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사이버보안 교육훈련 전문 인력의 역량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apability of Cyber Security Education and Training Professional Personnel 원문보기

디지털산업정보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Digital Industry and Information Management, v.15 no.1, 2019년, pp.43 - 51  

엄정호 (대전대학교 군사학과&안전융합학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research proposed the necessary capability of cyber security professional personnel for cyber security education and training. Cyber security professional personnel were required specialized capability because the curriculum of cyber security education and training is structured around practice...

주제어

표/그림 (10)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하지만, 사이버보안 교육훈련 전문 인력들은 교육대상자가 대부분의 현업에서 정보보안 직무를 수행하는 인력이기 때문에 실제로 발생한 사이버공격을 대응해야 하기 때문에 전문 지식과 실무 역량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사이버보안 교육훈련 전문 인력에게 요구되는 역량을 선행연구와 설문조사 결과를 토대로 도출하였다.
  • 아울러 훈련과 실습을 원활하게 진행시킬 수 있는 강의능력도 보유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교수 역량 연구 결과와 미국의 정보보안 전문교육의 필수 요소와 국가직무능력표준을 기반으로 사이버보안 교육훈련 전문인력의 필수 역량과 지표를 도출하였다. 도출한 역량과 지표는 대학에서 정보보안과 관련된 강의를 진행하는 교수들의 설문조사를 통해서 3개의 역량과 역량별 4개의 지표를 선정하고 검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대표적인 사이버보안 교육훈련에는 무엇이 있는가? 대표적인 사이버보안 교육훈련은 사이버안전훈련센터의 사이버위기 대응훈련과 한국인터넷진흥원의 최정예 사이버 정보보안 인력양성 과정이다. 사이버 위기 대응훈련 과정[5]은 과정소개, 훈련 설명, 훈련 실습으로 구성되며, 훈련 첫날에 과정소개와 훈련설명이 진행되고 나머지 훈련기간 동안 실습과 훈련이 진행된다.
사이버안전훈련센터와 한국인터넷진흥원의 사이버보안 교육훈련 과정의 특징은 무엇인가? 첫째, 교육생은 보안 초보자가 아닌 소속기관(업)에서 정보보안을 담당하는 인력 또는 컴퓨터나 정보보안 관련 전공자나 취업 희망자 등으로 정보보안의 기초적인 지식을 갖고 있다. 보안 전공자나 취업 희망자 또는 보안 실무나 관리자를 대상으로 하기 때문에 교육훈련 과정이 이론과 지식을 학습하기 보다는 실무에 적용할 수 있는 기술 중심으로 이루어진다. 둘째, 이론 교육보다는 실습과 훈련 중심으로 이루어진다. 현업 정보보안 실무자가 교육훈련 대상일 경우에는 교육과정이 실무에 적용할 수 있거나 알고 있는 지식을 활용하여 실제 사이버공격이 발생할 경우에 어떻게 방어하는지에 대한 훈련과정으로 편성된다. 즉, 교육과정의 교육 목표가 이론 지식을 학습하는 것이 아니라 실무능력 배양에 중점을 두고 있기 때문에 실습과 훈련 위주로 교육훈련이 진행된다. 셋째, 실습 과정은 보안 기법을 실습하는 단계와 훈련 시나리오에 의해서 교육생이 주도적으로 보안기법을 적용하는 단계로 구성된다. 우선, 교수가 기본적인 보안 기술을 설명하고, 학생이 실습을 진행한다. 그리고 보안 기술 실습이 끝나면 학생 스스로가 훈련시나리오에 따라 보안 기술을 공격 절차대로 대응할 수 있도록 적용하는 훈련으로 진행된다. 마지막으로, 교수자는 보안 실무의 경험이 있거나 담당과목의 전문가로 구성된다. 사이버안전훈련센터의 경우는 센터 소속의 교수나 연구소의 연구원으로 교육이 진행된다. KISA 아카데미 경우에는 해당 교과목의 전문 지식과 실무 경험이 있는 외부 전문가를 활용하기도 한다. 실습과 훈련을 진행하기 위해서는 이론을 교육하는 교육 전문가보다는 실무 능력을 겸비하거나 연구경험이 풍부한 전문가가 적합하다.
사이버 위기 대응훈련 과정은 무엇으로 구성되는가? 대표적인 사이버보안 교육훈련은 사이버안전훈련센터의 사이버위기 대응훈련과 한국인터넷진흥원의 최정예 사이버 정보보안 인력양성 과정이다. 사이버 위기 대응훈련 과정[5]은 과정소개, 훈련 설명, 훈련 실습으로 구성되며, 훈련 첫날에 과정소개와 훈련설명이 진행되고 나머지 훈련기간 동안 실습과 훈련이 진행된다. 다음 표 1은 훈련 과정 단계를 보여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3)

  1. 엄정호, 이우일, 박광기, "국방 사이버전사 역량 강화를 위한 특화된 사이버훈련체계 구축 방안," 보안공학연구논문지, 제13권, 제2호, 2016, pp.99-112. 

  2. 엄정호, "효과적인 사이버보안 교육훈련을 위한 교육과정 문제점 및 개선 방안," 보안공학연구논문지, 제12권, 제2호, 2015, pp.337-350. 

  3. 양진석, 정태명, 엄정호, "효과적인 사내 정보보호 직무교육을 위한 사내강사 운영관리 방안," 디지털산업정보학회 논문지, 제14권, 제4호, 2018, pp.109-116. 

  4. 이현영, 김영수, 허희옥, "공과대학 교수역량(Teaching Competency) 진단도구 개발 연구," 교육공학연구, 제28권, 제3호, 2012, pp.439-469. 

  5. 김기훈, 엄정호, "사이버보안 전문인력 획득을 위한 사이버보안 훈련생에 특화된 훈련성과 측정 모델에 관한 연구," 디지털산업정보학회 논문지, 제12권, 제4호, 2016, pp.59-69. 

  6. 이종찬 외 5명, "정부 주도 사이버 보안 인력 양성과정 개선 방안," 보안공학연구논문지, 제13권, 제2호, 2016, pp.113-130. 

  7. 백근예, "군 교육담당자의 교수역량 모델 개발-육군 병과학교를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9, pp.37-41. 

  8. 안상란, 임규연, "사이버대학 교수자의 교수역량 진단을 통한 교육요구도 탐색," 교육방법연구, 제27권, 제3호, 2015, pp.375-400. 

  9. 노헤란, 최미나, "인적자원 개발을 위한 교수 역량 모델 개발," 직업능력개발연구, 제7권, 제2호, 2004, pp.1-28. 

  10. 노정진, "직업교육훈련 교원의 교수역량 모델 개발-한국폴리텍대학을 중심으로," HRD연구논문지, 제20권, 제1호, 2018, pp.131-165. 

  11. 이은상, "기술 교사의 공학 교수역량 모델 개발," 충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5, pp.21-51. 

  12. William Newhouse, Stephanie Keith, Benjamin Scribner, and Greg Witte, "National Initiative for Cybersecurity Education (NICE) Cybersecurity Workforce Framework," NIST Special Publication 800-181, 2017, pp.5-6. 

  13. https://www.ncs.go.kr/education/index.do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