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인을 위한 생애주기별 식생활 지침 - 변천 과정 및 영양사 니즈 조사 -
Life Cycle-based Dietary Guidelines for Koreans - Examination of Historical Changes and Dietitians' Needs - 원문보기

韓國食生活文化學會誌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Culture, v.34 no.1, 2019년, pp.23 - 33  

김수연 (서울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아사노가나 (서울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윤소윤 (서울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이금양 (서울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허보영 (서울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윤지현 (서울대학교 식품영양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xamined the historical changes of and dietitians' needs for the Life Cycle-based Dietary Guidelines for Koreans. Content analysis of relevant documents, a survey of 307 dietitians, and in-depth interviews with eight dietitians were conducted. The dietary guidelines published between 2003...

주제어

표/그림 (9)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의 생애주기별 식생활 지침의 제·개정 연혁, 생애주기별 식생활 지침의 구성 및 내용의 변화에 대하여 알아보기 위하여 그동안 발간된 생애주기별 식생활 지침 관련 정책연구 보고서와 보도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 이에 2016년에 보건복지부, 농림축산식품부, 식품의약품안전처가 함께 “국민 공통 식생활 지침”을 제정, 공표하여 일관성 있는 식생활정책을 추진하고자 하였다(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15).
  • 2015; Kim & Lim 2015), 현직 영양사를 대상으로 한 연구는 보고되지 않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한국인을 위한 생애주기별 식생활 지침의 변천과정과 이에 대한 현직 영양사의 니즈를 조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식생활 지침이란? 식생활 지침은 식생활과 건강문제의 관련성에 대한 과학적 근거를 토대로 국민의 질병 위험을 감소시키고 건강을 증진시키기 위해 필요한 올바른 식생활 원칙을 제시한 것이다. 식생활 지침은 1980년에 미국에서 처음으로 제정되었다.
일관성 있는 식생활정책을 위해 제정된 국민 공통 식생활 지침에서 나타난 단점은? 이에 2016년에 보건복지부, 농림축산식품부, 식품의약품안전처가 함께 “국민 공통 식생활 지침”을 제정, 공표하여 일관성 있는 식생활정책을 추진하고자 하였다(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15). 그러나 국민 공통 식생활 지침은 누구에게나 바람직한 기본적인 식생활 지침을 제시하고 있으므로 생애주기별 특수성을 반영하지 못한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지난 2008~2011년에 개정된 생애주기별 식생활 지침의 활용도가 높았던 점을 고려하여, 2016년에 제정된 국민 공통 식생활 지침과 2015년에 개정된 한국인 영양소 섭취기준을 반영한 생애주기별 식생활 지침의 개정이 필요하리라 사료된다.
식생활 지침을 생애주기별로 제정한 나라는 어떤 이유 때문인가? 식생활의 실태 및 문제점은 생애주기별로 다른 양상을 보 이므로, 국민 식생활의 개선을 위한 식생활 지침의 활용도와 실효성을 높이기 위해 생애주기별 식생활 지침을 별도로 제정한 나라들이 있다. 일본의 경우, 1985년에 후생성(현 후생 노동성)이 범국민을 대상으로 “건강 만들기를 위한 식생활 지침”을 제정하였고, 이를 토대로 1990년에는 대상 집단을 생애주기별로 세분화하여 각 집단의 특성에 따른 구체적인 식생활 목표를 제시한 “건강 만들기를 위한 식생활 지침(대상 특성별)”을 제정하였다(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199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Australian Government National Health and Medicine Research Council. 2013. Eat for health Australian Dietary Guidelines providing the scientific evidence for healthier Australian diets. Australian Government National Health and Medicine Research Council, Canberra. Australia 

  2. Bae SJ, Lee SM, Ahn HS. 2010. Comparison of nutritional knowledge, dietary habits, and practice level of eating behavior guidelines between part-time working and nonworking adolescents attending a vocational high school in Yongin, Gyeonggi-do. J Korean Soc Food Cult., 25(1):17-24 

  3. Dey I. 1993. Qualitative Data Analysis: A User-Friendly Guide for Social Scientists. Routledge, United Kingdom, pp 31-56 

  4. Harvey LJ, Armah CN, Dainty JR, Foxall RJ, John Lewis D, Langford NJ, Fairweather-Tait SJ. 2005. Impact of menstrual blood loss and diet on iron deficiency among women in the UK. Br J Nutr., 94(4):557-564 

  5. Her ES, Yang HL, Yoon HS, Lee KH. 2002. Nutritional education status and recognition of the importance of elementary school dietitians in the Gyeongnam area. Korean J Community Nutr., 7(6):781-793 

  6. Kim BH, Sung M, Lee Y. 2011. Comparison of the nutrient intakes by the score of dietary action guides for Korean children among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Gwangju city. Korean J Community Nutr., 16(4):411-425 

  7. Kim CI. 2000. Dietary guidelines for the elderly. J Community Nutr., 2(1):50-61 

  8. Kim JW, Lee EJ. 2013. Current status of dietary education applications (App) as a smart education material. J Korean Practical Educ., 26(4):81-110 

  9. Kim JE, Shin S, Lee DW, Park JH, Hong EJ, Joung H. 2015. Association between compliance with dietary guidelines and Alzheimer's disease in Korean elderly. J Nutr Health., 48(3):221-227 

  10. Kim JR, Lim HS. 2015. Relationships between children's nutrition quotient and the practice of the dietary guidelin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their mothers. J Nutr Health., 48(1):58-70 

  11. Kim SB, Kim JW, Kim MH, Cho YS, Kim SN, Lim HS, Kim SK. 2013. A study on consumer's needs for development of diet guide application for pregnant women. Korea J Community Nutr., 18(6):588-598 

  12. King JC. 2007. An evidence-based approach for establishing dietary guidelines. J Nutr., 137(2):480-483 

  13. Koo S, Park K. 2013. Dietary behaviors and lifestyle characteristics related to frequent eating out among Korean adul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2(5):705-712 

  14.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 Prevention. 2011. Identification of nutritional risk factors through the life cycle and development of framework for in-depth analysis of the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 Prevention, Chung-cheong bukdo, Korea 

  15.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1997. Dietary Guidelines for health promotion (by characteristics of target groups). Dai-ichi shuppan Co. Ltd, Tokyo, Japan 

  16. Ministry of Health, Labour and Welfare. 2006. Dietary Guidelines for pregnant and lactating women, a draft report of the investigative commission about promotion of 'Healthy Parents and Children 21'. Ministry of Health, Labour and Welfare, Tokyo, Japan 

  17.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07. Revision of Dietary Guidelines for Korean adults.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Sejong-si, Korea 

  18.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08. Obesity prevention and management programs-development of Dietary Guidelines for children.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Sejong-si, Korea 

  19.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0. National Nutrition Management Act. Legislation No. 10191. Article 14:2. Available from: http://law.go.kr/lsInfoP.do?lsiSeq103895#0000, [accessed 2018.10.10.] 

  20.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6. A study of evidence development for the Dietary Guidelines for Koreans based on life cycl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Sejong-si, Korea 

  21.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8. National Nutrition Management Act. Legislation No. 15877. Article 4:1. Available from: http://www.law.go.kr/lsInfoP.do?lsiSeq205617&efYd20181211#0000, [accessed 2018.12.13] 

  22.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02. Revision of Dietary Guidelines for Koreans (2002: with Action guides for adults and elders).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Sejong-si, Korea 

  23.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03. Revision of Dietary Guidelines for Koreans (2003: Dietary Action Guides for infants & toddlers, pregnant & lactating women, children, and adolescents).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Sejongsi, Korea 

  24.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10. Development and dissemination of self-assessment program and educational materials for obesity.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Sejong-si, Korea 

  25.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15. Development of the National Dietary Guidelines for Koreans.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Sejong-si, Korea 

  26. Paik HY, Kim CI, Moon HK, Yoon JS, Joung H, Shim JE, Jung HJ. 2008. 2008 Dietary goals and dietary guidelines for Korean adults. Korean J Nutr., 41(8):887-899 

  27. Park J, Kweon S, Kim Y, Jang MJ, Oh K. 2012. Dietary behaviors related to metabolic syndrome in Korean adults. Korean J Community Nutr., 17(5):664-675 

  28. Park SH, Park HR, Jeon SB, Jeong SY, Tserendejid Z, Seo JS, Lee KH, Lee YK. 2012. Awareness and practice of dietary action guide for adolescence among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n Korea. Korean J Community Nutr., 17(2):133-145 

  29. Shin A, Lim SY, Sung J, Shin HR, Kim J. 2009. Dietary intake, eating habits, and metabolic syndrome in Korean men. J Am Diet Assoc., 109(4):633-640 

  30. Song SJ, Ahn HS, Khil J. 2013. Comparison of practice of dietary guidelines and health beliefs according to stage of weight loss behavior change among male workers. J Nutr Health., 46(3):276-284 

  31. World Health Organization[WHO]. 1998. Preparation and use of food-based Dietary Guidelines: report of a joint FAO/WHO consultation. No. 880. World Health Organization, Geneva, Switzerland 

  32. World Health Organization[WHO] Regional Office for South-East Asia. 2011. Regional consultation on food-based Dietary Guidelines for countries in the Asia region. World Health Organization Regional Office for South-East Asia, New Delhi, India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