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직장인의 '졸혼' 찬반 관련 요인 : 판별분석의 적용
Factors related to the pros and cons of 'Jol-hon' of workers : the application of discriminant analysis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7 no.3, 2019년, pp.439 - 448  

이창식 (한서대학교 보건상담복지학과) ,  장하영 (한서대학교 평생교육학과) ,  유은경 (한서대학교 아동청소년상담심리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직장인들의 졸혼 찬반 여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하여 충남지역에서 근무하는 직장인 28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주요 변인 간의 상관분석을 수행하였으며, 졸혼 찬반 여부에 따른 희망, 성장 마인드셋, 조직소통의 차이점을 분석하기 위해 판별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상관분석 결과 희망, 성장 마인드셋 및 조직소통은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둘째, 판별 분석 결과, 연령이 낮을수록, 미혼자인 경우, 희망이 낮을수록, 조직소통이 낮을수록 졸혼에 찬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기혼자의 경우 졸혼 찬반 집단 간 주요 변수의 차이가 없었으나, 미혼자의 경우 조직소통이 낮을수록 졸혼에 찬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과 추후 졸혼을 연구하기 위한 이론적 기반을 마련하는데 의의가 있음을 밝혔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factors affecting the pros and cons of 'Jol-hon' among workers. For this purpose, 288 workers were surveyed in Chungnam area. The main result a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positively significant correlation among a hope, growth mindset, and organizati...

주제어

표/그림 (7)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직장인들을 대상으로 졸혼에 대한 찬반 여부에 따라 집단을 분류하여 수행한 연구는 단 한편도 없었으며, 특히 심리적 변수인 희망, 성장 마인드셋 및 조직소통의 차이점을 비교하였던 연구는 전무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직장인들을 대상으로 졸혼을 찬성하는 집단과 반대하는 집단으로 나누어 그들의 희망, 성장 마인드셋 및 조직소통에 대한 차이점을 비교하는 데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 이러한 문제점은 직장에서의 업무 집중도 저하, 동료 간의 갈등, 의욕상실 등을 유발하게 되고, 또다시 부부 간의 갈등이 반복되는 악순환을 야기하게 된다. 따라서 직장인의 졸혼에 대한 인식의 차이는 직장생활과 밀접한 관계가 있을 것으로 판단되며, 그 중 조직 구성원간의 조직소통에 대한 차이점을 비교하고자 한다.
  •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직장인을 대상으로 졸혼에 대한 찬반 여부에 따라 조직에 미치는 영향과 차이점에 대해서 분석하고자 하였다. 조직생활과 결혼생활 환경의 공통점을 살펴보면 그중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소통의 문제를 꼽을 수 있을 것이다.
  • 본 연구에서는 직장인들의 일반적 특성에 따라 집단을 분류하여 졸혼에 대한 인식의 차이를 파악하고 졸혼을 찬성하는 집단과 반대하는 집단의 특성을 비교 분석 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나타난 주요 결과를 논의하면 다음과 같다.
  • 이처럼 본 연구에서는 졸혼과 관련된 선행연구가 부족하기 때문에 이와 유사한 이혼과 관련된 선행연구를 토대로 졸혼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측되는 변수를 선정하여 연구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결혼이란 무엇인가? 결혼이란 다른 성(性)을 지닌 두 사람이 서로의 합의 하에 가정을 이루고 자손의 번식을 도모하며 기본적인 생활을 충족시키는 고전적인 제도이다[1]. 이러한 결혼은 성인 남녀가 정서적, 신체적으로 친밀감과 다양한 가치관을 공유하게 되고 하나의 가족을 생성하는 사회적 의의를 지니며 욕구의 충족과 행복 추구권을 사회문화적으로 인정받는다는 데 의의가 있다[2].
결혼은 사회적으로 어떤 의의를 가지는가? 결혼이란 다른 성(性)을 지닌 두 사람이 서로의 합의 하에 가정을 이루고 자손의 번식을 도모하며 기본적인 생활을 충족시키는 고전적인 제도이다[1]. 이러한 결혼은 성인 남녀가 정서적, 신체적으로 친밀감과 다양한 가치관을 공유하게 되고 하나의 가족을 생성하는 사회적 의의를 지니며 욕구의 충족과 행복 추구권을 사회문화적으로 인정받는다는 데 의의가 있다[2]. 그러나 최근 2017년 통계청에서 조사한 혼인, 이혼 통계 분석 결과에 의하면 전년 대비 결혼 건수가 6.
황혼이혼의 원인 중 개인의 주체적인 삶을 위한 자아실현 욕구가 증가하는 것은 무엇을 시사하는가? 황혼이혼의 원인을 살펴보면 가부장적인 가정환경, 외도, 폭력, 부부간의 지속적인 갈등 또는 이혼에 대한 완화된 인식 등 다양한 이유가 있을 수 있으나, 최근 황혼이혼의 원인으로 주목할 만 한 점은 개인의 주체적인 삶을 살기위한 자아실현의 욕구가 증가하고 있다는 점이다[6]. 이는 결혼생활에 대한 인식이 반드시 유지되어야 한다는 책임감과 의무감 보다는 개인의 가치관에 따라 선택할 수 있는 문제로 변화하고 있다는 것이다. 또한 의료기술의 급속한 발전으로 평균수명이 증가함에 따라 ‘100세 시대’를 맞이하면서 개인의 노년기를 어떻게 보낼 것인지가 중요한 문제가 되었으며, 개인의 행복과 삶의 질을 우선시하는 경향이 확산되고 있다[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M. S. Yang. (1996). A Study on the Values of Marriage, Child and Sex Role between Male and Female College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34(2), 167-181. 

  2. G. Y. Kim. (2009). A Study on Factors Associated with Perceptions of Marriage Among Unmarried University Students. Master's dissertation. Honam University, Kwangju. 

  3. Statistics Korea. (2018). Marriage divorce statistics in 2017. Daejeon : Statistics Korea. http://kostat.go.kr 

  4. A. L. Robb. (2004). The Economic Legacy of Divorce and Separation for Women in Old Age. canadian Journal on Aging, 23, 83-97. 

  5. Y. S. Sung. (2005). Study on the reason and counterplan of gloaming divorce. Master's dissertation. Kyungwoon University, Gumi. 

  6. M. J. Jung. (2016). A Study on Decision Making Processes of Divorce of the Elderly : Based on Basic Ground Theory. Doctoral dissertation. Ulsan University, Ulsan. 

  7. A. Shapiro. (2003). Later-life divorce and parent-adult child contact and proximity. Journal of Family Issues, 24, 264-285. 

  8. B. S. Kim. (2017). Reason to can not Jol-hon(graduation from marriage). Person and Ideas, 229, 171-179. 

  9. S. S. Lee & M. J. Cheong. (2017). Woman wanting "Graduating on Marriage Life" in Korea. Korean Journal of Woman Psychology, 22(4), 689-711. 

  10. C. S. Lee, E. K. Ryu & H. Y. Jang. (2018). A Study on the Variables Affecting Self-Directed Learning of Workers : Focusing on Hope and Growth Mindset.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6(9), 29-37. 

  11. S. S. Kang & W. K. Lim. (2013). Effects of the Marital Conflict in Old Age on Elderly Divorce and Impulse to Commit a Crim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3(9), 178-192. 

  12. C. S. Lee & H. Y. Jang. (2018). The roles of growth mindset and grit in relation to hope and self-directed learning.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9(1), 95-102. 

  13. J. S. Hyun & C. J. Park. (2013). Learning Effects of Divide-and-Combine Principles and State Models on Contradiction Problem Solving and Growth Mindset. The Knowledge Management Society of Korea, 14(3), 19-46. 

  14. B. H. Mueller & J. Lee. (2002). Leader-Member Exchange and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Satisfaction in Multiple Context. The Journal of Business Communication, 39(2), 220-244. 

  15. J. M. Gottman. (1993). The Roles of Conflict Engagement, Escalation, and Avoidance in Marital Interaction A Longitudinal View of Five Types of Couples.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61(1), 6-15. 

  16. D. Katz & R. L. Kahn. (1966). The Social Psychology of Organizations. Social Forces, 46(1), 118-119. https://doi.org/10.1093/sf/46.1.118-a 

  17. A. Weinberg & F. Creed. (2000). Stress and psychiatric disorder in healthcare professionals and hospital staff. Lancet, 533-537. 

  18. C. R. Snyder et al. (1991). The will and the ways: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n individual-differences measure of hope.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60(4), 570-585. 

  19. Y. H. Choi, D. G. Lee & H. K. Lee. (2008). Validation of the Korean Version of Snyder's Dispositional Hope Scale. Korean Journal of Social and Personality Psychology, 22(2), 1-16. DOI: 10.21193/kjspp.2008.22.2.001 

  20. C. S. Dweck. (2006). Mindset : The new psychology of success. New York : Ballantine Books. 

  21. D. W. Eom. (2011). Suggestions for activating communication within the organization. Seoul : Samsung Economic Research Institute. 

  22. J. W. Han, J. H. Sung & D. Y. Song. (2003). A Qualitative Study of Teachers' Perceptions and Attitudes on Children from One-parent Families: Using a Content Analysis Method. Korean Journal of Family Social Work, 11(0), 9-34. 

  23. I. H. Ryou. (2018). A So-called 'Jol-hon' and the Marriage in Korea. The Korean Society Of Family Law, 32(2), 161-190. 

  24. J. H. Park. (2016). The Effects of Family Values and Expectations on Social Supporting Resources on Marriage Intentions of College Students. Journal of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196-207. 

  25. E. J. Shim. (2012). Understanding the Complexity of Marital Maintenance Process in Korea. Korean Journal of Woman Psychology, 17(2), 171-190. 

  26. Statistics Korea. (2009). Change in attitude toward marriage. Daejeon : Statistics Korea. http://kostat.go.kr 

  27. D. Y. Kim. (2011). A Study on the Wedding Service Industry Change according to the use of Digital Marketing. The e-Business Studies, 12(3), 69-83. 

  28. S. H. You. (2017). A Study on Decision Making Processes of Divorce of the Elderly - Based on Basic Ground Theory. Doctoral dissertation. Ulsan University, Ulsan.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