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자동차의 주행 성능에 미치는 리어 디퓨저 크기의 영향
Effects of Rear Diffuser Size on the Driving Performance of a Passenger Car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20 no.2, 2019년, pp.655 - 661  

이교우 (전북대학교 기계설계공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차량용 리어 디퓨저의 시작 위치에 따른 주행 성능 변화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CATIA 3D 설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상용 SUV 차량을 참고하여 차량을 모델링하고 뒤 타이어를 기준으로 300, 400, 500 mm 떨어진 위치부터 리어 디퓨저가 시작되도록 설계했다. 그리고 유동 해석 프로그램인 Fluent를 이용해 차량 주행속도가 60km/h, 100km/h, 140km/h 일 경우를 조건으로 하여 유동해석 후 양력과 항력의 변화를 분석하고 공기의 유선 변화를 확인했다. 해석 결과, 리어 디퓨저는 시작 위치에 상관없이 디퓨저가 없는 경우에 비해 양력과 항력을 감소시켰다. 이는 리어 디퓨저가 있을 경우 공기가 차량 하면부를 지나 후면부로 빠져나올 때 발생하는 박리 현상을 억제하여 와류 현상을 감소시키기 때문이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SP 400의 조건일 때 양력이 가장 작았고 양력 감소 효과도 가장 좋았기 때문에 주행 중 타이어의 접지력을 최대로 확보할 수 있어서 이 경우를 최적의 조건으로 결정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xamined the change in driving performance according to the starting position of the rear diffuser of a vehicle. To accomplish this, the CATIA 3D design program was used to model the vehicle with reference to a commercial SUV vehicle and design the rear diffuser to start from 300, 400, an...

주제어

표/그림 (10)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앞선 연구들처럼 유동해석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리어 디퓨저의 각도나 길이에 대한 연구는 이루어 졌으나 리어 디퓨저가 시작되는 위치에 대한 연구는 없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현재 시판 중인 차량을 대상으로 하여 리어 디퓨저의 유무 및 시작 위치에 따른 항력과 양력 변화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3D 모델링 프로그램인 CATIA V5R21을 사용하여 차량을 모델링하였고 이를 유동해석 프로그램인 ANSYS Fluent 17 이용하여 해석하고 고찰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차량의 외형을 변화시켜 주행 성능을 개선하는 방법은 무엇이 있나? 차량의 주행 성능을 개선하기 위해 엔진과 변속기 등 구동계의 성능 변화 뿐 아니라 차량의 외형 변화를 통해 주행 성능을 개선하기도 한다. 차량의 외형 개선은 전체적인 외형 자체를 유선형으로 만들어 공기 저항을 낮춰주기도 하지만 튜닝 부품을 이용하기도 한다. 이렇게 공기의 흐름 통제를 목적으로 제작된 차량의 튜닝 부품을 에어로 파츠(aero parts)라고 한다.
에어로 파츠의 종류에는 무엇이 있나? 이렇게 공기의 흐름 통제를 목적으로 제작된 차량의 튜닝 부품을 에어로 파츠(aero parts)라고 한다. 에어로 파츠의 종류에는 차체가 위로 들리는 양력현상을 막기 위해 차량에 뒤쪽에 부착하는 날개 모양의 리어 스포일러(rear spoiler)와 차량 측면부로 흐르는 공기의 흐름과 하부에 흐르는 공기의 간섭을 제어해주는 사이드 스커트(side skirt), 주행 중 자동차 하부를 흐르는 공기의 유동을 원활히 해주는 리어 디퓨져(rear diffuser) 등이 있다.
에어로 파츠란 무엇인가? 차량의 외형 개선은 전체적인 외형 자체를 유선형으로 만들어 공기 저항을 낮춰주기도 하지만 튜닝 부품을 이용하기도 한다. 이렇게 공기의 흐름 통제를 목적으로 제작된 차량의 튜닝 부품을 에어로 파츠(aero parts)라고 한다. 에어로 파츠의 종류에는 차체가 위로 들리는 양력현상을 막기 위해 차량에 뒤쪽에 부착하는 날개 모양의 리어 스포일러(rear spoiler)와 차량 측면부로 흐르는 공기의 흐름과 하부에 흐르는 공기의 간섭을 제어해주는 사이드 스커트(side skirt), 주행 중 자동차 하부를 흐르는 공기의 유동을 원활히 해주는 리어 디퓨져(rear diffuser) 등이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6)

  1. D. Mitra, "Effect of relative wind on notch back car with add-on parts", International Journal of Engineering Science and Technology, Vol.2, No.4, pp.472-476, 2010. 

  2. V. N. Kumar, K. L. Narayan, L. N. V. N. Rao, and Y. S. Ram, "Investigation of Drag and Lift Forces over the Profile of Car with Rearspoiler using CFD",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s in Scientific Research, Vol.1, No.9, pp.331-339, 2015. 

  3. X. X. Hu and E. T. T. Wong, "A Numerical Study On Rear-spoiler Of Passenger Vehicle", World Academy of Science, Engineering and Technology, Vol.57, pp.636-641, 2011. 

  4. S. O. Kang, S. O. Jun, H. I. Park, K. S. Song, J. D. Kee, K. H. Kim and D. H. Lee, "ACTIVELY TRANSLATING A REAR DIFFUSER DEVICE FOR THE AERODYNAMIC DRAG REDUCTION OF A PASSENGER CAR", International Journal of Automotive Technology, Vol.13, No.4, pp.538-592, 2012. 

  5. K. S. Song, S. O. Kang, S. O. Jun, H. I. Park, J. D. Kee, K. H. Kim and D. H. Lee, "Effects on Aerodynamic Drag Reduction of a Passenger Car by Rear Body Shape Modifications",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Automotive Engineers, Vol.19, No.4, pp.137-145, 2011. 

  6. C. Lai, Y. Kohama, S. Obayashi and S. Jeong, "Experimental and Numerical Investigations on the Influence of Vehicle Rear Diffuser Angle on Aerodynamic Drag and Wake Structure", International Journal of Automotive Engineering, Vol.2, No.2, pp.47-53, 2011.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