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테러인식 척도의 확인적요인분석
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on the Awareness of Terrorism Scale in Korea 원문보기

시큐리티연구 = Korean security journal, no.61, 2019년, pp.235 - 254  

정종운 (동국대학교 경찰행정학과 경찰학) ,  곽대경 (동국대학교 경찰행정학과) ,  심혜인 (동국대학교 경찰행정학과 범죄학)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는 테러 인식에 대한 척도에 대하여 확인적 요인분석(Confirmatory Factor Analysis)을 사용하여 요인구조를 확인함으로써, 한국형 테러인식을 측정하는데 적합한 척도인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최오호 외(2016) 「국회청사 보안강화 방안에 관한 연구」에서 수집된 국회공무원을 대상으로 한 176명의 자료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연구결과 테러인식의 총 14문항으로 구성된 척도에서 테러우려 3문항, 테러발생인식 5문항, 테러대응 3문항, 테러대비장치 3문항의 요인별 모형적합도의 적합도 지수는 기준치를 충족하여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표준화회귀계수도 기준 값을 상회하고 있어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잠재변수 테러우려가 평균분산추출값의 기준 값에 다소 미치지 못한 것을 확인하였으나, 그 이외의 값은 적합한 것으로 나타나 집중타당도가 확보된 것으로 보았다. 이를 보충하고자 판별타당도를 검증한 결과 척도 수준이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 검증한 테러인식문항을 포함하여 테러와 관련된 이론과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테러인식을 측정하기 위한 적합한 문항으로 구성된 설문지가 개발되어 측정될 필요가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dentifies a factor structure regarding the criterion of terror awareness by using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The study provides information whether the criterion fits in the analysis of terror awareness in Korea or not. Data of 176 public officials working at the National Assembly co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 연구는 테러에 대하여 우려하는 정도, 테러 발생에 대한 인식의 정도, 테러에 대한 대응 강화의 정도, 테러 방지를 위한 대비 장치의 정도를 측정한 테러 인식 척도를 확인적 요인분석(CFA)을 통해 잠재변수와 측정변수 사이의 관계를 파악하고 확인하였다. 그리고 요인구조를 확인함으로써 한국형 테러 인식 척도로서의 적합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또한,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값을 바탕으로 평균분산추출 값과 개념 신뢰도 값을 활용하여 테러 인식 척도의 집중타당도와 판별 타당도를 검토하였다.
  • 테러에 대한 법적 제도의 마련 또는 조사 특성 기관에 따라 설문 문장의 차이가 있으나 동일한 개념을 유지하려고 노력하였다. 단, 각 연구에서 탐색적 요인분석과 신뢰도 분석은 실시되는데 반해 확인적 요인분석으로 척도를 확인하는 경우가 없어 이 연구에서는 최종적으로 발전되어 최근에 조사된 최오호 외(2016)의 연구 자료의 테러 인식에 대한 척도의 적합성을 검토해보고자 한다.
  • 대체로 단일 문항으로 테러에 대한 두려움 또는 노출 가능성(한성일·황의갑, 2016; 이민영, 2018; 강부순, 2019)을 묻는 경우이다. 이 연구에서는 이대성(2004)의 테러인식문항을 기반으로 하여 박헌영(2010), 최오호 외(2016)의 연구에서 수정 및 보완된 테러인식 척도를 검토해보고자 한다. 척도의 구성타당도를 확인하는 방법으로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 방법을 대표적으로 많이 사용하고 있는데, 최오호 외(2016)의 연구에서 분석할 자료에 대하여 탐색적 확인분석과 신뢰도 분석을 통해 척도의 적합성을 확인하였다.
  • 이에 덧붙여 차량 테러, 폭탄테러, 생화학테러 등을 대비한 테러 대비 장비 부분이 잘 되어 있는지에 대한 인식을 확인하기 위하여 “테러 대비 장치”요인을 척도에 추가하였다.
  • 테러에 관한 연구로는 보안과 경비를 담당하는 기관의 직원을 대상으로 테러에 대한 위협, 발생, 대응 등의 인식조사가 주를 이루고 있다. 테러 관련 인식조사에서 활용되고 있는 주요 측정 도구를 사용한 실증 연구에 대한 선행 연구를 중심으로 검토해보고자 한다.
  • 척도의 구성타당도를 확인하는 방법으로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 방법을 대표적으로 많이 사용하고 있는데, 최오호 외(2016)의 연구에서 분석할 자료에 대하여 탐색적 확인분석과 신뢰도 분석을 통해 척도의 적합성을 확인하였다. 테러인식에 대한 척도인 테러우려, 테러발생인식, 테러대응은 기존의 선행연구에서 활용되었으나, 테러대비장치요인은 새로 신설되었기에 이 척도의 활용에 대한 통계적인 적합성 검증이 추가적으로 필요하다고 판단하여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한 테러인식 척도의 집중타당도와 판별 타당도를 검토해보고자 한다.
  • 테러대책에 대한 만족도는 테러에 대한 정부정책과 기관별 공조체제 등에 대한 만족도를 조사하였고, 테러대책에 대한 필요 성으로는 테러방지법, 대테러전담기구 설치 등의 필요성 등을 측정하였다. 테러행위의 목적은 한국에서 발생한 테러행위에 대하여 사건별 목적에 대한 인식을 측정하여, 정치적, 이념적, 종교적, 민족적, 사회적 등의 측면에서 목적성을 볼 수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테러 인식을 측정에 대한 연구는 어떻게 되어가는가? 테러 관련 연구에서는 인식을 조사하는 연구가 주를 이루고 있는데, 반해 테러 인식을 측정하고 있는 척도에 대한 연구는 부족하다. 대체로 단일 문항으로 테러에 대한 두려움 또는 노출 가능성(한성일·황의갑, 2016; 이민영, 2018; 강부순, 2019)을 묻는 경우이다.
난민의 인도적 체류 허가 신청의 특징은 어떻게 나타나는가? 이러한 특정 사건 이외에 테러의 위협에 대한 국민의 두려움이 대두되었던 것은 2018년 제주도 예멘 난민 수용에 관한 반응이었다. 난민의 인도적 체류 허가 신청은 2009년 이후로 해마다 증가하고 있으며, 2018년에는 신청 난민이 16,173명이었다. 2015년부터 예멘은 정부군과 시아파 후티 반군의 내전으로 인해 200만 명의 난민이 발생한 상황이었으며, 난민들은 대체적으로 유럽이나 말레이시아 등으로 이동을 하였다.
국내에 난민법 폐지 청원이 일어난 이유로는 무엇이 제시되는가?  제주도에 도착한 예멘 난민들은 2017년 50명에 불과하였으나 2018년 561명(남성 504명, 여성 45명)으로 집계되었고, 이를 알게 된 국민들은 국민청원 게시판에 ‘난민법 폐지’를 주장하며 71만 4,800여 명이 동의를 하는 등 큰 관심을 불러일으켰다. 이와 같은 결과가 초래한 이유에는 2015년 11월 프랑스 파리 테러 사건이 가장 큰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이 높다. 파리 도시의 주요 6곳에서 자살폭탄테러, 총격 테러, 인질극 등이 동시다발적으로 벌어져 123명의 사망자와 349명의 부상자라는 결과를 초래했다. 이 테러의 주범과 동료들 중 IS 조직원 일부가 난민으로 위장하여 잠입한 것으로 조사되어 유럽 전역에 반이슬람, 반난민 정서가 심화되었으며, 체코, 헝가리, 폴란드, 슬로바키아는 난민수용을 거부하기에 이르렀다. 이와 같은 국외의 사례를 접하면서 국민들이 난민에 의한 범죄 발생 및 테러의 위협을 느끼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강병진 (2012). 요인테러의 경호적 대응방안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 강부순 (2019). 테러리즘 공포의 설명요인 연구. 동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3. 김용현, 박영주 (2011). 한국의 안보상황 및 안보정책에 대한 대학생의 인식에 관한 연구. 군사논단, 65, 115-138. 

  4. 김종열 (2013). 테러리즘 발생위험과 대응체계에 관한 한국 경찰관의 인식 및 함의. 경기대학교 박사학위논문. 

  5. 김효준, 박헌영, 안병수 (2011). 테러리즘에 대한 특수경비원의 인식분석. 한국재난정보학회논문집, 7(4), 273-285. 

  6. 대테러센터 (2019). 주간테러동향. 2019. 2. 1. (금). 

  7. 박헌영 (2011). 특수경비원의 테러리즘 인식에 대한 실증적 연구. 경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8. 박헌영 (2013). 테러발생에 대비한 한국 정치인 경호체제 구축방안. 경기대학교 박사학위논문. 

  9. 백수웅 (2019). 테러방지법상 테러개념에 관한 법제적 고찰. 원광법학, 35, 221-237. 

  10. 유인일 (2011). 뉴테러리즘 대응관리체계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군의 역할을 중심으로. 선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1. 유재두 (2013). 북한 테러에 대한 대학생의 인식연구. 한국테러학회보, 6, 72-96. 

  12. 이대성 (2004). 한국의 테러에 대한 인식과 대응방안에 관한 연구. 동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3. 이만종 (2018). UN지정 테러단체의 활동추세와 대응방안. 대테러연구, 40, 124-186. 

  14. 이만종, 김강녕 (2010). 북한의 테러 가능성과 대비전략. 한국테러학회보, 3, 7-52. 

  15. 이민영 (2017). 예시 사진과 집단주의 성향이 다문화 수용에 미치는 영향. 한국언론학보, 61(6), 177-200. 

  16. 이민영 (2018). 테러 뉴스의 서술 수준과 예시 유형이 테러 관련 인식과 정책 태도에 미치는 영향.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보, 35(1), 153-185. 

  17. 최오호, 이주락, 오병일 (2017). 국회청사 테러 인식에 관한 연구. 의정논총, 12(2), 277-297. 

  18. 최오호, 정종운, 조경연, 오병일 (2016). 국회청사 보안강화 방안에 관한 연구: 국회 보안인식 및 방청제도 개선을 중심으로. 국회내부보고서. 

  19. 최진혁 (2010). 산업보안 활동의 효과성 향상을 위한 CPTED 기법의 유용성 분석. 용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 최창호, 유연우 (2017). 탐색적요인분석과 확인적요인분석의 비교에 과한 연구. 디지털융복합연구, 15(10), 103-111. 

  21. 한성일, 황의갑 (2016). 테러에 대한 두려움이 정부의 사생활 침해 우려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한국테러학회보, 9, 22-39. 

  22. 황화철 (2009). 심리적거리가 지각된 위험과 성과에 미치는 영향. 유통과학연구, 7(2), 63-87. 

  23. Cho, H., Lee, J. S., & Lee, S. (2013). Optimistic bias about H1N1 flu: Testing the links between risk communication, optimistic bias, and self-protection behavior. Health Communication, 28(2), 146-158. 

  24. Montello, D. R. (1991). The measurement of cognitive distance: Methods and construct validity. Journal of Environmental Psychology, 11, 101-122. 

  25. Stapleton, C. D. (1997). Basic concepts and procedures of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Paper presented at the annual meeting of the Southwest Educational Research Association, Austin, TX, January, 23-25. 

  26. Van Prooijen, J.-W., & Van der Kloot, W. A. (2001). Confirmatory analysis of exploratively obtained factor structures. Educational and Psychological Measurement, 61(5), 777-792. 

  27. 대테러센터 홈페이지 http://www.nctc.go.kr/nctc/index.do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