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만성질환자를 돌보는 중년기 주 돌봄 제공자의 회복탄력성, 사회적지지와 돌봄 부담감과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Resilience, Social support and Caring burden of Middle-aged Caregivers caring for Chronic disease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20 no.2, 2019년, pp.300 - 310  

김남희 (동의과학대학교 간호학과) ,  박선영 (부산여자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만성질환자를 돌보는 중년기 주 돌봄 제공자의 회복탄력성, 사회적지지와 돌봄 부담감과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이다. 자료수집은 B시에 소재한 일개 재활전문병원 주 돌봄 제공자 175명을 대상으로 2018년 7월2일부터 7월31일까지 자가보고 설문지를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였고, SPSS Win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일반적 특성 중 돌봄 부담감과 유의한 차이는 돌봄시간(F=6.67, p<.001), 일상생활 수행능력(F=4.70, p<.001), 환자의 질환(F=4.61, p<.001), 환자와의 관계(F=3.68, p<.013), 건강상태(F=3.08, p=.018), 결혼유무(t=-2.12, p<.036), 진단시기(F=2.92, p=.036) 순으로 나타났다. 돌봄 부담감은 회복탄력성, 사회적지지와 유의한 관계가 없었고, 회복탄력성과 사회적지지는 (r=.487, p<.001)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만성질환을 돌보는 중년기 주 돌봄 제공자의 돌봄 부담감을 감소시키기 위해 돌봄 부담감에 영향을 준 제 특성요인들을 고려하여 돌봄 부담감 중재프로그램을 개발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resilience, social support and caring burden of middle-aged caregivers caring for chronic disease.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175 caregivers at one rehabilitation centers in B City from July 2 to 31, 2018 and analyzed SPSS Win 2...

주제어

표/그림 (4)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만성질환자를 돌보는 중년기 주 돌봄 제공자를 대상으로 돌봄 부담감, 회복탄력성, 사회적지지 정도를 파악하고 회복탄력성과 사회적지지 돌봄 부담감간의 관계를 확인하기 위한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이다.
  • 본 연구는 재활전문병원에 입·통원하는 만성질환자를 돌보는 주 돌봄 제공자의 돌봄 부담감, 회복탄력성, 사회적 지지와의 관계를 파악하고, 돌봄 부담감 관련 요인을 규명하여 중년기 주 돌봄 제공자의 돌봄 부담감 완화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시도되었다.
  • 본 연구의 목적은 만성질환자를 돌보는 중년기 주 돌봄 제공자의 회복탄력성과 사회적지지 및 돌봄 부담감정도를 파악하고 이들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한 것으로 구체적인 연구목적은 다음과 같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만성질환자를 돌보는 중년기 주 돌봄 제공자의 생애 발달과업의 주기를 통해 나타나는 특성을 반영하여, 그들의 돌봄 부담감을 줄이기 위한 내외적 자원을 강화하고, 개별적이고 현실적인 중재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회복탄력성(Resilience)은 무엇인가? 회복탄력성(Resilience)은 인간이 역경에 직면했을 때 그 상황에 적응하고 그로 인해 성장하는 개인의 사회 심리적 특성으로 정의된다[15]. 이는 개인의 내적역량, 지적 수준, 성격 등의 이유로 다르게 받아들이고 대처하기 때문에, 회복탄력성이 높은 사람들은 더 적극적이고 긍정적으로 상황을 극복하고 적응해 가는 반면, 그렇지 못한 사람들은 우울 같은 정서 장애, 외상 후 스트레스 같은 새로운 증상으로 표현하기도 한다[15].
우리나라의 만성질환에 관한 여러 지표는 어떠한가? 최근 만성질환의 증가는 환자 및 가족을 비롯한 의료현장에 많은 도전을 주는 큰 건강문제로 대두되고 있다[1, 2]. 2005년 미국 성인인구의 거의 절반인 1억 3천 3백만 명 이상이 심장질환, 당뇨병 및 뇌혈관질환과 같은 만성질환이 있는 상태로 살아가는 것으로 추정되었으며[3], 우리나라 만성질환별 사망률은 3대 사인(암, 심장질환, 뇌혈관질환)은 전체 사인의 47.4%를 차지하며, 유병률의 경우 고혈압은 2007년 24.6%에서 2013년 27.3%로 2.7% 증가, 당뇨병은 2001년 8.6%에서 2013년 11.0%로 최근 10년간 2.4% 증가하였고, 고콜레스테롤혈증은 2005년 8.0%에서 2013년 14.9%로 6.9%나 증가하여 만성질환의 유병률은 지속해서 증가하는 추세이다[4]. 특히 만성질환은 일상생활수행능력 장애를 동반할 뿐만 아니라, 인지 및 언어기능의 손상이 초래되어 장기적인 관찰과 돌봄이 있어야 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주 돌봄 제공자인 중년기 여성들이 지닌 주요 문제는 무엇인가? 특히 생산력의 시기라고 할 수 있는 중년기의 돌봄 제공자는 자녀들의 가정을 포함한 적극적인 사회접촉을 유지하면서 부부로서 더 친밀해지는 기회를 얻게 되고 손자,친구, 그리고 그들의 노부모님과 즐거운 활동을 하게 된다[8]. 반면 사회 및 직업 생활에서 난관을 극복하고, 위치 변화를 느끼며, 성취보다 은퇴를 인식하는 시기이다[9]. 또한, 중년기는 급속한 경제성장과 경제위기, 정보화 및 세계화 등을 짧은 시간에 압축적으로 경험하고 있는 변화의 소용돌이에 있으며[10], 생의 전환점이 되는 여러 발달적 사건이 일어나는 주요한 단계로서 다양한 긴장에 직면한다[11]. 특히 가정과 사회생활에 만족감을 느끼지 못할 때 심각한 삶의 회의에 빠지고 자신의 신념과 가치관의 체계가 흔들리며[12], 개인이나 가족에게 미칠 부정적인 영향력이 높아, 더욱더 중재가 필요한 시기라 생각된다. 이러한 변화를 경험하는 중년기의 과업을 완만하게 해결하지 못하면 그들은 불안과 우울을 경험하기도 하며[13], 실제로 우리나라 중년층의 자살로인한 사망이 40, 50대의 사망원인 2순위를 차지한다[14]. 이러한 발달과업을 달성해야 하는 중년기에 질병을 앓는 가족을 돌보는 주 돌봄 제공자의 주요 문제점은 그의 역할변화 및 가족 기능 전체의 변화가 초래될 수 있다는 점 또한 환자를 돌보는 중년기 돌봄 제공자의 부담이 가중되며 결과적으로 환자의 안녕을 저하시켜 건강을 해치게 될 우려가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P. Chandrashekar, & S. H. Jain, "Improving High-Risk Patient Care through Chronic Disease Prevention and Management", The Journal of Law, Medicine & Ethics, vol 46. no. 3, pp.773-775, 2018. DOI: https://doi.org/10.1177/1073110518804240 

  2. T. G. Mthembu, Z. Brown, A. Cupido, G. Razack, & D. Wassung, "Family caregivers' perceptions and experiences regarding caring for older adults with chronic diseases", South Af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vol. 6, no. 1, pp. 83-88, 2016. DOI: http://dx.doi.org/10.17159/2310-3833/2016/v46n1a15 

  3. T. Bodenheimer, E. Chen, H. D. Bennett, "Confronting the growing burden of chronic disease: can the US health care workforce do the job?", Health Affairs, Vol. 28, No. 1, pp. 64-74, 2009. DOI: https://doi.org/10.1377/hlthaff.28.1.64 

  4. Korea Health Statistics 2013.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KNHANES VI-1] https://www.bioin.or.kr/board.do?num250007&cmdvie w&bidindustry 

  5. S. H. Kong, "Work-family imbalance and low fertility among Seoul citizen Research Fellow", pp. 65-86, 2008. 

  6. J. S. Rolland, A. Werner-Lin, "Families health and illness In S. Gehlert & T.A. Browne(Eds.), pp. 305-334, Handbook of health social work, 2006. 

  7. A. Amirkhanyan, D. Wolf, "Caregiver stress and noncaregiver stress Exploring the pathways of psychiatric morbidity", The Gerontologist, Vol. 43, No. 6, pp. 817-827, 2003. DOI: https://doi.org/10.1093/geront/43.6.817 

  8. S. A. Anderson, R. M. Sabatelli, "Family interaction: A multigenerational developmental perspective. Boston: Allyn & Bacon. 2011. 

  9. K. E. Kim, K. Kwak, H. Y. Min, J. Choi, S. Y. Jeon, "An Investigation into mid-life as it is perceived by middle aged Korean men", The Korean Journal of the Human Development, Vol. 18, No. 3, pp. 135-155, 2011. 

  10. S. H. Suh, "A study of the meaning and thechange of familism in Korea", Journal of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Vol. 21, No. 4, pp. 93-101, 2003. 

  11. D. A. Chirboga, "Crisis, challenge, and stability in the middle years. In M. E. Lachman & J. B. James(Eds.)", Mulitiple paths of midlife development, pp. 293-322, Chicago: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2. N. J. Lee, "Study of Participation Needs in Social Activities to Cope with Mid-Aged-Women's Crisis", Unpublished doctor's thesis, Wonkwang University, Jeollabuk-do, 2005. 

  13. S. Y Kim, J. I. Lee, "A Study on Aging Anxiety, Depression, and Self-esteem of Middle-aged People", Journal of Korean Academy Fundamentals Nursing, Vol. 14, No. 1, pp. 103-109, 2007. 

  14. Korea National Statistics Office. Death statistics in 2016. http://kostat.go.kr/portal/korea/kor_nw/3/index.board?bmoderead&aSeq363269 

  15. K. M. Connor, "Assessment of resiliience in aftermath of trauma", Amerian journal of Psychiartry, Vol. 67, No. 2, pp. 46-49, 2006. 

  16. V. Steiner, L. Pierce, S. Drahuschak et al., "Emotional support physical help, and health of caregivers of stroke survivors", Journal of Neurosci Nursing, Vol. 40, No. 1, pp. 48-54, 2008. DOI: https://insights.ovid.com/crossref?an01376517-200802000-00008 

  17. J. S. House, K. R. Landis, D. Umberson, "Social relationships and health", pp. 540-545, Science, 1988. 

  18. H. O. Kim, "Study on Caring behaviors and burden of family caregiver of home care patients with chronic disease", Unpublished Master's thesis, Hanyang University, Seoul, 2011. 

  19. M. K. Kim, H. S. Park, K. N. Kim, "Perceived family support of chronic liver disease patients and burnout of care providers", Korean Society of Nursing Science, Vol. 10, pp. 220-220, 2010. 

  20. K. M. Connor, JRT Davidson, "Development of a new Resilience scale:The Connor-Davidson Resilience scale (CD-RISC), Depression and Anxiety", Depression and Anxiety, Vol. 18, No. 2, pp. 76-82, 2003. DOI: https://doi.org/10.1002/da.10113 

  21. version of the Conner-Davidson Resilience Scale (K-CD-RISC)", Korean Neuro Psychiatric Association, Vol. 7, No. 2, pp. 109-115, 2010. DOI: https://doi.org/10.4306/pi.2010.7.2.109 

  22. C. D. Sherbourne, A. L. Stewart, " The MOS social support survey", Social Science and Medicine, Vol. 32, No. 6, pp. 705-714, 1991. DOI: https://doi.org/10.1016/0277-9536(91)90150-B 

  23. J. S. Lee, "The Development & Evaluation of the Caregiving Stress Management Program for Families of Terminal Cancer Patients", Unpublished doctor's thesis, Korea University, Seoul, 2006. 

  24. M. H. Suh, G. S. Oh, "A Study of Well-being in Caregivers Caring for Chronically family member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Vol. 23, No. 3, pp. 467-486, 1993. DOI: https://doi.org/10.4040/jnas.1993.23.3.467 

  25. Y. S. Yoon, Y. R. Tak, "Burden, Social Support and Quality of Life of the Family Caregiver's of Hemodialysis Patients",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Vol. 20, No.3, pp.395-405, 2014. 

  26. K. J. Choi, H. H. Haek, "Burden and Quality of Life in Caregivers of Patients with Rare and Incurable Diseas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Vol. 17, No.3, 2006. 

  27. H. M. Joe, E. J. Choi. "Effects of Family Burden, Resilience and Spiritual Well-being on the Quality of Life of Primary Caregivers of People with Mental Illness", J Korean Acad Psychiatr Ment Health Nurs, Vol. 26 No. 3, 226-237, September 2017. DOI: https://doi.org/10.12934/jkpmhn.2017.26.3.226 

  28. N. H. Kim, et al, "Influencing Factors on Stress in Caregivers of Stroke Patients Being Admitted in Rehabilitation Center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17, No. 2, pp. 188-201, 2016. DOI: https://doi.org/10.5762/KAIS.2016.17.2.188 

  29. I. H. Choi, H. K. Shin. "The Factors Affecting Family Adaptation in Families of patients with Rare Diseases", Korean Journal of Physical Multiple & Health Disabilities, Vol. 58, No.3, pp. 55-81, 2015. 

  30. S. J. Kang, H. J. Lee, C. K. Smi, "Caregivers' Burden in patients with acute stroke", The Korean Journal of Rehabilitation Nursing, Vol.5, No.1, pp.27-37, 2002. 

  31. Y. S. Hong, M. J. Suh, K. S. Kim, I. J. Kim, N. O. Cho, H. J. Choi, et al. "Relations between Perceived Burden and Social Support of Stroke Patient's Family Caregiver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Vol.30, No.3, pp.595-605, 2000. DOI: https://doi.org/10.4040/jkan.2000.30.3.595 

  32. J. E. Kim, H. K. Choi, "The effects of care recipient helpfulness on elderly family caregiver's caregiving burden and satisfaction", Journal of institute for social sciences, Vol. 26, No. 2, pp. 123-150, 2015. DOI: http://dx.doi.org/10.16881/jss.2015.04.26.2.12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