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대학 수업에서 스마트 LMS의 상호작용 효과
A Study on the Interactivity of Smart LMS in a University Class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7 no.3, 2019년, pp.395 - 404  

최미양 (숭실대학교 베어드 교양대학)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스마트 LMS의 상호작용 효과를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하여 전공영어 과목에서 한 학기 동안 강의실 안과 밖에서 스마트 LMS를 활용한 후 이 과목을 수강하는 35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사전 설문과 사후 설문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스마트 LMS는 교수 학생 간, 학생과 학생 간, 학생과 학습내용 간 모두에서 상호작용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수업 중에 활용한 수업활동게시판은 교수자의 즉각적인 피드백을 가능하게 하였고 위키는 강의실 밖에 조별 발표를 위해 학생들이 협업하는 것을 편리하게 하였다. 또한 수업활동 게시판에 정리된 조별활동 산출물과 스마트 LMS에 탑재된 강의자료들 역시 상호작용 효과를 높이는 역할을 하였다. 그러나 향후 상호작용성을 더 높이기 위하여 고려할 점은 학생들에게 스마트 LMS를 활용하는 수업방식에 잘 적응할 수 있게 하는 방안 마련과, 스마트 LMS 기능에 대한 사전 실험, 스마트폰의 데이터와 배터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적절한 대응을 꼽을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nvestigates the interactivity of smart LMS. To this end, smart LMS was used for one semester in the English course for economics majors and the surveys about its interactivity were conducted. The findings show that smart LMS enhanced the interaction between instructors and students, betw...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대만의 대학 역시 Multimedia Mobile Classroom Feedback System을 개발하여 교수·학생간의 상호작용을 높이고자 하였다.
  • 본 연구 시점은 교내에서 스마트 LMS가 사용된 지 1학기가 지난 시점이기 때문에 학기 초에 학생들에게 설문을 하여 한 학기 동안 스마트 LMS의 사용에 참고하고자 하였다. 본 대학의 스마트 LMS의 교내 호칭은 스마트캠퍼스(Smart Campus)이며 사전 설문의 결과는 Table 1과 같다.
  • 조별 발표 시 조원들이 모두 발표에 참여를 해야 하므로 모든 학생들이 자신의 발표 대본을 위키에 올렸다. 본 연구자는 발표 대본을 검토하고 수정사항을 표시하여 학생들이 위키에서 바로 교수자의 피드백을 확인할 수 있도록 처리하였다.
  • 또한 모바일 기기와 결합하여 교실응답시스템(Classroom Response System; CRS, 이하 CRS)의 역할도 가능해졌다. 이러한 시스템의 특성을 살려서 본 연구자는 교내 스마트 LMS를 강의실 밖에서는 수업게시판으로 활용하고 강의실 안에서는 CRS처럼 활용하여 수업의 상호작용을 높이고자 하였다. 이와 같이 한 학기 동안 교내 스마트 LMS를 활용한 후 이 시스템의 상호작용 효과를 진단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 이러한 시스템의 특성을 살려서 본 연구자는 교내 스마트 LMS를 강의실 밖에서는 수업게시판으로 활용하고 강의실 안에서는 CRS처럼 활용하여 수업의 상호작용을 높이고자 하였다. 이와 같이 한 학기 동안 교내 스마트 LMS를 활용한 후 이 시스템의 상호작용 효과를 진단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구체적인 연구 질문은 다음과 같다.

가설 설정

  • 1. 스마트 LMS는 교수·학생 간의 상호작용을 높이는데 효과적인가?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스마트 LMS가 학생들 간의 상호작용을 높이는데 어떤 도움이 되었는가? 학생과 학생 간의 상호작용을 높이는 데 있어서도 스마트 LMS가 도움이 되었다. 수업 중에 수업활동 게시판에 조별 수업활동 산출물을 올리는 과정에 학생 간 상호작용이 활성화 되었고 위키에 조별 발표 대본을 올리면서 수업 후에 학생 간 상호작용이 증진되었다.
ICT의 실제 활용 사례는? 이와 같이 변화가 쉽지 않은 수업환경에서 강의의 상호작용을 높여주는 도구로서 활용되어 온 것이 ICT(Information and Communicaion Technology)이다[4, 5]. 컴퓨터에서 사용자는 컴퓨터를 작동하기 위해서 기기와 능동적으로 상호작용할 수밖에 없다.
무들 기반 LMS의 장점은 무엇인가? LMS 중 대표적인 것으로 무들(Moodle)과 블랙보드(Blackboard)가 있는데 본 연구자가 소속한 대학은 현재 무들 기반으로 맞춤 제작된 스마트 LMS를 사용하고 있다. 이는 2017년 새롭게 개발된 것으로서 이전 LMS와 가장 큰 차이점은 모바일 기기의 접근성이 아주 높아졌다는 것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6)

  1. Y. S. Jung. (2003). A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the Instructional Design for Further Interaction on English Learning in a CMC Based Language Learning Environment: Focusing on University General English Education. Korean Journal of English Language and Linguistics, 3(2), 281-308. 

  2. S. K. Cho. (2011). A Study of Methods for Activating Interaction in Online English Reading Courses. English 21, 24(4), 289-314. 

  3. W. Huang, C. Chen & R. Weng. (2015). Constructing a Multimedia Mobile Classroom Using a Novel Feedback System. International Journal of Distance Education Technologies, 13(2), 1-14. 

  4. M. G. Jeong, J. Y. Lee & J. R. Kim. (2013). An analysis of learner interaction in Smart English education. Multimedia-Assisted Language Learning, 16(4), 39-65. 

  5. E. H. Nam. (2007). The use of ICT in English teaching : theory and practice. Modern English Education, 8(2), 162-177. 

  6. C. I. Lim. (1999). A Comprehensive Design model for Interactive Web-Based Instruction.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15(1), 3-24. 

  7. B. Cooper & P. Brna. (2002). Supporting High Quality Interaction and Motivation in the Classroom Using ICT: the social and emotional learning and engagement in the NIMIS project. Education, Communication & Information, 2(2), 113-138. 

  8. N. Jinajai1 & S. Rattanavich. (2015). The Effects of Computer-Assisted Instruction Based on Top-Level Structure Method in English Reading and Writing Abilities of Thai EFL Students. English Language Teaching, 8(11), 231-244. 

  9. R. T. Sivaram & R. Ramar. (2014). Effect of CAI on Achievement of LD Students in English. Journal on English Language Teaching, 4(1), 12-17. 

  10. M. K. Lee. (2006). The Impact of Web-based English Reading Classes on Learning Motivation of University students. Modern English Education, 7(1), 161-181. 

  11. S. Gomez. (2016). How working collaboratively with technology can foster a creative learning environmen. New perspectives on teaching and working with languages in the digital era. Dublin: Research-publishing.net. 

  12. K. C. Nah, P. White & R. Sussex. (2008). The potential of using a mobile phone to access the Internet for learning EFL listening skills within a Korean context. ReCALL, 20(3), 331-347. 

  13. S. C. Cheng, W. Y. Hwang, S. Y. Wu, R. Shadiev & C. H. Xie. (2010). A Mobile Device and Online System with Contextual Familiarity and its Effects on English Learning on Campus. Educational Technology & Society, 13(3), 93-109. 

  14. M. Y. Choi. (2017). A study on the usage of smartphones for English listening activity.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5(4), 451-459. 

  15. W. A. Anderson & T. G. Noland. (2010). How Remote Response Devices Enable Student Learning: A Four-Year Analysis. American Journal of Business Education, 3(8), 21-26. 

  16. J. A. Muncy & J. K. Eastman. (2012). Using Classroom Response Technology To Create An Active Learning Environment In Marketing Classes. American Journal Of Business Education, 5(2), 213-218. 

  17. J. L. Terrion & V. Aceti. (2012). Perceptions of the Effects of Clicker Technology on Student Learning and Engagement: A Study of Freshmen Chemistry Students. Research in Learning Technology, 20(2), 1-11. 

  18. R. Caceffo & R. Azevedo. (2014). LSQuiz: A Collaborative Classroom Response System to Support Active Learning through Ubiquitous Computing. International Association for Development of the Information Society. Th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gnition and Exploratory Learning in Digital Age (pp. 63-70). 

  19. J. Jung & D. Jeon. (2008). The Effect of Using a Remote Answering Machine in High School Physics Class. School Science Journal, 2(2), 95-104. 

  20. J. M. Kang et al. (2014). Practical Use of the Classroom Response System, CRS for Diagnostic and Formative Assessments in a High School Life Science Clas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4(3), 273-283. 

  21. J. S. Oh. (2013). Perception and Effects of Classroom Response System Use.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29(2), 435-458. 

  22. H. S. Kim & J. R. Kim. (2010). Effects of Student Participation Performance Assessment Using a Remote Responder on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Journal of The Korean Assocaition of Information Ecucation, 14(3), 461-468. 

  23. J. W. Choi, W. K. & J. H. Shin. (2015). Study on learner's recognition on application of mobile based classroom response system in college classes. Asia-pacific Journal of Multimedia Services Convergent with Art, Humanities, and Sociology, 5(6), 347-363. 

  24. A. Wong. (2016). Student perception on a student response system formed by combining mobile phone and a polling website. International Journal of Education and Development using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12(1), 144-153. 

  25. J. H. Bae. (2014). Effectiveness of Learning Flow and Academic Achievement on Learning Activities with Real-Time Feedback utilizing a Smart Clicker App in Higher Education.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5(9), 5543-5552. 

  26. S. Y. Yoon. (2017). Using learner response systems for EFL classrooms: Students' perspectives and experience. Multimedia-Assisted Language Learning, 20(2), 36-58. 

  27. B. Cao, M. Esponda-Arguero & R. Rojas. (2016).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a Classroom Interaction System. The International Association for Development of the Information Society (IADIS) International Conference on Mobile Learning (pp. 59-66). 

  28. M. M. Fuad & D. Deb. (2017). Cloud-Enabled Hybrid Architecture For In-Class Interactive Learning Using Mobile Device. 5th IEE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Mobile Cloud Computing, Services, and Engineering (pp. 149-152). 

  29. W. Y. Eom. (2008). Case Analysis on Using Course Management System by Faculty in a Traditional University. The Journal of Educational Information and Media, 14(2), 109-128. 

  30. S. R. Malikowski, M. E. Thompson & J. G. Theis. (2006). External factors associated with adopting a CMS in resident college courses. Internet and Higher Education, 9(3), 163-174. 

  31. E. J. Shin. (2017). Learners' evaluation of using LMS : from the survey of Japanese writing class. Japanese Cultural Studies, 64, 161-178. 

  32. Y. M. Jeon, J. S. Cho & K. R. Kim. (2016). A Study on the effect of LMS on the self-regulated learning competency and learning satisfaction in Higher Education. The Journal of Educational Information and Media, 22(1), 55-84. 

  33. I. A. Kang, S. M. Jin & H. E. Bae. (2016). Defining the Characteristics of LMS for Smart Learning Drawn from the Analysis of the Current Cases of LMS. The Journal of Educational Information and Media, 22(2), 195-222. 

  34. S. R. Lee, I. K. Chung, M. H. Yu & J. S. Kim. (2015). A Case Study of Utilizing LMS in Teaching of College Writing - Focused on Blackboard. Research in Writing, 26, 201-227. 

  35. J H. Yun, S. Y. Kim & S. K. Kwon. (2015). Implementation of a textbook based mobile speaking program for Korean middle school students. English Language Teaching, 27(2), 105-124. 

  36. G. Stockwell. (2010). Using Mobile Phones for Vocabulary Activities: Examining the Effect of the Platform. Language Learning & Technology, 14(2), 95-11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