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농촌 복지·문화 서비스 및 인프라 진단체계 개발
Development of Diagnosis System about Services and Infrastructure for Rural Welfare and Culture 원문보기

농촌계획 : 韓國農村計劃學會誌, v.25 no.1, 2019년, pp.51 - 65  

김수진 (서울대학교 그린바이오과학기술연구원) ,  배승종 (서울대학교 그린바이오과학기술연구원) ,  김대식 (충남대학교 지역환경토목학과) ,  임상봉 (한국농어촌공사 농어촌연구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developed diagnostic system to understand the level of welfare cultural service and infrastructure in rural areas. The applicability was reviewed through the Delphi survey and the sample survey of 60 villages. The diagnostic indicators consist of three areas: the demand area, supply are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구성된 진단지표는 농촌개발정책 전문가 델파이 조사를 통해 진단지표별 타당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지표 평가 기준은 OECD 농업환경지표(AEIs)에 의한 검토내용을 활용하여 정책관련성, 사용자 유용성, 평가측면의 합리성, 측정 가능성 4가지 평가기준에 의거, 각 지표별 5점 척도 기준으로 델파이조사를 실시하였다.
  • 본 연구는 농촌지역의 복지 및 문화에 대한 서비스와 인프라의 효과적 공급방안을 위한 연구로 농촌 서비스 및 인프라에 대한 개념을 정의할 필요성이 있다. 농촌개발정책은 농촌 주민들이 생활하는데 기본적 수요를 만족 시키고 삶의 질을 높이고자 제 정책 수단을 동원해 왔으나 지나치게 시설 설치 위주로 사업이 추진되다 보니 농촌 주민들이 체감할 수 있는 삶의 질 개선에는 영향이 그리 크지 않고 부처 간 유사중복 사업 추진으로 인한 비효율성도 발생하였다(Song and Kim.
  • 본 연구는 도농간 및 읍면간 상대적 격차가 큰 복지·문화부문의 서비스와 인프라에 대하여 관련 정책집행의 효율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마을 수준의 공간단위에서 해당지역의 특성과 문제점을 정밀하게 파악가능한 진단지표체계를 마련하고, 전국 60개마을의 표본조사를 통해 적용성을 검토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농촌 복지·문화 서비스 및 인프라 진단지표를 개발하고 표본조사를 통해 적용성을 검토하고자 8개 시·군 20개 읍·면 60개마을을 선정하였다[Table 5].
  • 본 연구에서는 농촌지역의 복지·문화 서비스 및 인프라 수준을 파악하기 위한 진단지표체계를 개발하고 전국 60개마을의 표본조사를 통해 적용성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복지·문화 서비스 및 인프라 진단체계 구성을 위하여 기존의 진단체계인 농촌마을 정주여건 진단체계, 농촌지역 생활환경 관련 지표, 농촌환경 관련지표 등 국내외의 선행연구를 고찰하고, 이를 통해 농촌 복지·문화 서비스 및 인프라 진단지표를 구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농촌 복지·문화서비스 및 인프라 진단지표의 구성은? 기존의 관련 선행연구 고찰을 통해 농촌 복지·문화서비스 및 인프라 진단지표를 구성하였으며, 농촌개발정책 전문가 델파이 조사를 통해 진단지표의 타당성을 검토하였다. 진단지표는 크게 수요영역, 공급영역, 전달영역 3대 영역으로 구성하였으며 수요영역은 3개 항목(행정구역, 인구구조 및 가구구조) 8개 지표, 공급영역은 복지 서비스 및 인프라(보건의료, 사회복지 부문) 25개 지표, 문화 서비스 및 인프라(문화, 교육, 여가·체육) 32개지표로 구성하였다. 서비스 전달영역은 각 지표별로 서비스 공급지역 접근성과 교통 접근성(대중교통 이용여부, 농촌형 교통모델 여부)을 구분하였다.
‘삶의 질 향상 특별법’이란? 2004년 「농림어업인 삶의 질 향상 및 농산어촌 지역개발 촉진에 관한 특별법」(이하 ‘삶의 질 향상 특별법’)을 제정하면서부터 농어촌 주민의 삶의 질에 초점을 두고 농촌개발 정책이 추진되어 왔다. ‘삶의 질 향상 특별법’은 ‘농어촌과 도시 간의 격차를 해소하고 교류를 활성화하여 농어촌 주민이 도시민과 균등한 생활을 할 수있도록 하고, 농어촌이 지속적인 발전을 이루기 위한 기틀을 마련하는 것’을 기본 이념으로 삼고 있다(Jeong,2018). 해당 법률에 의해 5년 단위 법정 기본 계획을 수립하고 있으며 농어촌 주민 개인이 느끼는 주관적 삶의질 수준을 보여주는 ‘농어촌주민 정주 만족도 조사’를보건·복지, 경제활동·일자리, 정주생활기반, 안전, 교육,문화·여가, 환경·경관 등 7대 정책 부문에 대해 2012년부터 매년 실시해 오고 있다(RRI, 2018).
‘농어촌주민 정주 만족도 조사’는 어떠한 정책 부문에 대해 실시되는가? ‘삶의 질 향상 특별법’은 ‘농어촌과 도시 간의 격차를 해소하고 교류를 활성화하여 농어촌 주민이 도시민과 균등한 생활을 할 수있도록 하고, 농어촌이 지속적인 발전을 이루기 위한 기틀을 마련하는 것’을 기본 이념으로 삼고 있다(Jeong,2018). 해당 법률에 의해 5년 단위 법정 기본 계획을 수립하고 있으며 농어촌 주민 개인이 느끼는 주관적 삶의질 수준을 보여주는 ‘농어촌주민 정주 만족도 조사’를보건·복지, 경제활동·일자리, 정주생활기반, 안전, 교육,문화·여가, 환경·경관 등 7대 정책 부문에 대해 2012년부터 매년 실시해 오고 있다(RRI, 2018). 2018년의 결과를살펴보면 삶의 질 향상을 위해 농어촌 주민이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으며, 도시민과 농어촌 주민의 만족도격차가 가장 큰 정주여건은 보건·복지 부문으로 나타났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Bae, S. J., Koo, H. D. and Kim, D. S, 2016, A Methodological Framework for Settlement Environment Survey in Rural Village, Proceedings 2016 Annual Conferenc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246 

  2. Choi, S. M., Han, K. S. and Hwang, H. C., 1998, Resources Evaluation System for Rural Planning Purposes(III) -Rating Tabulation for Rural Resources Evaluation Item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Rural Planning, 4(1): 75-85 

  3. Jeon, J. B., Park, M. J., Kim, E. J. and Lee, Y. G., 2016, Analysis of Central Place for Settlement Condition Diagnosis in Rural Area,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Rural Planning Conference: 42-45 

  4. Jeong D. C., 2018, Quality of Life in Rural Areas and Its Policy Implications, Health and Welfare Policy Forum, 265: 48-61 

  5. Kim, C. H., Park, J. T. and Park, K. H., 2007, Development and Policy Application of Indicators for Identifying Rural Problems, Research Report 2007-38,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Human Settlements (KRIHS) 

  6. Kim, D. S., 1999, A Study on development of a simulation model for rural key villages planning using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and multi-criteria evaluation method, Ph.D. dis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Korea 

  7. Kim, D. S., Jeon, T. K. and Bae, S. J., 2010, Development of Settlement Environment Diagnostic Indices for Rural Village Unit,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Rural Planning, 16(3): 27-41 

  8. Kim, K. I, 2014, Analysis and Policy on the Rural Settlement System in an Era of the Rural Population Decline, Research Report 2014-33,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Human Settlements(KRIHS) 

  9. Kim, Y. H., Lim, S. E., Yoon, G. J. and Woo. S. H., 2011, A Comparative Study on the Welfare Indicators of OECD Countries, Policy Research Report 2011-01,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KIHASA) 

  10. Kim, Y. T., Choi, S. M., Kim, H. G. and Im, S. B, 2014, Development of Evaluation Indicators System by Rural Village Type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Rural Planning, 20(1): 37-49 

  11. 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KOSIS), 2018, Statistical Yearbook of each Si-Gun-Gu 

  12. Lee, J. M., Lee, Y. H., Bae, Y. J., Lee, J. J. and Suh, Kyo, 2012, Development of Indicators to Evaluate the Regional Preparedness Level for Rural Aging,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Rural Planning, 18(4): 69-78 

  13. Ministry of Agricultural, Food and Rural Affairs(MAFRA), 2017, 2017 Improvement of quality of life of farmers and fishermen and development plan of rural and rural areas Regional evaluation report (culture and leisure, health and welfare),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KREI) 

  14. Ministry of Agricultural, Food and Rural Affairs(MAFRA), 2017, 2017 Review and Evaluation of the Implementation of the Rural Service Standards,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KREI) 

  15. Ministry of Agricultural, Food and Rural Affairs(MAFRA), 2018, 2018 Residents' Satisfaction with the Settlement of Farming and Fishing Villages,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KREI) 

  16.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MCST), 2017, 2016 Sport White Paper 

  17.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MCST), 2017, Statistics of National Cultural Infrastructure 

  18. Ministry of Education(MOE) and Korea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KEDI), 2017, Statistics of Lifelong Education 

  19.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MOHW) and National Medical Center(NMC), 2017, Statistical Book of Public Health Care 

  20.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MOHW), 2017, Statistics of Childcare 

  21.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MOHW), 2018, Status of Welfare Facilities for Child 

  22.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MOHW), 2018, Status of Welfare Facilities for the Elderly 

  23. Mo, H. R., Park, H. K., Jo. J. H. and Lee, H. S., 2014, A Study on Development of Diagnostic Index for Rural Area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34(6): 1925-1935 

  24. Park, M. J., Jeon, J. B., Bae, S. J., Kim, D. S., Choi, J. A. and Kim, E. J., 2017, Development of Settlement Condition Diagnosis Index in Rural Villag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Rural Planning, 23(1): 65-83 

  25. Rural Research Institute, 2018, Demand Analysis and Effective Supply of Services and Infrastructure for Rural Welfare and Culture(I) 

  26. Song, M. R. and Noh, S. C., 2013, The quality of life of rural residents by statistics, Research Report D374,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KREI) 

  27. Song, M. R., Kim, K. S., Kwon, I. H. and Yoon, B. S., 2011, Development and Utilization of Comprehensive Diagnosis Index of Basic Settlement Areas for Reinforcement of Regional Competitiveness, Policy Research Report P137,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KREI)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