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 아동의 천식과 치아우식과의 관련성
Relationship between asthma and dental caries in Korea children 원문보기

융합정보논문지 =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v.10 no.10, 2020년, pp.273 - 278  

이혜주 (서울대학교 치학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 아동의 천식과 치아우식과의 연관성에 대해 확인하는 것이었다. 2017년도 제10차 한국아동패널 원시자료를 이용하여 9세 아동 331,457명의 천식과 치아우식과의 연관성을 알아보기 위해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 천식을 앓고 있는 아동은 건강한 아동에 비해 치아우식 위험이 2.75배 더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성별, 어머니의 국적, 어머니의 최종학력과 같은 교란변수를 보정한 치아우식의 위험은 2.78배였다. 결론적으로, 한국 아동의 치아우식은 천식과의 유의미한 연관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향후 아동의 호흡기계 질환 및 치아우식의 연관성 및 이들의 인과관계를 명확하게 확인하기 위한 후속연구들이 필요할 것으로 예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confirm the relationship between asthma and dental caries in Korean children. Using the data of the 2017 The Panel Study of Korean Children (PSKC),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association between asthma and dental caries in 331,457 9-yea...

주제어

표/그림 (3)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기존 연구는 적은 표본수를 대상으로 수행된 연구들로 이러한 연구가설을 일반화하기 위한 빅데이터 연구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아동에서의 천식과 치아우식과의 연관성을 확인하는 것이었다.
  •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국아동을 대표하는 표본을 층화추출한 자료를 사용하여 대규모 집단의 데이터를 분석하여 도출한 연구결과라는 점은 이 연구의 강점이라고 사료된다. 선행연구들을 보면, 천식아동이 복용하는 자당이 포함된 시럽제의 우식유발능에 대해 분석한 실험연구가 주를 이루었으나, 본 연구는 아동의 건강 및 건강행태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높은 부모의 사회경제적요인과 같은 교란변수를 보정한 후 분석한 결과를 제시함으로서 좀 더 객관적인 결과를 보고한 연구라고 하겠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외인성 천식이란? 대부분의 소아천식을 차지하는 외인성 천식은 IgE를 매개로 하며 기침과 천명, 호흡곤란이 반복되는 알레르기성 만성질환이다[1]. 우리나라 소아 청소년에서의 천식 유병률은 5-9%대로 계속 증가하고 있으나 그 추세는 완화되어가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2].
치료되지 않은 치아우식은 무엇에도 영향을 미치는가? 치아우식은 아동들에게서 발생하는 가장 흔한 질환 중 하나이며, 전 세계적으로 매우 중요한 공중 보건 문제이다[11]. 선행연구에 따르면, 치료되지 않은 치아우식은 아동의 체중증가, 성장, 삶의 질뿐만 아니라 인지발달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12,13]. 또한, 치아우식 합병증은 개인과 지역 사회의 건강에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학령기 아동들에게 부정적인 사회적, 경제적 영향을 미치는 질환으로 보고되어왔다[14,15].
천식 환자군의 치아우식 유병률이 유의하게 높았으며, 천식기간과 치아우식지수 사이에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는 연구결과의 근거는 무엇인가? 연령, 성별, 사회경제적위치의 조건이 일치하는 대조군과 천식환자군을 비교한 결과에서는, 천식환자군의 치아우식 유병률이 유의하게 높았으며, 천식기간과 치아우식지수 사이에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18]. 이러한 연관성을 뒷받침하는 근거로 천식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해 사용되는 베타 2 흡입제(β2-agonists)는 타액선 기능에 영향을 미쳐 타액분비 감소 및 타액의 구성 성분의 변화를 초래할 수 있다는 보고가 있으며[19], 이는 기관지 근육을 이완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이 약물이 타액의 조성에 영향을 미쳐 타액 내 총단백질 및 아밀라아제의 농도가 감소될 수 있다고 하였다[20]. 반면 천식의 유병유무 및 증상정도와 치아우식의 연관성을 검토하는 문헌고찰 연구에서는, 가장 잘 설계된 연구에서도 이들의 연관성 및 인과관계를 입증할 근거를 찾지 못했다고 보고하였으며, 이를 보완하기 위한 공변량 선정 및 종단연구의 설계가 필요하다고 하였다[2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C. E. Hong, K. W. Go & G. Y. Kim. (1988). Pediatrics. Seoul : Textbook Co., Ltd.. 

  2. The Korean academy of asthma, allergy and clinical immunilogy. (2015). Korean guideline for asthma. Seoul : The Korean academy of asthma, allergy and clinical immunilogy. 

  3. B. Y. Pyun. (2013). 2003 Summary of Guidelines for Pediatric Asthma Care. Allergy Asthma & Respiratory Diseases, 13(2), 65-71. 

  4. M. H. Park. (2018). The Relation between Health Behavior and Asthma : Comparison of Male and Female Adolescents.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9(3), 101-109. DOI : 10.15207/JKCS.2018.9.3.101. 

  5. S. Y. Yim. (2019). A Convergence Study of Obesity, Smoking, Drinking influencing Allergy Disease in Adolescents: Based of the 6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data.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10(6), 347-353. DOI : 10.15207/JKCS.2019.10.6.347. 

  6. M. R. Patel, R. W. Brown & N. M. Clark. (2013). Perceived parent financial burden and asthma outcomes in low-income, urban children. Journal of Urban Health, 90(2), 329-342. DOI : 10.1007/s11524-012-9774-7 

  7. N. Silva, C. Carona, C. Crespo & M. C. Canavarro. (2015). Quality of life in pediatric asthma patients and their parents: a meta-analysis on 20 years of research. Expert Review of Pharmacoeconomics & Outcomes Research, 15(3), 499-519. DOI : 10.1586/14737167.2015.1008459. 

  8. M. J. Jeon & J. S. Kim. (2017). The Convergence Impact of Oral Health Behaviors, Health behaviors to Stress in Korean Adolescents.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8(4), 139-148. 

  9. R. B. Ashuja, D. B. Nandini, B. Vidyasagar, R. Ashwini, M. Donoghue & G. S. Madhushankari. (2018). Oral carriage of cariogenic bacteria and Candida albicans in asthmatic adults before and after anti-asthma medication: A longitudinal study. Journal of Oral and Maxillofacial Pathology, 22(1), 144. DOI : 10.4103/jomfp.JOMFP_235_15 

  10. S. Alavaikko, M. S. Jaakkola, L. Tjaderhane & J. J. Jaakkola. (2011). Asthma and carie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American Journal of Epidemiology, 174(6), 631-41. DOI : 10.1093/aje/kwr129 

  11. S. Fernando, S. K. Tadakamadla, M. Bakr, P. A. Scuffham & N. W. Johnson. (2019). Indicators of Risk for Dental Caries in Children: A Holistic Approach. JDR Clinical& Translational Research, 4(4), 333-341. DOI : 10.1177/2380084419834236. 

  12. H. Ayhan, E. Suskan & S. Yildirim. (1996). The effect of nursing or rampant caries on height, body weight and head circumference. Journal of Clinical Pediatric Dentistry, 20, 209-212. 

  13. H. K. Anderson, B. K. Drummond & W. M. Thomson. (2004). Changes in aspects of children's oral-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following dental treatment under general anaesthetic. International Journal of Paediatric Dentistry, 14, 317-325. 

  14. M. A. Peres et al. (2005). Social and biological early life influences on severity of dental caries in children aged 6 years. Community Dentistry and Oral Epidemiology, 33, 53-63. 

  15. R. S. Bastos, E. Carvalho, A. Xavier, M. L. Caldana , J. Bastos & J. Lauris. (2012). Dental caries related to quality of life in two Brazilian adolescent groups: a cross-sectional randomised study. International Dental Journal, 62, 137-143. 

  16.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03). A study on strengthening the oral health promotion at public health centers and developing a model for visiting oral health promotion. Osong :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17. R. G. Lindemeyer, N. S. Satpute & S. H. Katz. (2011). Evaluation of bronchial asthma as risk factor for early childhood caries. New York state dental journal, 77(6), 18-21. 

  18. A. Mehta, P. S Sequeira & Sahoo RC. (2009). Bronchial asthma and dental caries risk: results from a case control study. The Journal of Contemporary Dental Practice, 10(4), 59-66. 

  19. W. C. Bowman & M. T. Rand (1998). Textbook of pharmacology 2nd edition. Oxford : Blackwell scientific publication. 

  20. B. J. Baum. (2016). Neurotransmitter Control of Secretion. Journal of dental research, 66(2_suppl), 628-632. 

  21. Maupome et al. (2010). Is There a Relationship Between Asthma and Dental Caries? The Journal of the American Dental Association (JADA), 141(9), 1061-1074. 

  22. M. L. Jang, N. R. Shin & S. Y. Park. (2006).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n Model for Children's Panel Survey. Soeul: Korea Institute of Child Care and Education. 

  23. M. H. Hong. (2020). Risk Factors Affecting Dental Caries in Children.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21(5), 320-326. 

  24. J. Y. Park. (2004).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aily habits of parents of students and children's dental caries.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25. S. Mazzoleni, E. Stellini, E. Cavaleri, A. Angelova Voponi, R. Ferro & S. Fochesato Colombani. (2008). Dental caries in children with asthma undergoing treatment with short-acting ${\beta}$ 2-agonists. European Journal of Paediatric Dentistry, 9(3), 132-138. 

  26. P. Wogelius, S. Poulsen & H. T. Sorensen. (2004). Use of asthma-drugs and risk of dental caries among 5 to 7 year old Danish children: a cohort study. Community Dental Health Journal, 21(3), 207-211. 

  27. A. Mehta, P. S. Sequeira, R. C. Sahoo & G. Kaur. (2009). Is bronchial asthma a risk factor for gingival diseases? A control study. New York State Dental Journal, 75(1), 44-6. 

  28. E. J. McDerra, M. A. Pollard & M. E. Curzon. (1998). The dental status of asthmatic British school children. Pediatric Dental Journal, 20, 281-287. 

  29. P. Chellaih, G. Sivadas, S. Chintu, V. K. Vaishnavi Vedam, Rajeev Arunachalam & M. Sarsu. (2016). Effect of anti-asthmatic drugs on dental health: A comparative study. Journal of Pharmacy and Bioallied Sciences, 8(1), S77-S80. DOI : 10.4103/0975-7406.191973 

  30. A. M. Meldrum, W. M. Thomson, B. K. Drummond & M. R. Sears. (2001). Is Asthma a Risk Factor for Dental Caries? Findings from a Cohort Study. Caries Research, 35, 235-239. DOI : 10.1159/000047463 

  31. R. G. Lindemeyer, N. S. Satpute & S. H. Katz. (2012). Evaluation of bronchial asthma as risk factor for early childhood caries. The Journal of the Michigan Dental Association, 94(5), 46-49. 

  32. T. M. Hyyppa, A. Koivikko, K. U. Paunio. (1979). Studies on periodontal conditions in asthmatic children. Acta Odontologica Scandinavica, 37, 15-20.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