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댕댕이나무 열매 추출물이 지방전구세포와 마우스 지방유래줄기세포의 분화 및 지방 생성 억제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Lonicera caerulea extract on adipocyte differentiation and adipogenesis in 3T3-L1 cells and mouse adipose-derived stem cells (MADSCs) 원문보기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v.52 no.1, 2019년, pp.17 - 25  

박미의 (가천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이창호 (한국식품연구원) ,  이해정 (가천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댕댕이나무 열매 추출물이 3T3-L1과 마우스 지방유래줄기세포의 지방 분화유도 및 지방생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3T3-L1에 댕댕이나무 열매 추출물을 처리하였을 때, 농도의존적으로 지방구의 생성을 줄였고 지방세포 분화에 있어서 중요한 전사인자인 $PPAR{\gamma}$, $C/EBP{\alpha}$, SREBP1의 발현을 억제시켜 지방 합성이 감소됨을 확인하였다. 또한, 마우스 지방에서 분리한 줄기세포의 지방 분화과정에서도 댕댕이나무 열매 추출물이 $PPAR{\gamma}$, $C/EBP{\alpha}$, SREBP1의 단백질 발현을 감소시켜 지방 축적을 농도 의존적으로 억제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댕댕이나무 열매 추출물은 세포독성이 없는 농도에서 지방 세포의 분화를 억제 하는 것으로 확인되어 항비만 기능성 소재로서의 활용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Obesity is a major health problem of global significance because it is clearly associated with an increased risk of health problems, such as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NAFLD), diabetes, cardiovascular diseases, and cancer. Lonicera caerulea (LC) originates from high mountains or wet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최근 안토시아닌이 풍부한 식물자원들을 이용하여 항비만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지만 [19-21] 아직까지 댕댕이나무 열매 추출물의 지방전구세포 분화 영향에 관련된 연구는 보고된 바가 없다. 따라서, 본 연구는 3T3-L1과 마우스 지방유래줄기세포를 이용하여 댕댕이나무 열매 추출물 (Lonicera caerulea extract, LCE)이 지방세포분화 및 증식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댕댕이나무 추출물을 3T3-L1세포에 처리한 결과 지방전구세포의 분화 및 지방 생성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는가? 3T3-L1세포에 댕댕이나무 열매 추출물을 7일간 처리 후 8일째 지방 분화관련 전사인자들 및 그에 따른 단백질 발현을 살펴본 결과, PPARγ, C/EBPα, SREBP1의 mRNA발현과 단백질 발현 모두 농도 의존적으로 대조군에 비해 댕댕이나무 열매 추출물을 처리한 군에서 감소하였는데 이는 댕댕이나무 열매 추출물을 처리한 마우스 지방유래줄기세포에서도 동일한 결과를 얻었다. 이러한 결과는 지방 분화에 핵심적인 PPARγ, C/EBPα, SREBP1의 mRNA발현 저해가 단백질 발현 저해를 일으키고 나아가 3T3-L1과 마우스 지방유래줄기세포내 지방구 형성을 억제시키는 결과를 일으킨 것으로 사료된다. 즉, 댕댕이나무 열매 추출물이 3T3-L1세포에서 지방 합성 전사인자 및 단백질 발현을 감소시켜 지방구 크기를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다른 베리류의 지방합성 억제 효과 연구 결과들과 비슷하였다 [5,39,40].
댕댕이나무 (Lonicera caerulea) 열매는 무엇인가? 그 중 강력한 항산화물질인 플라보노이드를 다량 함유한 베리류, 감귤류, 코코아, 녹차 등에 관한 연구들이 진행 중에 있다 [4-6]. 베리류의 일종인 댕댕이나무 (Lonicera caerulea) 열매는 허니베리로 많이 알려진 열매로 보라색의 납작한 모양으로 높은 산의 초지 또는 숲 가장자리에 서식하는데 러시아, 중국 만주 지방과 일본, 몽골 등지에서 볼 수 있고 전통 의료 목적으로도 사용되어 왔다 [7]. 국내에서는 강원도와 함경도, 그리고 한라산 능선 지역에서 생산되고 있다.
지방유래줄기세포가 연구에서 활용시 가진 장점은 무엇인가? 항비만 in vitro실험으로 지방전구세포인 3T3-L1이 많이 사용되고 있으나 최근 연구에서는 다양한 조직으로 분화할 수 있는 지방유래줄기세포 (ex vivo)를 이용하여 갈색지방으로 의 분화 유도에 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15]. 지방유래줄기세포는 많은 양을 얻을 수 있고 안정적이며 분화 유도 시 다양한 세포로의 분화가 가능하기 때문에 세포 치료용으로의 가능성도 높아지고 있다 [16]. 지방전구세포에 isobutylmethylxanthine (IBMX), dexamethasone (DEX), insulin을 처리하면 지방세포로 분화가 진행되는데 [17], 지방조직의 분화는 다른 조직세포분화와는 달리 여러 호르몬과 다양한 전사인자들의 상호작용을 통해 이루어진다 [1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2)

  1. Yatsuya H, Li Y, Hilawe EH, Ota A, Wang C, Chiang C, et al. Global trend in overweight and obesity and its association with cardiovascular disease incidence. Circ J 2014; 78(12): 2807-2818. 

  2. Kopelman PG. Obesity as a medical problem. Nature 2000; 404(6778): 635-643. 

  3. Must A, Spadano J, Coakley EH, Field AE, Colditz G, Dietz WH. The disease burden associated with overweight and obesity. JAMA 1999; 282(16): 1523-1529. 

  4. Bell L, Lamport DJ, Butler LT, Williams CM. A review of the cognitive effects observed in humans following acute supplementation with flavonoids, and their associated mechanisms of action. Nutrients 2015; 7(12): 10290-10306. 

  5. Han MH, Kim HJ, Jeong JW, Park C, Kim BW, Choi YH. Inhibition of adipocyte differentiation by anthocyanins isolated from the fruit of Vitis coignetiae pulliat is associated with the activation of AMPK signaling pathway. Toxicol Res 2018; 34(1): 13-21. 

  6. Leu SY, Chen YC, Tsai YC, Hung YW, Hsu CH, Lee YM, et al. Raspberry ketone reduced lipid accumulation in 3T3-L1 cells and ovariectomy-induced obesity in wistar rats by regulating autophagy mechanisms. J Agric Food Chem 2017; 65(50): 10907-10914. 

  7. Rupasinghe HP, Yu LJ, Bhullar KS, Bors B. Short communication: haskap (Lonicera caerulea): a new berry crop with high antioxidant capacity. Can J Plant Sci 2012; 92(7): 1311-1317. 

  8. Kahkonen MP, Hopia AI, Heinonen M. Berry phenolics and their antioxidant activity. J Agric Food Chem 2001; 49(8): 4076-4082. 

  9. Wang SY, Lin HS. Antioxidant activity in fruits and leaves of blackberry, raspberry, and strawberry varies with cultivar and developmental stage. J Agric Food Chem 2000; 48(2): 140-146. 

  10. Han SJ. Protective efficacies of Aronia melanocarpa (blackberry) on the allyl alcohol-damaged hepatocyte of mice. Korean J Pharmacogn 2013; 44(1): 91-96. 

  11. Kim JH, Jo MN, Han JH, Pyo SH, Kim TS, Kim EH, et al. Anti-inflammatory activity of the fruits of blue honeysuckle. Yakhak Hoeji 2016; 60(5): 235-242. 

  12. Ko GA, Koh YS, Ryu JY, Kim Cho S. Comparison of proximate compositions, antioxidant, and antiproliferative activities between blueberry and Sageretia thea (Osbeck) M.C. Johnst fruit produced in Jeju Island. J Appl Biol Chem 2017; 60(2): 161-171. 

  13. Zhao H, Wang Z, Ma F, Yang X, Cheng C, Yao L. Protective effect of anthocyanin from Lonicera caerulea var. edulis on radiation-induced damage in mice. Int J Mol Sci 2012; 13(9): 11773-11782. 

  14. Vostalova J, Galandakova A, Palikova I, Ulrichova J, Dolezal D, Lichnovska R, et al. Lonicera caerulea fruits reduce UVA-induced damage in hairless mice. J Photochem Photobiol B 2013; 128: 1-11. 

  15. Aune UL, Ruiz L, Kajimura S. Isolation and differentiation of stromal vascular cells to beige/brite cells. J Vis Exp 2013; (73): 50191. 

  16. Strem BM, Hicok KC, Zhu M, Wulur I, Alfonso Z, Schreiber RE, et al. Multipotential differentiation of adipose tissue-derived stem cells. Keio J Med 2005; 54(3): 132-141. 

  17. Harmon AW, Harp JB. Differential effects of flavonoids on 3T3-L1 adipogenesis and lipolysis. Am J Physiol Cell Physiol 2001; 280(4): C807-C813. 

  18. Rosen ED, MacDougald OA. Adipocyte differentiation from the inside out. Nat Rev Mol Cell Biol 2006; 7(12): 885-896. 

  19. Lee YM, Yoon Y, Yoon H, Park HM, Song S, Yeum KJ. Dietary anthocyanins against obesity and inflammation. Nutrients 2017; 9(10): 1089. 

  20. Azzini E, Giacometti J, Russo GL. Antiobesity effects of anthocyanins in preclinical and clinical studies. Oxid Med Cell Longev 2017; 2017: 2740364. 

  21. Lee B, Lee M, Lefevre M, Kim HR. Anthocyanins inhibit lipogenesis during adipocyte differentiation of 3T3-L1 preadipocytes. Plant Foods Hum Nutr 2014; 69(2): 137-141. 

  22. Tontonoz P, Hu E, Spiegelman BM. Regulation of adipocyte gene expression and differentiation by peroxisome proliferator activated receptor $\gamma$ . Curr Opin Genet Dev 1995; 5(5): 571-576. 

  23. Wu Z, Puigserver P, Spiegelman BM. Transcriptional activation of adipogenesis. Curr Opin Cell Biol 1999; 11(6): 689-694. 

  24. Oh SW. Recent epidemiological changes in Korean obesity. Korean J Helicobacter Up Gastrointest Res 2017; 17(2): 62-65. 

  25. Muir LA, Neeley CK, Meyer KA, Baker NA, Brosius AM, Washabaugh AR, et al. Adipose tissue fibrosis, hypertrophy, and hyperplasia: correlations with diabetes in human obesity. Obesity (Silver Spring) 2016; 24(3): 597-605. 

  26. Ailhaud G, Grimaldi P, Negrel R. Cellular and molecular aspects of adipose tissue development. Annu Rev Nutr 1992; 12(1): 207-233. 

  27. MacDougald OA, Hwang CS, Fan H, Lane MD. Regulated expression of the obese gene product (leptin) in white adipose tissue and 3T3-L1 adipocytes. Proc Natl Acad Sci U S A 1995; 92(20): 9034-9037. 

  28. Yu S, Shin S. Effects of Carthamus tinctorius extract on adipogenic differentiation of mouse bone marrow-derived mesenchymal stromal stem cells. J Int Korean Med 2017; 38(1): 1-9. 

  29. Chen G, Li H, Zhao Y, Zhu H, Cai E, Gao Y, et al. Saponins from stems and leaves of Panax ginseng prevent obesity via regulating thermogenesis, lipogenesis and lipolysis in high-fat diet-induced obese C57BL/6 mice. Food Chem Toxicol 2017; 106 (Pt A): 393-403. 

  30. Zuk PA. The adipose-derived stem cell: looking back and looking ahead. Mol Biol Cell 2010; 21(11): 1783-1787. 

  31. Gregoire F, Todoroff G, Hauser N, Remacle C. The stroma-vascular fraction of rat inguinal and epididymal adipose tissue and the adipoconversion of fat cell precursors in primary culture. Biol Cell 1990; 69(3): 215-222. 

  32. Pandurangan M, Park J, Kim E. Aspartame downregulates 3T3-L1 differentiation. In Vitro Cell Dev Biol Anim 2014; 50(9): 851-857. 

  33. Umek RM, Friedman AD, McKnight SL. CCAAT-enhancer binding protein: a component of a differentiation switch. Science 1991; 251(4991): 288-292. 

  34. Cornelius P, MacDougald OA, Lane MD. Regulation of adipocyte development. Annu Rev Nutr 1994; 14(1): 99-129. 

  35. Smolik M, Ochmian I, Grajkowski J. Genetic variability of Polish and Russian accessions of cultivated blue honeysuckle (Lonicera caerulea). Genetika 2010.46(8): 1079-1085. 10.1134/s1022795410080077 

  36. Plekhanova MN. Blue honeysuckle (Lonicera caerulea L.) - a new commercial berry crop for temperate climate: genetic resources and breeding. Acta Hortic 2000; 538(538): 159-164. 

  37. Skupien K, Ochmian I, Grajkowski J. Influence of ripening time on fruit chemical composition of two blue honeysuckle cultigens. J Fruit Ornam Plant Res 2009; 17(1): 101-111. 

  38. Joseph SV, Edirisinghe I, Burton-Freeman BM. Berries: anti-inflammatory effects in humans. J Agric Food Chem 2014; 62(18): 3886-3903. 

  39. Song Y, Park HJ, Kang SN, Jang SH, Lee SJ, Ko YG, et al. Blueberry peel extracts inhibit adipogenesis in 3T3-L1 cells and reduce high-fat diet-induced obesity. PLoS One 2013; 8(7): e69925. 

  40. Tsuda T. Recent progress in anti-obesity and anti-diabetes effect of berries. Antioxidants 2016; 5(2): 13. 

  41. Kim HK, Kim JN, Han SN, Nam JH, Na HN, Ha TJ. Black soybean anthocyanins inhibit adipocyte differentiation in 3T3-L1 cells. Nutr Res 2012; 32(10): 770-777. 

  42. Khan MI, Shin JH, Shin TS, Kim MY, Cho NJ, Kim JD. Anthocyanins from Cornus kousa ethanolic extract attenuate obesity in association with anti-angiogenic activities in 3T3-L1 cells by down-regulating adipogeneses and lipogenesis. PLoS One 2018; 13(12): e0208556.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