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건설현장의 안전 네트워크 분석 및 개선방안
An Analysis on the Safety Networks in Construction Site and Its Improvement Measures 원문보기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v.19 no.5, 2018년, pp.101 - 110  

신원상 (세명대학교 건설공학과) ,  손창백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건설업의 안전사고는 과거부터 현재까지 지속적인 증가추이를 보이고 있다. 이러한 건설현장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거나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현장관리자 및 근로자들의 적극적이고 체계적인 안전관리 활동이 필요하다. 그러나 기존 선행연구들에서는 현재 건설현장의 규모별 안전 조직체계가 어떻게 구성되어 있고, 이들의 안전지식 및 업무수행 수준이 어느 정도인지를 명확히 파악한 연구가 미흡하다. 특히, 이들의 안전지식 공유 및 안전업무 협력체계가 어떠한 형태로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분석하고, 이를 시각적으로 표현한 연구는 부재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국내 건설현장의 일반화된 안전 조직체계를 현장규모별로 도출하고, SNA 기법을 통해 구성원들의 안전지식 및 협력체계를 분석하여 향후 건설현장의 효율적인 안전관리 체계구축을 위한 실무 자료를 제시함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afety-related accidents are continuously increasing in the construction field. In order to prevent or minimize such accidents, a systematic and active safety activities of on-site managers and workers are required. However, preexisting advance research is lacking on how the safety organization sys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국내 건설현장의 일반적인 안전 조직체계를 도출하고, 각 조직원별 안전지식 및 업무수행수준을 파악하며, 안전지식 및 협력 네트워크를 분석한다는 점에서 선행연구들과 차별성을 지닌다.
  • 본 연구는 최적의 건설 안전관리 방법론을 개발하기 위한 선행 작업으로 건설현장의 규모별 안전 네트워크를 도출하였다. 그러나 다양한 시설물 중 공동주택 및 오피스로 분석대상을 한정하고, 수도권 건설현장의 일반건설업체 관리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한계점을 지니고 있다.
  • 이에 본 연구는 국내 건설현장의 일반화된 안전 조직체계를 현장규모별로 도출하고, 규모별 안전 조직체계에 속한 구성원들의 안전지식 및 협력체계를 SNA (Social Network Analysis) 기법을 통해 분석함으로써, 향후 건설현장의 효율적인 안전관리 체계구축을 위한 실무자료를 제시함을 목적으로 한다.
  • , 2014). 이에 본 연구에서는 건설현장의 안전 조직체계가 어떠한 유형을 지니고 있는지를 파악하기 위해 1차 면담조사를 수행하였다. 건설현장의 각 현장별 안전 조직체계의 다양성을 분석하기 위해, 공사금액을 기준으로 현장규모를 3개 그룹으로 구분하여 조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건설현장의 안전사고의 의미는? 건설현장의 안전사고는 ‘건설과 관련한 작업환경 또는 작업행동 등 작업상의 사유로 발생하는 건설근로자의 신체적 또는 정신적 피해’를 의미한다(Shin & Son, 2017). 최근 건설공사는 기술의 발달과 함께 규모가 대형화, 고층화되고 있으나, 공사수행은 작업의 특성상 여전히 장비보다 인력에 의존하고 있어 안전사고가 다발하는 산업이다.
기존의 건설 안전관리와 관련된 선행연구에서 특히 미흡한 것은? 그러나 기존의 건설 안전관리와 관련된 선행연구들을 보면, 건설현장의 규모별 안전 조직체계가 어떻게 구성되고 있고, 이들의 현재 안전 지식 및 업무수행 수준이 어느 정도인지를 파악한 연구는 미흡하다. 특히, 이들의 안전 지식공유 및 업무협력 체계가 어떠한 형태로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분석하고, 이를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시각화한 연구는 부재한 실정이다.
건설현장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거나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건설현장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거나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현장관리자 및 근로자들의 적극적이고 체계적인 안전관리 활동이 요구된다. 우선적으로 위험한 작업을 직접 수행하는 근로자의 안전 지식 및 수행수준이 안전사고와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지만, 현장 안전사고를 보다 더 효율적으로 예방하기 위해서는 직·간접적으로 업무를 지시·전달하고 있는 현장소장, 안전관리자, 관리감독자 등 현장관리자의 역할도 매우 중요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0)

  1. Ahn, K. Y., and Kang, K. S. (2017). "A Study on the Influence of the Safety and Health Regulations on the Safety and Health Regulations of Construction Site." Journal of the Korea Safety Management & Science in Conference, KSMS, pp. 33-40. 

  2. Cho, Y. R., Kim, Y. C., and Shin, Y. S. (2017). "Prediction Model of Construction Safety Accidents using Decision Tree Technique." Journal of Korea Institute of Building Construction, KIBC, 17(3), pp. 295-303. 

  3. Hong, J. R., Shon, S. D., and Lee, S. J. (2016). "A Study on Construction Safety Curriculum Development Based on National Competency Standard."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AIK, 32(3), pp. 47-56. 

  4. Kim, H. M., and Woo, I. S. (2015). "Improvement Direction on the Assignment of Safety Managers in the Construction Sit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afety, KOSOS, 30(3), pp. 73-79. 

  5. Kim, J. W., Lee, H. S., Park, M. S., and Kwon, N. H. (2017). "A System Dynamics Approach for Modeling Cognitive Process of Construction Workers' Unsafe Behaviors." Korea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KICEM, 18(2), pp. 38-48. 

  6. Kim, M. C., and Son, C. B. (2010). "A Status Analysis on the Organization and Service for Job Site Management of Specialty Contractors in Reinforced Concrete Work."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AIK, 26(4), pp. 151-158. 

  7. Lee, K. J. (2017). "Preventive Occupational Health and Safety Expense Estimation Method based on Fatality Statistics and Progress Model." Journal of Korea Institute of Building Construction, KIBC, 17(2), pp. 191-197. 

  8. Lee, M. Y., Oh, S. W., and Lim, S. J. (2016). "A Study of Improvement on Accident Rate Index of Construction Industry."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KICEM, 17(5), pp. 108-119. 

  9. Shin, W. S., Lee, K. M., and Son, C. B. (2014). "A Status Analysis on the Operation of Field Organization in Construction Management Companies."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AIK, 30(8), pp. 71-78. 

  10. Shin, W. S., and Son, C. B. (2017). "An Analysi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Occurrence Type and Influence Factor of Construction Safety Accident using SNA Method."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AIK, 33(4), pp. 47-54.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