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조직문화가 보안성과에 미치는 영향 연구 - 군인 가치관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Effect of Organizational Culture on Security Performance 원문보기

시큐리티연구 = Korean security journal, no.58, 2019년, pp.215 - 241  

박재곤 (수원대학교 행적학)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군의 보안문제가 국방과학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사이버보안 등 기술적인 분야에 치중되어 왔던 점을 감안하여 조직문화 관점에서 군의 보안문제에 대해 접근하였다. 이러한 배경에서 선행연구를 통해 군의 보안문제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를 추출 후 변수 간의 인과적 관계를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을 통해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군 조직문화는 군인들의 가치관(국가관, 안보관, 군인정신)을 확립하는데 기여함은 물론 보안준수의지와 군 조직의 보안수준을 향상시키는데 직/간접적인 영향을 주고 있었다. 이것은 현재 군의 전반적인 조직문화가 장병들의 보안의식과 조직 보안성과 달성에 영향을 주고 있다는 점을 알려줌과 동시에 올바른 조직문화 조성을 위해 각고의 노력이 필요함을 나타낸다. 둘째, 군인의 가치관은 개인의 보안준수의지와 보안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나타내고 있었다. 가치관은 조직문화를 이해하는 것에서 출발하며, 올바른 가치관이 형성되었을 때 조직의 보안태세 확립에 노력을 기울일 수 있다는 점을 알려준다. 셋째, 한국군의 맥락에 부합된 변수들을 추출하여 인과적 관계를 검증함으로써 연구의 완성도를 높였다는 점이다. 이러한 연구의 의의에도 표본의 대표성 확보, 보안수준 변화요인을 확인하기 위한 시계열 연구, 연구자 및 데이터의 삼각화 등은 연구의 한계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pproached the military security problem from the viewpoint of social psychology in view of the fact that the military security problem has been focused on the technical field such as cyber security along with the development of defense science and technology. In this background, we exam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조직인의 행위체계에 근거하여 군 조직의 보안수준 향상을 위한 비기술적 분야, 즉 정신적인 분야를 ‘조직문화(조직환경적 특성)’와 ‘군인의 가치관(개인의 심리적 상태)’, 그리고 ‘개인의 보안준수의지(개인 행위)’, ‘보안성과(조직성과)’와의 관계를 거시적 관점에서 확인하는 연구를 수행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군의 보안문제가 국방 과학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사이버보안 등 기술적인 분야에 치중되어 왔던 점을 감안하여 비기술적인 분야인 조직문화와 군인들의 가치관이 군 조직의 보안수준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규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기술적인 연구도 중요하지만 세계는 주변국의 군사정보를 수집하기 위해 스파이 활동을 여전히 전개하고 있으며, 군의 특성상 외부에서 물리적인 접근이 쉽지 않다는 것을 고려하면 내부자를 포섭하는 것은 내부의 중요 기밀을 획득하는 좋은 전략이기 때문이다.
  • 본 연구에서는 군 조직문화가 군인의 가치관과 조직의 보안수준 전반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거시적인 관점에서 확인을 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를 통해 수립된 가설을 토대로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을 통해 검증 후 향후 군의 보안수준 향상을 위한 대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본 연구의 이론적 배경은 연구의 대상이 군 조직과 이에 소속된 장병들이고, 연구의 목적이 군의 보안수준을 개선하기 위한 것이라는 점에서 조직문화가 군인의 가치관을 형성하고, 이렇게 형성된 가치관이 개인의 보안수준을 결정하고 결국 조직 전체의 보안문화가 변화한다는 관점에서 연구를 수행하고자 한다. 이러한 이론적 근거의 바탕은 조직학자인 민진(2013)이 제시한 ‘조직인의 행위 체계’로서 그는 조직인의 심리적 상태에 영향을 주는 요소로 조직적 특성, 개인적 특성, 직무상 특성, 조직환경적 특성 4가지 요인이 개인의 심리적 상태를 형성하고 이것은 개인의 행위(직무수행과 조직시민행동)에 영향을 미쳐 결국 조직의 성과를 달성한다는 것이다.
  • 따라서, 본 연구는 조직인의 행위체계에 근거하여 군 조직의 보안수준 향상을 위한 비기술적 분야, 즉 정신적인 분야를 ‘조직문화(조직환경적 특성)’와 ‘군인의 가치관(개인의 심리적 상태)’, 그리고 ‘개인의 보안준수의지(개인 행위)’, ‘보안성과(조직성과)’와의 관계를 거시적 관점에서 확인하는 연구를 수행하고자 한다. 이러한 문제의식 하에서 본 연구에서는 군 조직문화가 군인의 가치관 형성에 어떻게 작용하며 이에 따라 개인과 조직의 보안수준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관계를 검증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는 선행연구를 통해 제기된 가설을 양적 연구를 통해 검증함으로써 연구의 완성도를 높임과 동시에 그동안 확인되지 않았던 군 조직의 보안문제를 밀접(군 조직에 부합된 변수 추출)하면서도 객관적(양적연구를 통한 가설 검증)으로 확인할 수 있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가진다고 하겠다.
  • 본 연구에서는 군 조직문화가 군인의 가치관과 조직의 보안수준 전반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거시적인 관점에서 확인을 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를 통해 수립된 가설을 토대로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을 통해 검증 후 향후 군의 보안수준 향상을 위한 대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가설 1: 군 조직문화는 군인의 가치관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 2: 군 조직문화는 개인의 보안준수의지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 3: 군 조직문화는 군 조직의 보안성과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 4: 군인의 가치관은 개인의 보안준수의지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 5: 군인의 가치관은 군 조직의 보안성과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 6: 군인의 보안준수의지는 군 조직의 보안성과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 7: 군 조직문화는 군인의 가치관을 통해 개인의 보안준수의지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 8: 군 조직문화는 군인의 가치관을 통해 조직의 보안성과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 9: 군 조직문화는 개인의 보안준수의지를 통해 군 조직의 보안성과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10: 군인의 가치관은 개인의 보안준수의지를 통해 군 조직의 보안성과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 실증분석 결과를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① 군 조직문화는 군인들의 가치관을 확립하는데 기여하고 있었다(H1). 이렇게 확립된 가치관은 개인의 보안준수의지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면서(H4), 보안준수의지를 통해 보안성과를 확립하는데 간접적인 영향을 나타내고 있었다(H10).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리나라에서 ‘보안’의미는 주로 어떤 의미였나? 우리나라에서 ‘보안’이란 용어가 사용된 것은 1904년(광무 8년) 구한말 정치가 원세성이 항일운동을 위해 조직한 ‘보안회2)’에서 최초로 사용되었고, 주로 ‘국가보안’의 의미로 사용되어 왔다. 이후 미군의 Security 개념이 한국군에 의해 ‘보안’으로 번역되면서 사용하기 시작하였다(이종학, 2002; 박동희, 2012).
군 조직의 보안분야의 중요도가 높은 이유는? 본 연구에서 다루게 될 군 조직의 보안분야는 범정부 차원의 방위산업 육성정책과 함께 군사기밀 유출은 심각한 안보위기는 물론 국가산업 전반을 흔들 수 있다는 점에서 중요도가 높다. 세계의 정세 불안 속에서 군사적 우위를 확보하기 위한 각국의 첩보활동 노력은 한반도의 지정학적 위치를 고려하면 큰 위협으로 다가오고 있으며, 최근 핵 폐기를 둘러싼 북⋅미 간의 갈등과 동북아 패권경쟁에서 미⋅중 간의 군사적⋅경제적 대립은 우리의 안보를 더욱 위태롭게 하는 요인으로 보인다.
군사기밀보호법의 의의는 무엇인가? 이후 군사기밀이 유출되는 사고가 발생하는 것에 대한 법적인 처벌 근거가 미약하자 1972년 군사기밀보호법을 제정하여 군사기밀의 누설 및 탐지⋅수집 및 보호조치를 위한 제도적 장치를 마련하게 된다(전대일, 2010). 군사기밀 유출의 처벌 근거를 마련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지고 있으나, 군사기밀의 범주가 포괄적이고 처벌조항을 지나치게 구체화함으로써 ‘국민에 대한 지나친 구속’이라는 헌법재판소의 판결(1992.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국방일보 (2015, 5, 24.). 군사보안업무훈령 일부 개정 다음달부터 시행. 

  2. 김광식 (2002). 군 보안교육 실태 및 개선방안. 국방정책연구, 56, 173-204. 

  3. 김규 외 (2004). 정신전력 평가도구 개발. 국방정책연구보고서. 

  4. 김성우, 백동환 (2014). 군사보안실무론. 인천: 진영사. 

  5. 문연철, 김용훈 (2013). 근거이론을 적용한 예비역단체의 국방정책 참여 특성. 행정논총연구, 51(2), 257-282. 

  6. 민진 (2008). 군대조직의 특성에 관한 연구. 국방연구, 51(3), 61-94. 

  7. 민진 (2011). 군대조직문화 특성의 도출과 분석. 한국조직학회보, 8(3), 91-121. 

  8. 민진 (2013). 조직관리론. 서울: 대영문화사. 

  9. 박동희 (2012). 군 보안규정의 문제점과 발전방안 모색. 경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0. 박재곤 (2017). 근거이론을 적용한 군 조직의 보안수준 변화요인 연구. 한국경호경비학회, 53, 281-303. 

  11. 백민정 (2010). 조직의 정보윤리실천이 구성원의 정보보안 인식과 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경상논총, 25(4), 119-145. 

  12. 이종학 (2002). 우리군의 보안현주소 및 발전방안. 국방저널, 56-59. 

  13. 임기억 (2011). 장교 정신보안 강화 방안 연구.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4. 장월수 (2012). 군사비밀 유출에 따른 피해금액 산정을 위한 모델 연구.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5. 장항배 (2015). 미래 융합환경을 위한 사람중심의 산업보안 추진전략. 2015 정보보호컨퍼런스. 

  16. 전대일 (2010). 군사기밀에 관한 법적 연구.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7. 정해철, 김현수 (2000). 조직구성원 정보보안 의식과 조직의 정보보안 수준과의 관계 연구. 정보기술과 데이터베이스저널, 7(2), 117-134. 

  18. Alfawz, S., Nelson, K., & Mohannk, K. (2010). Information Security Culture: A Behavior Compliance Conceptual Framework. 8th Australasian Information Security Conference. 

  19. Baron, R. M., & Kenny, D. A. (1986). The moderate-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1, 1173-1182. 

  20. Chang, S. E. (2007). Exploring organizational culture for information security management. Industrial management & Data System, 107(3), 438-458. 

  21. Formell, C., & Larcker, D. F. (1981). Evaluation structural equation models with unobservable variables and measurement error.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18(Feburary), 39-50. 

  22. Hair, J. F. Jr., Anderson, R. E., Tatham, R. L., & Black, W. C. (1998). Multivariate Data Analysis (5th ed). Prentic-Hall International. 

  23. Humaidi, N. (2015). Leadership Style and Information Security Compliance Behavior: The Mediator Effect of Information Security Awareness. International Journal of Information and Education Technology, 5(4), 311-318. 

  24. Jhonston, A., & Hale, R. (2009). Improved security through Information security governance. Communications of the ACM, 52(1). 

  25. Norman, A., & Yasin, N. M. (2013). Information systems security management(ISSM) success factor. Journal of information system education, 24(1), 53-61. 

  26. Sotanmohmmadi, S., Asadi, S., & Ithnin, N. (2013). Main human factors affecting information system security. Interdisciplinary Journal of Contemporary in Business. 

  27. Van Dyne L. V., Graham, J. W., & Dienesch, R. M. (1994).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Construct redefinition, measurement and validation.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37, 765-802.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