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가설공사 품질점검 업무효율 향상을 위한 전자작업지원시스템(EPSS) 프로토타입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evelopment of Electronic Performance Support System Prototype for Improving the Efficiency of Quality Inspection of Temporary Work 원문보기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v.20 no.2, 2019년, pp.13 - 27  

윤수호 (경희대학교 일반대학원 건축공학과) ,  최창훈 (경희대학교 일반대학원 건축공학과) ,  한충희 (경희대학교 공과대학 건축공학과) ,  이준복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가설공사는 임시시설물이지만 공사기간동안 사용빈도가 높으며 공사비의 10% 내외를 차지하고 있어 체계적인 관리가 필요하다. 하지만 가설공사의 시공검측정보들은 설계도서 및 시방사항에 특별한 명시가 없는 경우가 많으며 제기준에 대한 사항도 방대하다. 이로 인해 가설공사에 대하여 품질점검을 실시할 경우 관련 점검업무들을 비효율적으로 수행하며, 인간적인 오류가 발생할 확률이 높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가설공사에 대하여 품질점검 업무수행을 지원하고 관련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전자작업지원시스템을 적용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IDEF0를 활용하여 업무 단위프로세스별 정보흐름을 규명하고 EPSS기반 품질점검 업무체계를 정리하여 프로토타입을 개발한다. 이후 현장적용을 통한 검증방법으로 가설공사 품질점검 업무의 효율과 정보접근성을 향상하고자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hile temporary construction work applies to a temporary facility, it has a high use frequency during the construction period accounting for around 10% of the construction cost, it requires systematic management. However, construction inspection information of temporary construction work often has n...

주제어

표/그림 (27)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검증은 개발된 시스템의 기능과 실제 건설현장에서 품질점검 업무를 수행하는 과정에 도움이 될 수 있을지를 검증하기 위해 수행되었으며, 현장실무자(품질관리 건설기술자)에게 본 연구의 개요와 시스템에 대한 설명을 진행한 뒤 시스템을 활용하여 실제 품질점검 업무를 진행하도록 하였다.
  • 점검대상의 시공상태를 점검하기 위해서는 품질관리 건설기술자가 사전에 각 시설물에 대한 작업방법과 지침, 시방사항을 숙지해야 하며, 점검 시에는 각 시설물별로 시공상태와 안정성, 규격 등에 대한 평가가 복합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건설기준 표준시방코드(KCS)의 가설공사 분류체계를 기준으로 점검 간 확인해야하는 작업방법 및 지침, 시방사항, 점검사항에 관련된 제기준들을 1차적으로 조사한 뒤, 이에 대한 항목을 가설시설물의 시공상태와 안정성, 규격에 대한 내용만을 추출하여 가설공사 품질점검 업무 관련 시공검측정보 목록을 도출하였다. [Table 3]은 이에 대한 하나의 예시로서 거푸집 공사에 대한 시공검측정보 목록을 나타낸 것이다.
  • 또한 각각의 소분류 항목에서는 해당 가설공사를 세부 공종별로 일반사항, 재료, 시공측면으로 분류하여 시공검측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품질관리 건설기술자가 현장에서 점검을 실시해야 하는 가설공사의 분류기준으로서 건설기준 표준시방코드(KCS)의 가설공사 분류체계를 활용하여 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가설공사 시공검측정보 기반 전자작업지원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연구로써 프로토타입을 개발하여 현장에 적용함으로서 품질점검 업무의 효율성을 증진시킨 것에 의미가 있었다. 그러나 프로토타입은 갱폼을 대상으로만 개발되었기 때문에 모든 가설공사의 품질점검 업무를 지원 할 수 없다는 범위적인 한계를 지니고 있으며 품질점검 업무 결과로 작성되어야 하는 다양한 서류들 중 단편적으로 검측요청서만이 자동으로 생성되어 모든 업무를 지원할 수 없다는 한계 또한 지니고 있다.
  • 본 연구에서 개발된 가설공사 시공검측정보 기반 전자작업지원시스템의 현장적용성과 시스템 성능을 검증하기 위하여 국내 공동주택 현장 중 갱폼 사용하는 2개의 종합건설업체를 대상으로 시스템 검증을 실시하였다. 검증을 실시한 현장개요는 아래 [Table 11]과 같으며 실제 사례현장에 적용하고 이에 대한 해당 현장 실무 및 품질관리 건설기술자 등의 의견을 인터뷰를 통해 종합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가설공사 시공검측정보 기반 전자작업지원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 시스템 프로토타입을 개발하여 실제 구현가능성을 확인하고 최종 시스템의 성능과 문제점을 사전에 파악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전체 가설공사 중 공동주택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고 공사비 비중이 큰 갱폼을 시스템 프로토타입의 개발대상으로 선정하였다.
  • 그러나 고규진(2016)과 김성진(2016)과 같이 점검대상이 본 구조물이거나 도로 및 하천시설로 한정되어 있어 가설공사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전무한 상황이다. 이는 가설공사를 대상으로 품질점검업무를 개선하는 연구가 진행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하고 있으며 이를 위해 본 논문에서는 가설공사를 대상으로 품질관리 건설기술자가 실시하는 품질점검 업무의 효율을 높일 수 있는 기술적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이에 본 논문에서는 앞서 언급한 가설공사 시공검측정보기반 전자작업지원시스템 개발에 기반이 되는 가설공사 품질점검 체계를 정립하고 프로토타입을 개발함으로써, 점검시 필요한 정보들의 접근성을 개선하고 점검업무 자동화를 통해 체계적인 품질점검 활동이 될 수 있도록 기술적 방안을 마련하는 것이다.
  • 품질관리 건설기술자는 현장에서 가설공사에 대한 자체적인 품질점검을 반드시 실시해야함에도 불구하고 기존의 품질점검 업무들이 수작업으로 수행되고 그 과정이 비효율적으로 진행됨에 따라 인간적인 오류가 발생하고 부실점검이 될 우려가 있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가설공사를 대상으로 품질관리 건설기술자가 수행하는 품질점검 업무의 효율을 향상하기 위한 목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이에 대한 개선방안으로 가설공사 시공검측정보 기반 전자작업지원시스템을 제시하였다.
  • 품질관리 건설기술자의 점검업무는 설계, 시공, 품질, 안전 등 많은 종류가 있으나 본 연구에서는 점검대상의 시공상태를 점검하는 품질점검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기 때문에 이에 대한 시공검측정보만을 조사하여 가설시설물별로 품질점검 업무의 시공검측정보 목록을 정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전자작업지원시스템(EPSS)의 개념은 무엇인가? 전자작업지원시스템(EPSS)는 인간의 수행을 지원하기 위해 작업에 필요한 정보나 방법을 적시에 제공하는 시스템으로써 실제 업무상황에서의 학습과 업무보조가 동시에 진행되기 때문에 교육 및 IT 분야에서 많이 개발되고 있다. 그러므로 건설업에서도 경험적인 요소가 많은 작업이나 직접적인 업무수행을 통해 학습해야하는 작업들을 지원할 수 있는 전자작업지원시스템이 개발되어야 하며, 건설업에 적합한 전자작업지원시스템은 업무 방법 및 업무 간 필요한 정보를 적시에 제시하여 정확하고 신속한 업무가 가능하도록 활용할 수 있다.
가설공사는 공사기간동안만 사용하고 철거하는 임시시설물이지만 전체 공사비의 몇 %를 점유하는가? 건설프로젝트에서 가설공사는 본 구조체 축조를 위해 일시적으로 구축하여 사용하고 준공 후 철거하는 공사이다. 이러한 가설공사는 공사기간동안만 사용하고 철거하는 임시시설물이지만 전체 공사비의 10% 내외를 차지하고 있으며, 그 기술력에 따라 건축물의 완성도가 좌우될 정도로 공사비와 품질에 직결되어 있는 중요한 공종이기 때문에 체계적인 점검활동을 통해 관리할 필요가 있다.
가설공사의 제반사항은 수행도서(도면 및 시방서 등)에 특별한 명시가 없는 경우가 대부분(Kim, 2012)이기에 어떤 방법으로 수행하나? 그러나 가설공사의 제반사항은 수행도서(도면 및 시방서 등)에 특별한 명시가 없는 경우가 대부분이다(Kim, 2012). 이로 인해 품질관리 건설기술자는 각기 다른 주요 구조체 공종에 산재해 있는 시공검측정보 중 가설의 내용만을 수작업으로 확인하여 점검을 실시해야 한다. 그리고 최근 제정된 건설기준코드의 표준시방코드(KCS)만이 가설시설물에 따라 구성된 시공검측정보라고 할 수 있지만 모든 시방사항을 다루지 못하고 있어 다른 자료를 참고해야 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0)

  1. Ko, K.J., Oh, S.H., and Lee, C.S. (2016). "Application Prototype Development for the Building Safety Periodic Inspection."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Structure & Construction, 16(1), pp. 63-71. 

  2. Kim, M.J. (2012). "Development of Breakdown Structure of Temporary Work in Housing Project." Chungbuk Univ., Chungbuk. 

  3. Kim, B.S., Park, J.M., Kim, O.K., Kwak, S.S., Choi, B.J., and Song, G.H. (2011). "Improvement of Safety Certification System related on Construction Temporary Equipment." Journal of the Regional Association of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pp. 319-322. 

  4. Park, J.W. (2008). "Classification of Temporary Equipments for Building Construction in Safety Certification." Chungbuk Univ., Chungbuk. 

  5. Park, J.M. (2012). "Improvement Plan of Work Process Model for Analyzing Productivity in Construction Temporary Work." Chungbuk Univ., Chungbuk. 

  6. Park, J.M., and Kim, O.K. (2014). "Development on Breakdown Structure of Construction Site centered Construction Temporary Technology Index."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KICEM, 14(4), pp. 77-85. 

  7. Oh, S.W., and Kim, Y.S. (2005). "Development of PDA and Web-based System for Quality Inspection and Defect Management of Apartment Housing Project."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KICEM, 5(1), pp. 140-150. 

  8. Lee, H.R., Cho, D.H., Park, S.H., and Koo, K.J. (2017). "Nexus based Quality Inspection Support Model for Defect Prevention of Architectural Finishing Works."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KICEM, 17(5), pp. 59-67. 

  9. Jung, S.K. (2015). "Improvement of Site Quality Control through Results Analysis of Construction Work?s Quality Inspection." University of Seoul, Seoul. 

  10. Han, J.K., and Lee, S.K. (2015). "Improvement Direction of Construction Field Inspections : A Survey-Based." The Korea Institute of Building Construction, 15(1), pp. 188-189.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