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건설재해사례 분석에 의한 전문건설업종별 위험요인 탐색 : 전문건설업 근로자 공제자료를 중심으로
A Study on Risk Factor Identification by Specialty Construction Industry Sector through Construction Accident Cases : Focused on the Insurance Data of Specialty Construction Worker 원문보기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Industrial Information Systems Research, v.24 no.1, 2019년, pp.45 - 63  

이영재 (동국대학교 경영정보학과) ,  강성경 (동국대학교 경영정보학과) ,  유환 (동국대학교 경영정보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국내 건설업 사업자수는 매년 증가하고 있으며 산업의 고도화, 건설공사의 고층화 대형화로 건설업 근로자의 재해 노출 위험이 커지고 있다. 특히 문화와 언어가 다른 외국인 근로자 수의 증가, 다수의 중장년층 근로자, 옥외생산, 고소작업, 중장비 작업 등의 건설업 특성으로 타 산업에 비해 재해자가 많고 중대재해 위험 또한 높은 실정이다. 건설업의 경우 정해진 기간 안에 이루어져야하는 노동집약적 산업이고, 야간작업 등의 특수한 작업환경이 많으며 적정 공사비 확보가 안될 경우 안전관리에 대한 투자 또한 소홀하여 건설재해 요인에 대한 관리가 취약할 수밖에 없다. 건설업이 타 산업에 비해 재해율 및 사망률이 높고, 위험/특수한 작업환경, 다양한 국적 및 중장년층 근로자가 많다는 특성을 보았을 때, 위험요인 탐색을 통한 선제적인 건설 업종 현장 안전관리는 필수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건설 업종별 체계적인 위험관리를 위한 통찰력(Insight) 확보를 위해 지난 10여 년간 발생한 약 8500여 건의 건설재해사례를 분석하고 업종별 위험요인을 도출하였다. 분석결과 사고 다발 업종과 분석변수인 발생형태, 작업내용, 기인물, 가해물 간의 상호연관성을 살펴본 결과 각 분석변수와 사고 다발 업종은 서로 상호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작업내용의 경우 각 업종과의 상호연관성 크기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사고 다발 업종 중 철근코크리트공사업과 토공사업은 재해발생빈도가 높을 뿐만 아니라 발생형태, 작업내용, 기인물, 가해물 내 대부분의 위험요인 카테고리에서 위험성이 높은 업종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number of domestic construction company is expanding every year while the construction workers' exposure to disaster risk is increasing due to technological advancements and popularity of high-rise buildings. In particular, the industry faces greater fatalities and severe large scale accidents b...

주제어

표/그림 (10)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텍스트마이닝은 비구조적인 비정형텍스트를 구조화하여 단어의 빈도에 따라 대표적인 키워드를 추출할 수 있는 분석기법이다. 문자 기반의 데이터에서 새로운 정보를 찾아 가치 있는 정보를 추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텍스트마이닝 전처리 과정에서는 문서 및 문장을 품사 단위로 정리하는 형태소 분석이 이루어지고, 그 후 핵심 주제어를 분석하는 경우가 많다.
  • 향후에는 좀 더 정밀한 분석을 위해 데이터품질 확보를 통한 정보관리체계에 대한 연구 또한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는 비정형텍스트인 사고내용에서 카테고리를 분류하여 분석 가능한 형태로 정제하여 진행하였다. 이는 곧 표준화된 분류체계를 통해 정형화된 정보 관리가 필요함을 의미하기도 한다.
  • 본 연구에서는 건설업 중 꾸준히 종사자수가 증가하고 있는 ‘전문직별 공사업’에 대한 사고사례분석을 통해 건설전문 직종별 위험사항을 파악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사고 다발 건설업종과 각 교차분석 대상인 다발빈도 카테고리 간 상호연관성이 있음을 검정한다. 가설검정을 위한 가설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보다 넓은 분석기간을 설정하여 약 10여 년간의 재해사례를 분석하고, 기존에 사용되고 있는 각종 분류체계를 재검토하여 수정보완 한다. 또한 분석측면에 있어서도 ‘건설업’ 전체가 아닌 ‘전문건설업 내 세부업종’별 위험요인을 도출하여 업종과 사고내용에서 도출한 분석변수 간 상관성까지 알아본다.
  • 건설재해 위험관리를 위한 각종 분석 및 관리방안을 제시한 선행연구는 대부분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의 「산업재해 기록・분류에 관한 지침」 분류체계를 상당부분 준용한다. 해당 지침은 고용노동부 「산업안전보건법」 에 의거하여 산업재해 기록보존과 통계 산출을 위해 필요한 사항을 정리한 것으로 재해예방기관과 사업주 등이 산업재해를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통계를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목적으로 만들어졌다. 지침에서는 산업재해 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사업장특성’, ‘재해자 특성’, ‘재해발생 특성’ 분류체계를 제시하고 있다.

가설 설정

  • 건설업종 – 가해물 간 연관성 - H0(귀무가설) : 건설 업종과 가해물은 서로 독립적이다.
  • 건설업종 – 기인물 간 연관성 - H0(귀무가설) : 건설 업종과 기인물은 서로 독립적이다.
  • 건설업종 – 발생형태 간 연관성 - H0(귀무가설) : 건설 업종과 발생형태는 서로 독립적이다.
  • 건설업종 – 작업내용 간 연관성 - H0(귀무가설) : 건설 업종과 작업내용은 서로 독립적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텍스트마이닝이란? 위와 같은 사고내용은 서술형 텍스트로 이뤄져있기 때문에 분석을 위한 형태로 정제하는 과정이 필요한데, 텍스트마이닝과 필터링을 통해 유사한 요인들을 그룹화 하는 것이 중요하다. 텍스트마이닝은 비구조적인 비정형텍스트를 구조화하여 단어의 빈도에 따라 대표적인 키워드를 추출할 수 있는 분석기법이다. 문자 기반의 데이터에서 새로운 정보를 찾아 가치 있는 정보를 추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건설업 근로자의 재해 노출 위험이 커지고 있는 이유는? 국내 건설업 사업자수는 매년 증가하고 있으며 산업의 고도화, 건설공사의 고층화 대형화로 건설업 근로자의 재해 노출 위험이 커지고 있다. 특히 문화와 언어가 다른 외국인 근로자 수의 증가, 다수의 중장년층 근로자, 옥외생산, 고소작업, 중장비 작업 등의 건설업 특성으로 타 산업에 비해 재해자가 많고 중대재해 위험 또한 높은 실정이다.
「산업재해 기록・분류에 관한 지침」에서 산업재해 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제시하는 분류체계는? 해당 지침은 고용노동부「산업안전보건법」에 의거하여 산업재해 기록보존과 통계 산출을 위해 필요한 사항을 정리한 것으로 재해예방기관과 사업주 등이 산업재해를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통계를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목적으로 만들어졌다. 지침에서는 산업재해 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사업장특성’, ‘재해자 특성’, ‘재해발생 특성’ 분류체계를 제시하고 있다. 사업장 특성의 경우 ‘사업자등록번호, 산재관리번호, 사업장명, 소재지, 산업(업종), 규모(근로자수), 행정구역, 사업장형태, 공사종류, 공사금액, 공사기간, 공정률’을, 재해자 특성의 경우 ‘국적, 성별, 연령, 직업, 고용형태, 근무형태, 동종업무 근속기간’을, 재해발생 특성의 경우 ‘재해발생일시, 발생시점, 재해종류, 피해현황, 안전방호조치, 안전방호조치 여부, 개인보호조치, 개인보호조치여부, 작업형태, 발생형태, 기인물(가해물), 작업지역 공정, 작업내용, 불안전한상태, 불안전한 행동, 추락장소, 추락높이, 감전전압, 점화원, 상병종류, 상병부위, 근로손실일’을 분석항목으로 포함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Analysis of Industrial Accident Status.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2017. 

  2. Lee, S. H., Safety Accidents of Construction Machinery Workers, Blame for the "Original Responsibility" Law should be Revised. Worknworld, 2018. 

  3. Kim, T. W., "A Study on Effectiveness of Safety Consciousness and Risk Assessment System on Construction Industrial Accidents," Graduate School of Jungwon University, 2018. 

  4. Jo, J. H., "A Study on the Causes Analysis and Preventive Measures by Disaster types in Construction Fields," Journal of Korea Safety Management & Science, Vol. 14, No. 1, pp. 7-13, 2012. 

  5. Su, S. S., Bok, B. Y., Bong, H. H., Kang, K. S., "Crash of a Small Construction Site Accident Analysis and Risk Assessment Study - Focusing on Project Value of Less than 20 Billion Small Construction Sites -," Journal of Korea Safety Management & Science. Vol. 16, No. 4, pp. 41-51, 2014. 

  6. Go, S. S., Song, H., and Lee, H. M., "Development of the Safety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Risk Index for the Building Construction Work,"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Vol. 21, No. 6, pp. 113-120, 2005. 

  7. Son, K, S., Gal, W. M., Choi, J. N., and Song, I. Y., "Countermeasures for Safety Management in Subcontractor Work at Construction Site using AHP Techniqu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afety, Vol. 26, No. 1, pp. 27-35, 2011. 

  8. Korea Occupational Safety & Health Agency. Guideline for Recording and Classifying Industrial Accidents. Korea Occupational Safety & Health Agency, 2016. 

  9. Kim, H. J., Lee, T. H., Ryu, S. E., and Kim, N. R., "A Study on Text Mining Methods to Analyze Civil Complaints: Structured Association Analysis," Journal of the Korea Industrial Information Systems Research, Vol. 23, No. 3, pp. 13-23, 2018. 

  10. Kang, S. J., "Constructing a Large Interlinked Ontology Network for the Web of Data," Journal of the Korea Industrial Information Systems Research, Vol. 15, No. 1, pp. 15-23, 2010. 

  11. Son, K. S., Gal, W. M., Song, I. Y., and Choi, J. N., "Formulation for Producing Risk Level of Each Construction Work," Journal of Korea Safety Management & Science, Vol. 26, No. 1, pp. 13-19, 2010. 

  12. Jung, S. H., Lee, G. H., An, K. I., Lim, S. I., and Kang, K. S., "A Study on The Situation of Disasters and Characters of Technical Construction Firms," Journal of Korea Safety Management and Science, Vol. 11, No. 4, pp. 93-109, 2009. 

  13.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Risk Profile for Construction Projects.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2014. 

  14. E-practical affairs(http://guide.kosha.or.kr). Korea Occupational Safety & Health Agency. 

  15. Lee, H. S., Lim, H. J., and Jae, J. H., 2013. 

  16. Dongguk University. 2018. Analysis of Construction Accident Data for Deduction (insurance) Business. Korea Specialty Contractor Financial Cooperative.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