직관적으로 이해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김유경과 방정숙(2017)은 교사의 수학 수업에 대한 연구와 교사 양성 교육에 대한 연구를 각각 별도의 주제로 분류하였다는 점에서 해당 주제가 수학 교사교육 연구에서 비중 있게 다루어지는 주제 중 하나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수학 교사교육 연구를 분류하기 위한 연구주제를 설정할 때, 위와 같은 시사점을 고려하여 크게 수학 교사교육에 대한 일반연구, 교사 지식에 대한 연구, 교사 지향1)에 대한 연구, 수학 수업에 대한 연구, 교사 양성 및 재교육에 대한 연구로 분류하였다.
2012년 PME-NA에 소개된 수학 교사교육에 대한 연구를 어떻게 분류할 수 있는가? 이는 2012년에 개최된 국제수학교육심리학회의 북미 지부(North American Chapter of the International Group for the Psychology of Mathematics Education, PME-NA)에 소개된 약 300편의 연구 중 1/3 이상이 수학 교사교육에 관한 연구였다는 점을 통해서도 알 수 있다(Lo, Leatham, & van Zoest, 2014). Lo 외(2014)는 2012년 PME-NA에 소개된 수학 교사교육에 대한 연구를 ‘가르치는 데 필요한 수학적 지식’, ‘수학 교사교육에서의 신념과 정체성’, ‘수학 교사의 학습을 위한 도구와 기술’이라는 세 가지의 주제로 분류하였다. 이는 수학 교사교육에 대한 국외 연구에서 주로 다루는 주제라는 점에서 주목할 필요가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Kang, S. & Jang, M. (2016). On secondary mathematics teachers' technology integration self-efficacy. The Mathematical Education 55(4), 523-538. 

  2. Kang, W., Chang, Y., & Jeong, S. (2016). An analysis on the pattern of questioning sentence: A case study for the newly appointed teacher. Education of Primary School Mathematics 14(3), 293-302. 

  3. Kang, H. Y., Lee, D. H., & Ko, E. S. (2012). Mathematics teacher's perspective on good teaching and teacher professional development: Difference in school level and career. The Mathematical Education 51(2), 173-189. 

  4. Kwon, N. Y. (2015). Discussion for research on mathematics teacher knowledge. In J. H. Kim & N. Y. Kwon (Eds.), Mathematics teacher knowledge: Korean Society of Mathematics Education 2015 yearbook (pp. 1-13). Seoul: KyungMoon. 

  5. Kwon, O. N., Park, J. H., Oh, K. H., & Bae, Y. G. (2014). A case study on the development and practice of lessons for mathematics-oriented convergence through the professional development of multi-tiered teacher community. The Mathematical Education 53(3), 357-381. 

  6. Kwon, O. N., Park, J. S., Park, J. H., & Cho, H M. (2014). Designing and implementing professional development program of multi-tiered teacher community: Joint collaboration between teachers and PD program developers. The Mathematical Education 53(2), 201-217. 

  7. Kim, G. & Jeon, M. (2017). Exploring teachers' pedagogical design capacity: How mathematics teachers plan and design their mathematics lessons. The Mathematical Education 56(4), 365-385. 

  8. Kim, N. G. (2017).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in mathematics based on the collaboration with university and its affiliated elementary school. The Mathematical Education 56(1), 119-130. 

  9. Kim, S. H. (2013). Analysis on the peer assessment results and the attributes of mathematics pre-service teachers' virtual instruction. The Mathematical Education 52(4), 465-481. 

  10. Kim, S-K. (2016). Analysis of mathematical quality of instruction between preservice and inservice mathematics teachers. The Mathematical Education 55(4), 397-416. 

  11. Kim, Y. (2002). The ideal and reality of education for mathematics teacher education.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14, 453-468. 

  12. Kim, Y. K. & Pang, J. S. (2017). Research trends in elementary mathematics education: Focused on the papers published in domestic journals during the resent seven years. Education of Primary School Mathematics 20(1), 19-36. 

  13. Kim, H., Han, C., Bae, M. & Kwon, O. (2017). The relationship between mathematics teachers' noticing and responsive teaching: In the context of teaching for all students' mathematical thinking. The Mathematical Education 56(3), 341-363. 

  14. Noh, S. & Kim, M. (2001). A survey of the cognition of teachers, students, parents towards instructional media in mathematics education. The Mathematical Education 40(2), 265-289. 

  15. Park, S. & Kim, W. (2011). A comparative analysis on research trends of secondary mathematics education between Korea and overseas. The Mathematical Education 50(3), 285-308. 

  16. Pang, J. S., Kim, J. W., & Kim, H. J. (2012). An analysis of good mathematics instruction by key instructional elements of measurement. Education of Primary School Mathematics 15(2), 77-89. 

  17. Pang, J. S. & Sunwoo, J. (2014). Domestic research trends of mathematics teacher education: Focused on the journals by the Korea society of educational studies in mathematics. School Mathematics 16(2), 335-353. 

  18. Song, K. Y. & Pang, J. S. (2013). Domestic research trends of teacher knowledge in mathematics. The Korean School Mathematics Society 16(1), 265-287. 

  19. Song, S., Pang, J., Lim, J., Kang, O., Kang, H., Kwon, N., ..., Choi, J. Y. (2013). Methods of mathematics education: Korea Society of Educational Studies in Mathematics 2013 yearbook. Seoul: KyungMoon. 

  20. Shin, J. (2003). Development of elementary mathematics teaching-learning programs for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 The Mathematical Education 42(4), 453-463. 

  21. Shin, H. (2003). A study on development of curriculum and teaching-learning method for department of mathematics education at teachers college. The Mathematical Education 42(4), 431-452. 

  22. Shin, H., Seoh, B., Cho, S., Lim, H., & Lee, K. (2002). Liping Ma's study and its implication.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13, 717-727. 

  23. Shim, S. & Lee, K. (2013). A study on the knowledge formation and utilization of computer among beginning secondary mathematics teachers. The Mathematical Education 52(2), 163-174. 

  24. Oh, W. M. (2013). The study of multicultural education for preservice teachers in Gangwon-do who major in mathematics education. The Mathematical Education 52(3), 379-398. 

  25. Choi, M., Lee, J., & Kim, W. (2016). An analysis of mathematical knowledge for teaching of statistical estimation. The Mathematical Education 55(3), 317-334. 

  26. Tak, B., Ku, N., Kang, H., & Lee, K. (2017). Preservice Secondary Mathematics Teachers' Statistical Literacy in Understanding of Sample. The Mathematical Education 56(1), 19-39. 

  27. Han, I. (2003). A study on teaching-learning programs of mathematics education and mathematics history related courses for training of mathematics teacher of secondary schools. The Mathematical Education 42(4), 465-480. 

  28. Hwang, J. & Shin, B. (2016). An analysis of teacher's knowledge about reductio ad absurdum: Focused on "subject matter knowledge" and "knowledge of students' understanding". The Mathematical Education 55(1), 91-106. 

  29. Chapman, O. (2014). Overall commentary: Understanding and changing mathematics teachers. In J-J. Lo, K. R. Leatham, & L. R. van Zoest (Eds.), Research trends in mathematics teacher education (pp. 295-309). New York: Springer. 

  30. Lo, J-J., Leatham, K. R., & van Zoest, L. R. (2014). Research trends in mathematics teacher education. New York: Springer. 

  31. Pang, J. S. (2018). Challenges and actions in mathematics teacher education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in Korea. In M. Park, I. Jeon, & E. Kim (Eds.), Proceedings of the 2018 international conference of the Korean Society of mathematics education (pp. 61-72). Seoul: CheonJae. 

  32. Ponte, J., P. & Chapman, O. (2008).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knowledge and development. In L. D. English (Ed.), Handbook of international research in mathematics education: Directions for the 21st century (2nd Ed., pp. 225-263). New York: Routledge. 

  33. Schoenfeld, A. H. (2010). How we think: A theory of goal-oriented decision making and its educational application. New Yokr: Routledge. 이경화 역 (2013). 수학수업, 설명을 만나다. 서울: 경문사. 

  34. Stockero, S. L. (2008). Using a video-based curriculum to develop a reflective stance in prospective mathematics teachers. Journal of Mathematics Teacher Education 16, 221-248. 

  35. Yoon, Suk-Im (2007). The development of subject matter knowledge and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in function Instruction.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21(4), 575-59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