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 성인의 천식과 치아우식과의 관련성:제 6기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 이용
Relationship between asthma and dental caries in Korean adults: Data from the Six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원문보기

JKSDH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ental Hygiene = 한국치위생학회지, v.19 no.1, 2019년, pp.131 - 140  

최윤영 (신한대학교 치위생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association between asthma and dental caries by using data from the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from 2013 to 2015. Methods: The study included 11,731 subjects who were ${\geq}19$ years of ag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럼에도 불구하고 체계적으로 층화추출 된 표본을 사용해 연구가 이루어진 점, 많은 표본 수는 연구결과를 일반화시킬 수 있는 접근성을 높여주어 본 연구의 장점이라고 사료된다. 또한 치과의사가 직접 치아우식을 진단하고 이를 바탕으로 DMFT 수치를 산출했기 때문에 보다 객관적인 자료를 기반으로 한 연구 결과라 하겠다.
  • 본 연구는 제6기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28]를 이용하여 성인을 대상으로 천식과 치아우식 유병여부 및 DMFT를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 이 연구에서는 19세 이상 성인을 대상으로 일반적, 사회경제학적 특성과 천식 및 치아우식 유병률을 분석 하였다. 전체 성인 대상자의 천식 유병률은 1.
  • 국민건강영양조사는 한국 국민의 건강 및 영양 상태를 살피기 위해 전 국민을 대표하는 표본을 선정하여 검진 및 건강설문조사를 시행한 조사로 천식과 치아우식 사이의 관련성을 파악하기 매우 적합한 대규모 자료이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국민건강영양조사 제6기 자료[28]를 활용하여 성인 천식환자의 치아우식 양상을 관찰하고 천식과 치아우식 사이의 관련성을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천식이란? 천식은 만성 염증성 호흡기 질환으로 여러 가지 자극에 대한 기관지의 과민성이 특징적이며, 기침과 기도 폐쇄, 기도염증, 호흡곤란 등의 증상이 반복되는 질환이다[1,2]. 국내의 여러 선행 연구에서 천식의 유병률이 2.
치아우식과 천식의 상관관계는? 천식 치료제 뿐 만 아니라 천식은 질환 그 자체로도 치아우식의 위험요소가 될 수 있다. 특히 천식환자의 구 호흡 습관은 구강점막을 건조시키고 부정교합의 원인이 되기도 하며, 여러 구강질환에 이환되기 쉬운 구강 환경을 형성한다[23]. 최근 천식과 치아우식 사이에 관련성을 유전적 요인으로 설명하는 연구도 발표된 바 있으며, beta-defensin 1 유전자와 교원섬유 분해효소(matrix metalloproteinases)에 대한 연구가 대표적이다 [24, 25].
치아우식은 어떤 문제를 일으키나? 치아우식은 미생물과 관련된 매우 흔한 구강질환으로 통증, 저작 불편, 치아상실 등의 부작용과 더불어 심미적인 문제를 일으키기도 한다[14,15]. 이[16]의 연구에 따르면 치아상실의 원인은 치아우식이 2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Arafa A, Aldahlawi S, Fathi A. Assessment of the oral health status of asthmatic children. Eur J Dent 2017;11(3):357-63. https://doi.org/10.4103/ejd.ejd_65_17 

  2. Hargreave F, Nair P. The definition and diagnosis of asthma. Clin Exp Allergy 2009;39(11):1652-8. https://doi.org/10.1111/j.1365-2222.2009.03321.x 

  3. Kim SH, Lee JY, Son SW, Chang YS, Jung JW, Kim YK, et al. Prevalence of adult asthma based on questionnaires and methacholine bronchial provocation test in Seoul. J Asthma Allergy Clin Immunol 2001;21(4):618-27. 

  4. Jee HM, Kim KW, Kim CS, Sohn MH, Shin DC, Kim KE. Prevalence of asthma, rhinitis and eczema in korean children using the international study of asthma and allergies in childhood (ISAAC) questionnaires. Pediatr Allergy Respir Dis 2009;19(2):165-72. 

  5. Lee HS, Lee JC, Hong SC, Kim JW, Kim SY, Lee KH. Prevalence and risk factors for allergic diseases of preschool children living in Seogwipo, Jeju, Korea. Korean J Asthma Allergy Clin Immunol 2012;32(2):107-14. 

  6. Burr M, Butland B, King S, Vaughan-Williams E. Changes in asthma prevalence: two surveys 15 years apart. Arch Dis Child 1989;64(10):1452-6. https://doi.org/10.1136/adc.64.10.1452 

  7. Haahtela T, Lindholm H, Bjorksten F, Koskenvuo K, Laitinen LA. Prevalence of asthma in Finnish young men. BMJ 1990;301(6746):266-8. https://doi.org/10.1136/bmj.301.6746.266 

  8. Kim SH, Son JY, Lee JT, Kim TB, Park HW, Lee JH, et al. Effect of air pollution on acute exacerbation of adult asthma in Seoul, Korea: A case-crossover study. Korean J Med 2010;78(4):450-6. 

  9. Ryberg M, Moller C, Ericson T. Effect of ${\beta}2$ -adrenoceptor agonists on saliva proteins and dental caries in asthmatic children. J Dent Res 1987;66(8):1404-6. https://doi.org/10.1177/00220345870660082401 

  10. Ryberg M, Moller G, Erigson T. Saliva composition and caries development in asthmatic patients treated with ${\beta}2$ -adrenoceptor agonists: a 4-year follow-up study. Eur J Oral Sci 1991;99(3):212-8. https://doi.org/10.1111/j.1600-0722.1991.tb01887.x 

  11. Ashuja RB, Nandini DB, Vidyasagar B, Ashwini R, Donoghue M, Madhushankari GS. Oral carriage of cariogenic bacteria and Candida albicans in asthmatic adults before and after anti-asthma medication: A longitudinal study. J Oral Maxillofac Pathol 2018;22(1):144. https://doi.org/10.4103/jomfp.JOMFP_235_15 

  12. Alavaikko S, Jaakkola MS, Tjaderhane L, Jaakkola JJ. Asthma and carie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Am J Epidemiol 2011;174(6):631-41. https://doi.org/10.1093/aje/kwr129 

  13. Ferrazzano GF, Sangianantoni G, Cantile T, Amato I, Ingenito A, Noschese P. Dental health in asthmatic children: a South Italy study. J Dent Child 2012;79(3):170-5. 

  14. Martins-Junior PA, Vieira-Andrade RG, Correa-Faria P, Oliveira-Ferreira F, Marques LS, Ramos-Jorge ML. Impact of early childhood caries on the or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of preschool children and their parents. Caries Res 2013;47(3):211-8. https://doi.org/10.1159/000345534 

  15. Subbarao P, Mandhane PJ, Sears MR. Asthma: epidemiology, etiology and risk factors. CMAJ 2009;181(9):E181-90. https://doi.org/10.1503/cmaj.080612. 

  16. Lee BH. Reasons for extraction of permanent teeth in private dental clinics. J Dent Hyg Sci 2008;8(1):1-6. 

  17. Mazzoleni S, Stellini E, Cavaleri E, Angelova Volponi A, Ferro R, Fochesato Colombani S. Dental caries in children with asthma undergoing treatment with short-acting beta2-agonists. Eur J Paediatr Dent 2008;9(3):132-8. 

  18. Daniel J Chiego. Essentials of oral histology and embryology: a clinical approach. 4th ed. Saint Louis:Elsevier; 2014: 89. 

  19. Bozejac BV, Stojsin I, Ethuric M, Zvezdin B, Brkanic T, Budisin E, et al. Impact of inhalation therapy on the incidence of carious lesions in patients with asthma and COPD. J Appl Oral Sci 2017;25(5):506-14. https://doi.org/10.1590/1678-7757-2016-0147 

  20. Lee KO, Lee KH, Kim DE. Long-term effects of syrup medication for asthma on the salivary invertase activity and deciduous caries. J Korean Acad Pediatr Dent 1998;25(2):421-9. 

  21. Kim DE. Influences of syrup medication for asthma on the plaque index and gingival index. J Korean Acad Pediatr Dent 1998;25(1):157-61. 

  22. Storhaug K. Caries experience in disabled pre-school children. Acta Odontol Scand 1985;43(4):241-8. https://doi.org/10.3109/00016358509046504 

  23. Tanaka LS, Dezan CC, Fernandes KBP, Ferreira FBdA, Walter LRdF, Cerci Neto A, et al. The influence of asthma onset and severity on malocclusion prevalence in children and adolescents. Dental Press J Orthod 2012;17(1):50-7. https://doi.org/10.1590/s2176-94512012000100007 

  24. Ozturk A, Famili P, Vieira A. The antimicrobial peptide DEFB1 is associated with caries. J Dent Res 2010;89(6):631-6. https://doi.org/10.1177/0022034510364491 

  25. Jain A, Bahuguna R. Role of matrix metalloproteinases in dental caries, pulp and periapical inflammation: An overview. J Oral Biol Craniofac Res 2015;5(3):212-8. https://doi.org/10.1016/j.jobcr.2015.06.015 

  26. Chuang CY, Sun HL, Ku MS. Allergic rhinitis, rather than asthma, is a risk factor for dental caries. Clin Otolaryngol 2018;43(1):131-6. https://doi.org/10.1111/coa.12912 

  27. Maupome G, Shulman JD, Medina-Solis CE, Ladeinde O. Is there a relationship between asthma and dental caries?: a critical review of the literature. J Am Dent Assoc 2010;141(9):1061-74. 

  28.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The 6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Internet]. [cited 2018 Aug 30]. Available from: https://knhanes.cdc.go.kr/knhanes/sub02/sub02_01.do 

  29. Chala S, Rouiffi S, Soualhi M, Bourkadi JE, Abouqal R, Abdallaoui F. Association between untreated carious lesions and asthma in adults at Rabat university hospital, morocco: a cross sectional study. BMC Res Notes 2017;10(1):221. https://doi.org/10.1186/s13104-017-2548-2 

  30. Bae SM, Kim HJ. Oral health status of the cognitive and behavioral brushing oral health problems in some adults. AJMAHS 2015;5(4):185-95. https://doi.org/10.14257/ajmahs.2015.08.08 

  31. Lee WY. The role of selected health-related behaviors in the socioeconomic disparities in oral health among adults. Korean J Health Educ Promot 2009;26(1):129-40. 

  32. Chung SY, Cho JW, Jung YS, Kim HY, Kim JY, Choi YH, et al. Association between unmet needs for dental treatment and the DMFT index among Korean adults. J Korean Acad Oral Health 2017;41(4):267-73. https://doi.org/10.11149/jkaoh.2017.41.4.267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