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응급부 진입구역과 환자분류구역의 감염관리를 위한 환자동선과 공간구성 계획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Guideline of Spatial Composition and Circulation in Triages and Entrances Area in Emergency Departments for Efficient Infection Control 원문보기

의료·복지건축 : 한국의료복지건축학회 논문집 = Journal of Korea Institute of Healthcare Architecture, v.25 no.1, 2019년, pp.41 - 49  

강지은 (Department of Architecture, Hoseo University) ,  권순정 (Department of Architecture, Ajou University)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After Mers breakout in 2015, major hospital in Korea have been renovated the emergency department to make a separate infection control zone for high-risk patient with potential infection and to improve a triage area and an entrance area for efficient patient evaluation. However, there are n...

주제어

표/그림 (7)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위에서 추출한 설계요소를 사용하여 감염관리에 최적화된 진입구역과 환자분류구역을 다이어그램으로 [Figure 2]에서 표현하였다. 이 다이어그램은 응급부를 설계하는 설계자에게 기초적인 평면구성에 관한 가이드라인을 제공해 준다
  • 각 응급부의 진입구역와 환자 분류구역의 감염관리 차원에서 효율적인 환자 동선을 파악하였다. 이 분석을 토대로 응급부 설계 시 계획 측면에서 필요한 디자인 요소를 추출하고 검토하여 이에 따른 감염관리의 최적화 된 환자동선 가이드라인의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비감염병환자는 환자분류에서 감염병이 없다고 판정된 환자이다. 응급차로 실려 온 환자 중 응급차에서 감염병 여부 진단을 받아 감염병이 없는 환자만 응급차 이송환자 진입구로 들어온다고 가정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응급부서의 구성은 어떻게 분류되는가? 응급부서의 구성은 환자 프로세스, 환자의 중증도, 보안 및 안전에 따라 진입 및 환자분류구역(Entrance and Triage Area), 비응급환자진료구역(Fast Track Area), 응급환자진료구역 (Emergency Area), 기타지원구역(Support Area), 의료진구역 (Staff Area)으로 크게 5개 구역으로 나뉜다(강지은, 2017: 8). 진입 및 환자분류구역은 건물 외부에서 응급부로 진입 시 처음으로 진입하는 공간으로 적극적인 응급진료가 일어나는 진료구역과 건물 외부 사이에 중간단계로서 위치한다.
감염 병확진환자란? 감염병의심환자는 걸어서 응급실로 진입한 모든 종류의 응급환자(Walk-in Patient)로 환자분류 구역에서 감염 가능성 여부를 파악되어야 하는 환자이다. 감염 병확진환자(High-risk patient with infection)는 환자분류구역에 서 감염병에 걸릴 확률이 높다고 판단되어 감염병여부 결과를 기다리는 동안 격리가 필요하거나 외부에서 감염병확진을 받은 환자로 다른 환자와 접촉을 최소화하면서 감염관리 구역으로 이동되어야하는 환자이다. 비감염병환자는 환자분류에서 감염병이 없다고 판정된 환자이다.
환자분류실을 단계별로 설치하였지만 동선분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이유는? 감염병확진환자와 다른 환자들의 동선도 분리하였다. 하지만 아직 상세한 응급부 설계 가이드라인이 형성되어 있지 않아 병원 42 응급부 진입구역과 환자분류구역의 감염관리를 위한 환자동선과 공간구성 계획에 대한 연구 마다 환자분류구역과 진입구역에서 감염관리에 적합한 환자동 선 분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0)

  1. Cheong, Chang Heon, 2016, "Improvement of Airborne Infection Prevention Methods in Emergency Room by Design Case Study", J. Korean Soc. Living Environ. Sys. Vol. 23, No. 3, pp 433-442 

  2. Cheong, Chang Heon, 2018, "A Study on Perception of Medical-Staff about Airborn Infection Risk in Emergency District",Journal of KIAEBS, Vol.12, No.3, June pp.187-201 

  3. Jin Yong Kim, Joon Young Song, Young Kyung Yoon, Seong-Ho Choi, Young Goo Song, Sung-Ran Kim, Hee-Jung Son, Sun-Young Jeong, Jung-Hwa Choi, Kyung Mi Kim, Hee Jung Yoon, Jun Yong Choi, Tae Hyong Kim, Young Hwa Choi, Hong Bin Kim, Ji Hyun Yoon, Jacob Lee, Joong Sik Eom, Sang-Oh Lee, Won Sup Oh, Jung-Hyun Choi, Jin-Hong Yoo, Woo Joo Kim, Hee Jin Cheong 2015, "Middle East Respiratory Syndrome Infection Control and Prevention Guideline for Healthcare Facilities", Infection and Chemotherphy, Vol 47, No. 4 : pp 278-302 

  4. Jung, Hyun-hwa, 2015, "병원 감염에 대비한 응급부 계획", 한국의료복지건축학회 세미나 발표자료 

  5. Kang, Jeeeun, Park, Soonhee, Park, Wonbae, Jung, Heejung, Hue, Eunyoung, Yoo, Jisang, Ann, Jungwoong, Kim, Dongwook, Kwon, Soonjung, 2017, "A study on Emergency Department Guildeline for Korean Healthcare Facility", Research Paper of Annual Conference of the KIHA 

  6. Kim, Joong-gi, Seo, Hyun-Bo, 2016, "Infection Control in Triage Space for Emergency Room: Based on Analysis of Healthcare Facility Standards", Korean Institute of Healthcare Architecture, Vol. 22, No. 4, pp 97-104 

  7. Kwon, Soon-Jung, 2016, "공기전파 감염병의 전파방지를 고려한 응급센터의 건축계획", 대한병원협회 강의자료 

  8. 보건복지부, 2015, "16년 의료관련감염 예방.관리대책 중점 추진", 보건복지부 보도자료 

  9. 서울특별시 서울의료원, 2015, "권역응급의료센터 사업계획서" 

  10. 홍창표, 2017, "새 시준을 적용한 응급진료센터 Remodeling", 2017 K-Hospital 병원건축포럼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