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아귀찜'의 등장과 확산
Appearance and Diffusion of Aguijjim (아귀찜) 원문보기

韓國食生活文化學會誌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Culture, v.34 no.1, 2019년, pp.1 - 13  

이규진 (경남대학교 식품영양생명학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track the appearance of Aguijjim and its popularity on the national level. Furthermore, changes in the monkfish recipe and how they impacted the consumption of monkfish were investigated. It is assumed that monkfish was consumed by Japanese in Korea during the Japanese co...

주제어

표/그림 (10)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방한 관광객들의 한식 선호도에 의하면 아귀찜은 어떠한가? 2010), 중국 관광객들의 경우 매운 한식을 선호 하는 것으로 나타나서 아귀찜이 중국인들에게 만족감을 줄 수 있는 메뉴라고 보인다. 실제로 인터뷰 대상이었던 서울 신사동의 ‘마산아귀찜’을 방문했을 때 대부분의 손님이 중국 인 단체 관광객들이었고, 아귀찜 골목의 여러 음식점에서도 줄을 서서 먹는 모습이 목격되었다. 한편 일본인들의 경우는 매운맛을 다소 불편하게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일본인 들과 매운맛에 익숙지 않은 서양인들을 위해서는 맛에 변화 를 주고 조림이나 튀김 등 다양한 메뉴개발이 필요할 것이 다. 고단백 저지방 심해어인 아귀는 단백질, 인, 철분의 좋은 급원 식품이며, 비타민 B1, B2, 비타민 C, 비타민 A 등 각 종 비타민이 풍부한 것으로 조사(Kim 2002)되어 앞으로도 건강 식재료로 각광 받을 것으로 기대된다.
아귀란 무엇인가? 아귀는 정약전(1758~1816)이 흑산도 유배 중에 지은 「Jasaneobo (玆山魚譜)」에 ‘조사어(釣絲魚), 속명 아구어(餓 口魚)’라는 이름으로 실려있다(Jeong 1814). 그리고 김해에 서 24년간의 유배생활을 한 이학규(1770~1835)는 1813년에 집필한「Nakasaengjip (洛下生集)」11권 ‘남식행(南食行)’ 에서 영남지역에서 먹는 다양한 물고기 가운데 하나로 “속 명 아귀어(餓鬼魚), 또 다른 이름은 수치(水雉)”를 소개하였 다(Institute for the Translation of Korean Classics).
마산아귀찜의 유래는? 1960년대 마산에서는 건아귀를 이용한 아귀찜이 탄생했다. 마산아귀찜 유래에 대해서는 어느 특정인이 개발했다는 주장부터 먹을 것이 부족했던 피난민들이 만들어 먹기 시작했 다는 주장, 그리고 기존에 있었던 북어찜, 복찜이나 지지미 같은 음식에 아귀를 적용해서 만들어졌다는 주장 등이 있다. 마산에서 건아귀에 ‘찜’이라는 조리법이 적용되고 마산시민 들에 의해 소비, 발전되면서 외식 상품화가 되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9)

  1. Central Fishery Products Inspection Station. 1966. Annual Report for Fishery Products Inspection (1965). Sisamunhwasa, Seoul, Korea. p 9 

  2. Choe SH. 2004. The food image of Korean Modern Poetry-Aguijjim, Sian, 24, p 22 

  3. Choo JJ, Shin MK, Kwon KS, Yoon GS. 1998. Recipe Standardization and Nutrient Analysis of Local Foods of Chelooabuk-do Province, Korean J. Community Nutrition, 3(4): 630-641 

  4. Chosun Ilbo (조선일보) (1973.8.28. p 17) 

  5. Culture and Public Information. 2008. Traditional Local foods of Korea: Gyeongsangnam-do. Gyomunsa, Seoul, Korea, p 326 

  6. Dong-A Ilbo (동아일보) (1977.11.8.p 5, 1985.9.26.p 12, 1997.4.12.p 23, 1999.1.25.p 6) 

  7. Gyeonghyangsinmun (경향신문) (1977.11.28.p 8, 1978.1.20.p 3, 1981.4.27.p 9, 1982.10.16.p 10, 1983.11.16.p 9, 1997.12.8.p 29) 

  8. Hanguksusangisulhyeopoe. 1968. Susanyeongam (水産年鑑). Gwangmyeong, Seoul, Korea, p 799, p 803 

  9. Hanguksusangisulhyeopoe. 1969. Susanyeongam (水産年鑑). Gwangmyeong, Seoul, Korea, p 478 

  10. Hong SY. 1992. New Famous Restaurants [새로찾은 별미집]. Donghaksa, Seoul, Korea, p 64 

  11. Hwang HS. 1991. Traditional Korean Food. Gyomunsa, Seoul, Korea, p 138 

  12. Institute of Cultural Heratage. 1984. A Report of Korean National Folk. Culture and Public Information, Seoul, Korea, p 315 

  13. Jeong HS. 1991. urimatgihaeng-Aguijjim. Wolgansaemteo, 1991.7, pp 100-101 

  14. Jeong NW, Cha GH. 2007. Native local foods. Gyomunsa, Seoul, Korea, p 197 

  15. Jeong YJ (丁若銓). 1814. Jasaneobo (玆山魚譜), Korea 

  16. JoongAng Ilbo (중앙일보) (1981.3.18.p 17, 1995.2.22.p 23, 2017.11.17.p 21) 

  17. Jeollanamdo Nongchonjinheungwon. 1979. Collection of Local Foods [향토요리모음]. Jeollanamdo, Korea, p 33 

  18. Joseonchongdokbu (朝鮮總督府). 1909. Hanguksusanji (韓國水産志). Gyeongseong, Joseon, p 199 

  19. Joseonchongdokbu (朝鮮總督府). 1930-1942. Joseon Chongdokbu tonggyeyeonbo (朝鮮總督府統計年報). Gyeongseong, Joseon, p 141, p 147, p 151, p 115, p 117, p 117, p 117, p 105, p 97, p 85, p 87, p 89, p 89 

  20. Kim HY. 1973. The behind history of Masan [馬山野話]. Taehwa, Seoul, Korea, pp 84-85 

  21. Kim JH. 2012. The memories of hangover soup Agwitang, Siinsegye, 39, pp 34-35 

  22. Kim YB. 2008. Searching for the root of Korean food [한국음식의 뿌리를 찾아서]. Baeksan, Seoul, Korea, p 219, p 223 

  23. Kim KJ, Kwak YJ, Kim MJ, Kang SH. 1990. A Study on 'Tang', Traditional Soup Originated in Kyoung-Nam Province, Korean J. Food Cookery Sci., 6(3), p 77 

  24. Kim S. 2016. Production and distribution of fishery products in the Busan region during the colonial period. History & Boundaries 99, p 142 

  25. Kim SA. 2002. The Recipe Standardization and Nutrient Analysis of Aguyjjim (Local Foods in Busan). J. Korean Soc. Food Sci. Nutr., 31(6), p 1144, p 1147 

  26. Korean Food Foundation. 2012. Traditional Korean restaurants loved by Korean [한국인이 사랑하는 오래된 한식당]. Korea Food Service Information, Seoul, Korea, p 244 

  27. Korean Language Society. 1958. New Korean dictionary. Dong-a, Seoul, Korea 

  28. Kyongnamdomin Ilbo (경남도민일보) (2015.2.13. p 20, p 21) 

  29. Lee HR. 2003. Summary of Masan history [간추린 마산역사]. Gyeongnamchulpan, Masan, Korea, pp 236-237 

  30. Lee SY, Nam KW, Lee YB, Choi HG. 1991. Korean language dictionary. Gyoyukdoseo, Seoul, Korea, p 1706 

  31. Maeilgyeongje (매일경제) (1989.10.7.p 13, 1993.1.4.p 5 ) 

  32. Masansisapyeonchanwiwonhoe. 2011. The history of Masan City 馬山市史 Vol.2. Samdeokjeongpan, Changwon, Korea, p 240 

  33. Mun SY. 1958. Pyojun Korean dictionary. Sunmi, Deagu, Korea, p 92 

  34. Sanggongbususanguk. 1953. Fisheries statistics of Korea (韓國水産統計年鑑). Donggwangsa, Busan, Korea, p 234 

  35. Yeom CA. 1992. Korean Food. Hyoilmunhwasa, Seoul, Korea, p 320 

  36. Youn NM, Lee SH, Yoon YS. 2010. A Comparative Study on the Recognition and Attitude of Korean Foods for Japanese and Chinese Tourists in Korea. J. Foodservice Management Soc. Korea, 13(2):166 

  37. Yun DN. 2017. Bapsanggyeonmullok. Gipeunnamu, Seoul, Korea, pp 285-286 

  38. Food and Agricultural Materials Inspection Center, Available from:http://www.famic.go.jp/public_relations_magazine/kouhoushi/back_number/pdf47/14.pdf#search%27%E4%B8%89%E9%B3%A5%E4%BA%8C%E9%AD%9A%27, [accessed 2018.9.23.] 

  39. Hwang GI, Incheonagwi, Available from: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3568547&cid58987&categoryId58987, [accessed 2018.8.8.] 

  40. Institute for the Translation of Korean Classics, Available from: http://db.itkc.or.kr/search/group?qquery†%EC%95%84% EA%B7%80%EC%96%B4,[accessed 2019.2.12.] 

  41. KIPRIS. Available from: http://www.kipris.or.kr/khome/main.jsp, [accessed 2018.10.3.] 

  42. Korean Intellectual Property Office, Korean Traditional Knowledge Portal, Available from: http://www.koreantk.com/ktkp2014/kfood/kfood-view.view?foodCd105820, [accessed 2018.9.16.] 

  43. Korean Traditional Knowledge potal, Available from: http://www.koreantk.com/ktkp2014/kfood/kfood-view.view?foodCd105820, [accessed 2018.7.21.] 

  44. Korean Traditional Knowledge potal, Available from: http://www.koreantk.com/ktkp2014/kfood/kfood-view.view?foodCd109244, [accessed 2018.7.21.] 

  45. Minister of Oceans & Fisheries, State of import and export, Available from: https://www.fips.go.kr/p/S020702/#, [accessed 2018.8.15.] 

  46. Statistics Korea, Fishing Production, Available from: http://kostat.go.kr/wnsearch/search.jsp, [accessed 2018.8.15.] 

  47. Taste of Regent, 鮟鱇魚, Available from: https://www.tasteofregent.com, [accessed 2019.2.12.] 

  48. The Academy of Korean Studies, Mulkkongsikdang, Available from:http://busan.grandculture.net/Introduce/Index?localbusan, [accessed 2018.9.20.] 

  49. The FOURnet Information Network, Monk fish, Available from: https://www.cooks.com/rec/sch/0,1-0,monk_fish,FF.html, [accessed 2019.2.1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