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간호사의 전문직 자율성과 공감능력이 환자안전문화에 미치는 융복합적 영향
Convergence Influences of Nurses' Professional Autonomy and Empathy on Patient Safety Culture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7 no.2, 2019년, pp.231 - 241  

이성수 (강동성심병원) ,  최혜란 (울산대학교 임상전문간호학)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간호사의 전문직 자율성과 공감능력이 환자안전문화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서울의 종합병원에서 일하는 191명의 간호사를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SPSS/WIN 24.0 program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환자안전문화는 전문직 자율성(r=.26, p<.001), 공감능력의 하위 영역인 관점 취하기(r=.30, p<.001), 공감적 관심(r=.27, p<.001)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환자안전문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공감의 하위 영역인 관점 취하기(${\beta}=.27$, p<.001), 전문직 자율성(${\beta}=.20$, p=.004), 11년 이상의 총 임상 경력(${\beta}=.17$, p=.012)이었고, 세 개의 변수의 설명력은 15%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환자안전문화 증진의 영향요인인 간호사의 전문직 자율성과 공감능력을 증진 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향후 다양한 표본 집단에서의 반복연구를 제언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a descriptive survey to identify influences of nurses' professional autonomy and empathy on patient safety culture. The participants were 191 nurses working at a general hospital in Seoul. The data were collected using structured questionnaires and analyzed using the SPSS/WIN 24.0 pro...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간호사의 전문직 자율성과 공감능력 및 환자안전문화의 정도와 관계를 확인하고 환자안전문화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본 연구에서 전문직 자율성, 공감능력의 하위 영역인 관점 취하기, 공감적 관심이 높을수록 환자안전문화가 높았다.
  • 본 연구는 간호사의 전문직 자율성과 공감능력이 환자안전문화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이들 간의 관계를 규명하여 환자안전을 도모하는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 본 연구는 간호사의 전문직 자율성과 공감능력이 환자안전문화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였으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간호사의 전문직 자율성과 공감능력이 환자안전문화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 연구이다.
  • 연구자가 병동을 직접 방문하여 부서 관리자에게 연구의 목적을 설명한 후 허락을 받고 자료 수집을 하였다. 연구자가 연구 대상자에게 연구의 목적과 설문지 작성방법에 대해 충분히 설명을 제공한 후 연구 참여에 서면으로 동의한 대상자에게 구조화된 설문지를 배부하여 자가 보고하도록 하였다. 설문에 소요된 시간은 약 10분~15분이다.
  • 이처럼 전문직 자율성, 공감능력이 환자안전에 중요한 영향요인이라는 것을 알 수 있으나, 지금까지의 연구들은 전문직 자율성이 환자안전에 미치는 영향[10], 전문직 자율성, 전문직 자아개념, 그리고 직무만족의 관계[15,23], 직무만족이 환자안전 활동에 미치는 영향[14] 그리고 공감능력이 통증관리 수행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20] 등으로 전문직 자율성과 공감능력 그리고 환자 안전문화와의 관계에 대한 연구는 찾아보기 힘든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간호사의 전문직 자율성과 공감능력이 환자안전문화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이들 간의 관계를 규명하여 환자안전을 도모하는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안전문화 평가는 어디에 사용될 수 있는가? 환자안전문화는 조직이 의료와 안전의 관리에 대해 나타내는, 의지와 방식 그리고 숙련도를 결정하는, 개인과 집단의 가치, 인식, 태도, 역량 그리고 행동 양식의 산물이다[5]. 안전문화 평가는 환자안전 증진을 위한 도구 로서 부작용 및 환자에게 위해를 야기하는 조직의 상태를 진단하고 의료기관이 안전개선 중재를 개발하고 평가 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6]. 환자안전문화는 많은 국가에서 국가 보건 정책으로 병원이 조사에 참여하도록 함으로써 장려되고 있다[7].
간호사의 전문직 자율성과 공감능력의 강화를 위해 필요하다고 생각되는 것은? 그러므로 환자안전문화의 구축을 위해 전문직 자율성과 공감능력의 강화가 선행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자율적 간호 수행에 대한 업무범위를 명확히 하고 이를 인정하며, 독립적 간호 수행에 대한 적절한 보상이 필요하다. 그리고 전문적인 교육 기회 부여와 학습 환경의 조성을 통해 간호사의 전문적 임상 지식과 역량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더불어 경력이 풍부한 간호사들이 임상현장에 남을 수 있는 근무여건의 조성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환자안전이란 무엇인가? 환자안전이란 환자에게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오류를 예방하고 상해를 제거하고 완화하는 활동을 뜻한다. 더불어 환자안전은 인간의 가장 기본적인 욕구로 의료인의 의무일 뿐 아니라 법률로써 보호받고, 안전문화 구축의 결과로 나타나는 환자 중심의 의료와 간호를 의미한다 [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5)

  1. M. R. Kim. (2011). Concept Analysis of Patient Safety.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41(1), 1-8. DOI:10.4040/jkan.2011.41.1.1 

  2. L. T. Kohn, J. M. Corrigan & M. S. Donaldson. (2000). To err is human: Building a safer health system. Washington: National Academies Press. 

  3. J. H. Seo. (2016). Current state and challenges of patient safety in hospitals. Health and Welfare Policy Forum, 240, 6-16 

  4. S. I. Lee. (2015). Approaches to improve patient safety in healthcare organizations. Journal of Korean Medical Association, 58(2), 90-92. DOI:10.5124/jkma.2015.58.2.90 

  5. J. Sorra, L. Gray, S. Streagle, T. Famolaro, N. Yount & J. Behm. (2016). AHRQ Hospital survey on patient safety culture: User's guide. Rockville, MD: Agency for Healthcare Research and Quality. 

  6. V. Nieva & J. Sorra. (2003). Safety culture assessment: a tool for improving patient safety in healthcare organizations. BMJ Quality Safety, 12(suppl 2), ii17-ii23. DOI:10.1136/qhc.12.suppl_2.ii17 

  7. R. T. Morello, J. A. Lowthian, A. L. Barker, R. McGinnes, D. Dunt & C. Brand. (2013). Strategies for improving patient safety culture in hospitals: a systematic review. BMJ Quality & Safety, 22(1), 11-18. DOI:10.1136/bmjqs-2011-000582 

  8. S. O. Chang, B. S. Lee, J. I. Kim & S. R. Shin. (2014). A delphi study to elicit policies for nurse workforce based on patient safety.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2), 215-226. DOI:10.11111/jkana.2014.20.2.215 

  9. S. A. Chi & H. S. Yoo. (2001). Concept analysis of professional nurse autonomy.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1(5), 781-792. DOI:10.4040/jkan.2001.31.5.781 

  10. H. J. Hwang & Y. M. Lee. (2017). Effects of professional autonomy,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perceived patient safety culture on patient safety management activities of nurses in medium and small-sized hospitals. Journal of Korean Critical Care Nursing, 10(1), 63-74. 

  11. S. A. IM & M. J. Park. (2018). The effects of patient safety culture percep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n patient safety management activities in general hospital nurse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6(6), 259-270. DOI:10.14400/JDC.2018.16.6.259 

  12. Y. L. Kim, M. I. Lee & E. Y. Chin. (2016). Convergence effects of nurse's perception of patient safety culture and safety control on safety performance in general hospital.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4(7), 201-211. DOI:10.14400/JDC.2016.14.7.201 

  13. Y. S. Seo & E. S. Do. (2015). Influence of safety culture perception, safety control and safety management activities as perceived for nurses in nursing home.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3(9), 303-311. DOI:10.14400/JDC.2015.13.9.303 

  14. H. H. Gong & Y. J. Son. (2012). Impact of nurses'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n patient safety management activities in tertiary hospital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19(4), 453-462. DOI:10.7739/jkafn.2012.19.4.453 

  15. M. H. Sung, Y. A. Kim & M. J. Ha. (2011). The relationships of professional self-concept, professional autonomy and self-esteem to job satisfaction of clinical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18(4), 547-555. 

  16. Y. S. Lee, M. H. Gang & M. S. Jung. (2013). Impact of professional autonomy and nursing work environment on clinical decision making of clinical nurses.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22(4), 285-294. DOI:10.5807/kjohn.2013.22.4.285 

  17. M. H. Sung & O. B. Eum. (2010). Professional autonomy and clinical decision making ability in clinical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17(2), 274-281. 

  18. J. Needleman, P. Buerhaus, S. Mattke, M. Stewart & K. Zelevinsky. (2002). Nurse-staffing levels and the quality of care in hospitals.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346(22), 1715-1722. DOI:10.1056/NEJMsa012247 

  19. C. R. Rogers. (2007). The necessary and sufficient conditions of therapeutic personality change. Psychotherapy, 44(3), 240-248. DOI:10.1037/0033-3204.44.3.240 

  20. M. H. Lee & M. H. Park. (2016). Geriatric hospital nurses' empathy, attitude and pain management for patients with dementia.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28(4), 388-398. DOI:10.7475/kjan.2016.28.4.388 

  21. N. S. Seo, J. S. Moon, S. H. Hong & Y. H. Park. (2016). The influence of attitude, experience and empathy on the nursing care of the elderly who have no caregiver.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Service Management, 10(2), 179-191. DOI:10.12811/kshsm.2016.10.2.179 

  22. H. S. Chong, S. H. Ko & J. Y. Kim. (2017). Impact of empathy ability and gratitude disposition on job satisfaction in psychiatric nurse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5(11), 395-405. DOI:10.14400/JDC.2017.15.11.395 

  23. J. A. Park & J. H. Yeo. (2015). Effect of professional autonomy and professional self-concept on job satisfaction of emergency nurses. Journal of Korean Critical Care Nursing, 8(1), 62-70. 

  24. H. M. Son, M. H. Koh, C. M. Kim & J. H. Moon. (2001). The clinical experiences of adaptation as a new nursing staff.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1(6), 988-997. DOI:10.4040/jkan.2001.31.6.988 

  25. F. Faul, E. Erdfelder, A. Buchner & A. G. Lang. (2009). Statistical power analyses using G*Power 3.1: tests for correlation and regression analyses. Behavior Research Methods, 41(4), 1149-1160. DOI:10.3758/brm.41.4.1149 

  26. S. G. Lee. (2015). Development and psychometric evaluation of the Korean patient safety culture survey instrument for hospitals. Doctoral dissertation, Chung Ang University, Seoul. 

  27. K. K. Schutzenhofer. (1983). The development of autonomy in adult women. Journal of Psychosocial Nursing Mental Health Services, 21(4), 25-30. 

  28. K. J. Han, E. O. Lee, S. E. Park, Y. S. Ha & K. S. Kim. (1994). Measurement of nursing outcomes. Seoul: Hyunmoon. 

  29. M. Davis. (1980). A multidimensional approach to individual differences in empathy. JSAS Catalog of Selected Documents in Psychology, 10(85). 

  30. I. Kang, S. W. Kee, S. E. Kim, B. S. Jeong, J. H. Hwang, J. E. Song & J. W. Kim. (2009).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Korean-version of interpersonal reactivity index. Journal of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48(5), 352-358. 

  31. IBM Corp. (2016). IBM SPSS statistics for windows, version 24.0. Armonk, NY: IBM Corp. 

  32. Y. S. Kim, Y. S. Eo & N. Y. Lee. (2014). Effects of head nurses' managerial competencies and professional nurse autonomy in nursing performanc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4), 437-445. DOI:10.11111/jkana.2014.20.4.437 

  33. M. S. Park. (2006). The level of professional autonomy and clinical decision making abilities of advanced practice nurs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Ulsan University, Seoul. 

  34. M. J. Weston. (2010). Strategies for enhancing autonomy and control over nursing practice. Online Journal of Issues in Nursing, 15(1). DOI:10.3912/OJIN.Vol15No01Man02 

  35. H. K. Jo & S. A. Kim. (2017). Moral sensitivity, empathy and perceived ethical climate of psychiatric nurses working in the national mental hospital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26(2), 204-215. DOI:10.12934/jkpmhn.2017.26.2.204 

  36. W. H. Moon, M. G. Kwon & Y. H. Kim. (2016). Converging influence of empathy and prejudice against mental illness on discriminatory behavior toward the mentally illness patients in the nursing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7(6), 81-88. DOI:10.15207/JKCS.2016.7.6.081 

  37. M. Hojat. (2009). Ten approaches for enhancing empathy in health and human services cultures. Journal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Administration, 31(4), 412-450. 

  38. J. Y. Kim, H. Y. Choi & S. I. Kim. (2018). A study on development of convergence design education for an ability of empathy enhancement during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era: focusing on domestic and foreign university case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6(3), 451-456. DOI:10.14400/JDC.2018.16.3.451 

  39. C. K. Lee, Y. S. Park, H. K. Lee & K. J. Lee. (2015). The effect of a convergence multi-cultural nursing education program on cultural competence and empathy for nursing student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3(12), 337-346. DOI:10.14400/JDC.2015.13.12.337 

  40. H. K. Lee. (2015). Converged influencing factors on compassion competence in clinical nurses.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6(5), 15-22. DOI:10.15207/JKCS.2015.6.5.015 

  41. S. M. Choi, G. R. Lee, M. J. Lee, E. M. Kim, & H. S. Park. (2016). Perception of patient safety culture among health professionals. Global Health & Nursing, 6(1), 20-29. 

  42. J. H. Choi, K. M. Lee & M. A. Lee. (2010). Relationship between hospital nurses' perceived patient safety culture and their safety care activiti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17(1), 64-72. 

  43. T. J. Seong. (2002). Validity and reliability. Seoul: Hakjisa. 

  44. S. J. Weaver, L. H. Lubomksi, R. F. Wilson, E. R. Pfoh, K. A. Martinez & S. M. Dy. (2013). Promoting a culture of safety as a patient safety strategy: a systematic review. Annals of Internal Medicine, 158, 369-374. DOI:10.7326/0003-4819-158-5-201303051-00002 

  45. M. H. Lee & C. H. Kim. (2015). Effect of leadership walkrounds convergence to establish a patient safety culture.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3(6), 185-195. DOI:10.14400/JDC.2015.13.6.185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