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노인의 건강증진행위 관련 변인들 간의 융복합적 연구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Variables Related to the Health Promoting Behavior of the Elderly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7 no.2, 2019년, pp.243 - 254  

주현정 (가야대학교 간호학과) ,  공희경 (가야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65세 이상의 노인을 대상으로 무력감, 우울, 주관적 건강상태, 가족지지, 사회지지가 건강증진행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시도되었다. 연구대상은 G시와 C시의 복지관 3개소, 경로당 3개소, 요양병원 2개소의 노인 225명이었으며, 서술적 통계, 신뢰도, 상관관계, 확인적 요인분석, 적합도 검증, 총효과, 직접효과, 간접효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건강증진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의 직접효과는 사회지지, 우울, 가족지지와 주관적 건강상태, 무력감 순으로 나타났고 이들 변인들은 건강증진행위를 66% 설명하였다. 우울과 무력감은 가족지지와 사회지지를 통한 유의한 간접효과가 있었으며, 주관적 건강상태는 사회지지를 통한 간접효과는 유의하였으나 가족지지를 통한 간접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따라서 사회지지를 높일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 지역사회와의 연계를 통한 지지체계 구축이 필요하며 이는 가족지지와 상호보완적인 역할을 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노인의 우울과 무력감, 주관적 건강상태는 개인별 상황에 따른 적절한 개입을 통한 간호중재 제공 및 지속적인 관리체계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helplessness, depression, subjective health status, family support, and social support on health promoting behaviors of elderly people over 65 years old.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 welfare centers in G city and C city, 3 senior citize...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65세 이상 노인을 대상으로 무력감, 우울, 주관적 건강상태를 외생변수로, 가족지지, 사회지지를 내생변수로 하여 노인의 건강증진행위를 예측하기 위한 구조모형분석 연구로서 주요 결과를 중심으로 논의하고자한다.
  • 본 연구는 노인의 건강증진행위를 설명하고 예측하기위해 선행연구의 문헌고찰을 근거로 가설적 모형을 제시한 후 모형의 적합도를 알아보고 연구가설을 검정하는 구조방정식 연구이다.
  • 본 연구는 노인의 건강증진행위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을 예측하기 위해 가설적 모형을 구축하고 이를 검증하고자 시도되었다. 본 연구의 가설적 경로모형의 모 수치와 유효성을 검증한 결과 건강증진행위에 직접효과로사회지지가 가장 큰 요인으로 나타났으며 우울, 가족지지와 주관적 건강상태, 무력감 순으로 나타났다.
  •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의 건강증진행위를 설명하기위해서 무력감, 우울, 주관적 건강상태, 가족지지, 사회지지라는 변수들의 가설모델을 구성하고 이 변인들 간의구조모형을 검증해 보고자 한다. 그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그리고 노인 스스로 건강증진행위에 관심을 가질 수 있도록 지역사회 기관을 통한 사회적 참여가 활성화 되고 그 관계속에서 심리적 안정을 찾을 수 있도록 국가차원에서 노인특성을 고려한 적극적인 지원이필요하리라 생각된다. 본 연구의 의의는 노인의 건강증진행위에 우울, 무력감, 주관적 건강상태, 사회지지와 가족지지가 유의하였으므로 가설적 모형에 대해 실증적으로 검정한 점이라 할 수 있겠다.
  • 노인의 건강증진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선행연구들을 살펴보면 건강지각의 영향요인으로 주관적인 건강상태[9-11], 자기효능감[9, 12, 13], 사회지지[10, 11, 14, 15],건강관심도[16, 17], 생활만족도[6, 18, 19]등의 비교적 다양한 개념으로 시도되었으나, 노년기에 많이 나타나는 노인의 우울과 무력감, 노인이 인지하는 주관적 건강상태 그리고 지원체계로 가족지지와 사회지지가 건강증진행위에 미치는 통합적인 연구는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에 본 연구는 노인의 우울, 무력감, 주관적 건강상태, 가족지지, 사회지지가 건강증진행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해 봄으로써 노인의 건강증진행위를 강화할 수 있는 효율적인 중재방안 마련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노년기 우울증을 예방하기 위한 방법은? 이러한 결과를 사전에 예방하고 건강을 유지, 증진하기 위해서는 자신의 건강에 대한 지각이 선행되어야 하며 건강에 대한 지각에 따라 그 행동이 달라지기에[5] 주관적 건강상태를 정확히 파악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노인의 성향이 우울할수록 질병이 없음에도 자신의 건강상태를 부정적으로 평가하는 경우가 있어 심리적 요인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건강증진이란? 이러한 건강증진 활동을 통해 건강한 신체와 정신을 유지할 수 있도록 지지하며 가족 및 지역사회가 건강할 때부터 건강증진에 참여할 수 있도록 체계적으로 관리해야한다. 1984년 세계보건기구 건강증진보고서에 따르면 사람들이 건강에 대한 이해를 증진하게 하여 자신의 건강에 대한 관리능력 또는 통제력을 높이고 건강수준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과정을 건강증진으로 설명하고 있다. 특히 만성퇴행성 질환자가 건강행위를 습관화 하여 질병 예방과 건강을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자신의 건강에 대한 의지가 있어야 하며, 건강을 관리하고 향상시킬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하기 위해서는 사회의 체계적인지원 시스템이 필요하다.
노년기 우울증의 특성은? 노인들의 우울 증상은 슬픈 감정만을 호소하기보다 상황에 따른 불안, 신체적 증상, 건강에 대한 염려, 기억력과 집중력 장애 등을 먼저 호소하는 경향이 있으며 심지어는 가성치매 등의 임상양상으로 표현되기도 한다[4]. 이런 노년기 우울증의 특성은 신체증상 호소, 낙상 등과 같은 사고유발, 정신운동 지체, 높은 자살률, 인지기능의 저하 등과 함께 만성질환을 동반하고 있는 비율이 높아 적절한 시기에 치료하지 않고 방치하게 되면 자살과 같은 심각한 후유증을 유발하거나 악화시키는 결과를 낳을 수 있다[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6)

  1. Statistics Korea. (2017). Elderly Statistics 2017 Retrieved March 30. 2018. from http://kostat.go.kr 

  2.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2017). Elderly medical expenses for aged society Efficient management plan. Seoul : NHIS. 

  3. National Korean Language Institute. (2008). Standard Korean Dictionary. Retrieved December 17, 2018 from http://stdweb2.korean.go.kr/search/List_dic.jsp 

  4. B. S. Kee. (1999). Geriatric depression. Annals of Geriatric Medicine and Research, 3(3), 61-71. 

  5. H. J. Lee. (2014). An Influencing Health Promoting Behavior of Perceived Health Status and Self-Efficacy according to major of college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5(2), 989-999. DOI : 10.5762/KAIS.2014.15.2.989 

  6. C. G. Kim. (2002). Factors Influencing health Promoting Behavior of the Elderly: Perceived Family Support and Life Satisfaction. Journal of Korean Academy Community Health Nursing, 13(2), 321-331. 

  7. P. S. Lee, Y. M. Lee, J. Y. Lim, R. I. Hwang & P. E. Park. (2004). The Relationship of Stress, Social Support and Depression in the Elderly.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4(3), 477-484. 

  8. K. S. Kang. (2004). Development of a Rural type day car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15(4), 23-37. 

  9. H. M .Kim. (2017). Predictors of health promotion behaviors in the community-dwelling elderly. Unpublished Master's Thesis, Hanyang University, Seoul. 

  10. H. J Oh & D. H. Kim. (2012). Research on The Influential Factors in Senior Citizens' Health Promotion Behaviors. Health and Social Science, 32, 173-197. 

  11. H. S. Kim. (2009). A study of Influential Factors on Health Promoting Behavior among Korean Seniors in Community. Unpublished doctor's thesis, Soongsil University, Seoul. 

  12. H. J. Choi & J. H. Yoo. (2011). The Effect of Depression and Self-efficacy on Health Promotion Behavior among the Elderly Living Alone in Rural Area. Journal of East-West Nursing Research, 17(2), 149-155. 

  13. I. H. Choi. (2003). A Study on Self-Efficacy, Family Support and health promoting Behavior of the Aged in a Community. Journal of Korean Academy Community Health Nursing, 14(4), 657-666. 

  14. S. H. Cho. (2015). Factors affecting the Health Promotion Behaviors of the Low-Income Elderly Living Alone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3(12), 423-431. DOI : 10.14400/JDC.2015.13.12.423 

  15. M. S. Shim. (2005). A Study on Self-esteem, Social Support and Health Promoting Behavior of the Low Income Elderly. Journal of Korean Gerontological Nursing, 7(1), 63-70. 

  16. J. Y. Ha & E. Y. Choi. (2013). Health Perception, Health Concern, and Health Promotion Behavior of the Elders. Journal of Korean Gerontological Nursing, 15(3), 277-285. 

  17. K. Y. Shin & J. S Kim. (2004). A Study on Health Concern, Self-rated Health, Health Status, and Health Promotion Behavior of Elderly Women in Urban Area.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4(5), 869-880. 

  18. J. H. Seo & H. S. Ryu. (2010). Relations among Depression, Life Satisfaction and Health Promoting Behavior in the Elderly. Journal of Korean Academy Community Health Nursing, 21(2), 169-177. 

  19. E. Y. Choi, J. Y. Kim & H. S. Kim. (2003). The Correlational Study on Health-promoting Behavior, Life Satisfaction and Family Support of Elderly People. Journal of Korean Gerontological Nursing, 5(1), 7-16. 

  20. G. S. Kim. (2010). Structural equating model analysis. Seoul : Hannarae Academy Publishing Co. 

  21. J. F. Miller. (1983). Coping with chronic illness, ,Overcoming powerlessness, 2nd ed. Philadelphia : F. A. Davis Company. 

  22. J. M.. Park. (2001). The variables influencing the powerlessness of older residents in social welfare institutions for the aged. Unpublished doctor's thesis, Seoul Women's University, Seoul. 

  23. J. Sheikh & J. Yesavage. (1986). Geriatric Depression Scale(GDS): Recent evidence and development of a shorter version. Clinical Gerontologist, 5(12), 165-173. 

  24. B. S. Kee. (1996). A Preliminary Study for the Standardization of Geriatric Depression Scale Short Form-Korea Version. Journal of the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35(2), 298-307. 

  25. M. S. Sung. (1999). A Correlation on Spritual Wellbeing, Hope and Perceived Health Status of the Elderly. Unpublished Master's Thesis, Keimyung University, Daegu. 

  26. K. B. Kim, S. E. Cho & Y. J. Lee. (2012). The impact factors that affect powerlessness of the elderly. Journal of Korea Gerontological Society, 32(2), 487-499. 

  27. H. S. Kang. (1984). (An)Experimental study of the effects of reinforcement education for rehabilitation on hemiplegia patients' self-care activities. Unpublished docto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28. J. W. Park. (1985). A Study to Development a Scale of Social Support, Unpublished docto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29. G. Y. Jeon & J. Y. Li. (2002). The Effect of Attachment Styles and Social Support on the Elderlys Subjective Well-being. Journal of the Korea Gerontological Society, 22(3), 173-191. 

  30. Y. H. Choi & S. Y. Kim. (1997). Development of Health Behavior Assessment Tool of the Korean Elder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7(3), 601-613. 

  31. H. S. Jeong & O. S. Kim. (2013). Anxiety, Depression and Health Behavior of Elderly with Chronic Diseases. Health & Nursing, 25(2), 35-46. 

  32. S. M. Lee. (2018). Impact of depression, family support and self-efficacy on health promoting behavior in patients with cerebrovascular disease. Unpublished doctor's thesis, Hanyang University, Seoul. 

  33. Y. H. Pang & O. S. Kim. (2017). Powerlessness, Family Support and Health Promoting Behavior in Elders Using Home Service under Korean Long-term Care Insurance. Journal of Korean Gerontological Nursing, 19(3), 184-193. DOI : 10.17079/jkgn.2017.19.3.184 

  34. K. Bosworth & W. Schaie. (1997). The relationship of Social Networks and Health Outcomes in the Seattle Longitudinal Study-Two Analytical Approaches. Journal of Gerontology, 52(5), 1-2. 

  35. J. Y. Ha & Y. H. Pack. (2015). Health Status and Factors related to Health Behaviors of Older Adults Using a Senior Center.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Adult Nursing, 27(4), 105-115. DOI : 10.7475/kjan.2015.27.4.428 

  36. S. J. Yu, K. C. Lom, H. M. Seo, E. H. Kong & J. H. Kim. (2013). Powerlessness in Community-dwelling Older Korean Adults: Association of Depression, Stress, Social Support, Health Promotion Behavior & Activities of Daily Living. Journal of Korean Gerontological Nursing, 15(2), 103-11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