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폐교 발생 지역의 특성을 기반으로 한 도서관의 폐교 활용 제고에 관한 연구 - 폐교 발생 지역의 사회경제적 지표 분석을 기반으로 -
A Study on Improved Utilization of Closed School in the Library Based on Characteristics of Closed Area - Based on the analysis of area where closed school occurs through the Socioeconomic Index - 원문보기

한국도서관 정보학회지 =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v.50 no.1, 2019년, pp.157 - 176  

노영희 (건국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노지윤 (건국대학교 문헌정보학과)

초록

최근 초고령화 사회, 저출산, 학령인구 감소, 정부의 학교 통폐합 권고 기준 확대 등의 이유로, 지속적으로 폐교가 늘어나고 있는 가운데, 폐교의 유휴시설과 부지를 활용하여 새로운 시설이나 공간으로 재탄생되는 사례가 나타나고 있다. 폐교 활용은 크게 도시재생과 같은 맥락에서 이해할 수 있으며, 이에 본 연구는 도시재생사업에서 쇠퇴지역을 평가하는 기준을 활용하여 폐교 발생 지역의 특징을 확인하고, 폐교 활용 유형을 종합적인 관점에서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를 통해 도출된 폐교 활용의 유형과 형태, 시사점을 기반으로 폐교 발생 지역의 특성을 확인하고, 이를 바탕으로 도서관의 폐교 활용을 제고하고자 하였으며, 향후 폐교 발생 지역을 유형화하여 폐교 발생 지역의 특징을 고려한 지역별 도서관의 폐교 활용 체계 및 모델이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ecently, as the number of closed schools continues to increase due to the super aging society, low fertility rate, declining school age population, There are cases in which a new facility or space is being reborn by utilizing idle facilities and sites of a closed school. The use of closed schools 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다음의 연구질문은 폐교 현황 및 발생 배경과 폐교 발생 지역의 사회경제적 지표 분석을 기반으로 분석되어 질문에 대한 답변을 밝혀내고자 하였다.
  • 앞선 연구(노영희, 노지윤 2018)에서는 폐교 활용 현황과 활용 사례를 중점으로 폐교를 활용하여 운영 중인 도서관 또는 유사시설의 특징과 강점을 파악하고, 이를 통해 도서관의 폐교 활용 가능성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각각의 폐교 활용 사례에서 나아가 폐교가 발생하는 지역을 중심으로, 즉 시군구, 읍면동 단위의 행정구역의 사회경제적 지표를 바탕으로 폐교 발생 지역의 특징을 살펴보았다. 향후 연구에서는 폐교 발생 또는 인근 지역에 거주하는 지역 주민들을 대상으로 폐교 운용 현황과 향후 활용 방향에 대한 의견을 조사할 필요가 있고, 조사된 지역주민들의 요구와 각 지역의 특성을 기반으로 도서관에서 폐교를 활용한 수 있는 구체적인 활용체계를 구축해야하며, 실질적으로 도서관이 폐교를 활용하거나 또는 이를 고려할 때 참조할 수 있는 관련 연구를 지속적으로 수행할 필요가 있다.
  • 본 연구는 폐교 발생 지역과 폐교 활용 현황을 종합적·통합적 시각으로 분석하여 도서관의 폐교 활용을 제고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폐교 활용이 크게 도시재생과 같은 맥락에서 이해할 수 있다는 점을 전제로 하여, 도시재생사업에서 쇠퇴지역을 평가하는 기준을 통해 폐교 발생 지역의 특징을 확인하고, 이를 바탕으로 도서관의 폐교 활용을 제고하고자 하였다. 이 과정에서 제기될 수 있는 연구질문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에서는 도서관 분야에서 폐교의 효과적이고 체계적인 활용체계를 구축하기에 앞서, 폐교의 지역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한 기준으로 도시재생 활성화지역 진단 지표를 차용하여, 인구사회 부문, 산업경제 부문, 물리환경 부문에서 폐교 발생 지역의 특징을 확인하고 폐교 활용 유형을 종합적인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폐교 발생 지역의 사회경제적 특징을 설명하고, 폐교 활용 유형을 통해 도서관의 폐교 활용을 제고하고, 도서관이 활용 폐교 선택하거나 폐교 지역을 사전에 조사할 때 참고할 수 있는 시사점과 방향성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폐교 활용의 목적은 폐교 시설과 부지를 다시 활용함으로써 유지관리비의 감소, 새로운 경제활동 장려 외에도 지역 자체의 활성화, 지역 경제 기여, 지역주민에게 새로운 기회 제공 등을 내포하고 있어 폐교 활용은 크게 도시재생과 같은 맥락에서 이해할 수 있다. 이러한 두 개념이 추구하는 동일한 목표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도시재생프로젝트에서 지역을 평가하는 기준을 활용하여 폐교 발생 지역의 특징을 확인하고, 폐교 활용 유형을 다면적인 관점에서 접근하였다.
  • 이러한 연구의 배경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도서관 분야에서 폐교의 효과적이고 체계적인 활용체계를 구축하기에 앞서, 지리적, 지역적 관점에서 폐교가 발생하는 지역의 특성을 면밀히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한 기준으로 도시재생 활성화지역 진단 지표를 차용하여, 폐교발생 지역의 인구사회 부문, 산업경제 부분, 물리환경 부문을 분석하였다.
  • 각각의 선행연구는 지역별 현황 분석을 통해 해당 지역에 적합한 정책이 제안되고 있으나 종합적인 관점에서 폐교를 분석한 연구를 찾아 볼 수 없었으며, 폐교 발생 원인이나 발생 지역의 특성에 대하여 수치적으로 설명할 수 있는 연구가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폐교 발생 지역의 특징을 확인하고, 폐교 활용유형을 다면적인 관점에서 분석함으로써 도서관의 폐교 활용을 위하여 지역을 선정하거나 폐교 현황과 활용 유형을 종합적인 관점에서 이해할 수 있는 연구 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폐교 및 유휴시설의 증가에 대한 활용 사례에는 어떠한 것이 있는가? 최근 우리나라는 초고령사회를 맞이하여 저출산에 따른 인구수 감소 사회양극화심화등의 악순환으로 학령인구가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와 동시에 정부의 학교 통폐합 권고 기준의 확대 신설 대체 학교 이전 등은 폐교 및 유휴시설의 증가로 이어지고 있다. 이에 따라 폐교와 직접적으로 관련된 교육 분야를 포함하여 건축 문화·예술 도서관 관광 등의 다양한 분야에서 폐교를 실질적으로 활용한 사례가 나타나고 있으며 관련 연구를 또한, 광범위하게 수행하고 있다 도서관 분야에서도 지혜의 바다 책 읽는 별난독서캠핑장 등 최근 폐교를 활용한 사례들이 증가하면서 기존의 공공도서관과는 또 다른 서비스·구조·형태로 지역주민들의 정보 요구를 충족시켜주고 있다 (노영희, 노지윤 2018).
최근 폐교가 늘어나고 있는 이유에는 무엇이 있는가? 최근 초고령화 사회, 저출산, 학령인구 감소, 정부의 학교 통폐합 권고 기준 확대 등의 이유로, 지속적으로 폐교가 늘어나고 있는 가운데, 폐교의 유휴시설과 부지를 활용하여 새로운 시설이나 공간으로 재탄생되는 사례가 나타나고 있다. 폐교 활용은 크게 도시재생과 같은 맥락에서 이해할 수 있으며, 이에 본 연구는 도시재생사업에서 쇠퇴지역을 평가하는 기준을 활용하여 폐교 발생 지역의 특징을 확인하고, 폐교 활용 유형을 종합적인 관점에서 분석하고자 하였다.
폐교 활용의 목적은 무엇인가? 폐교 활용의 목적은 폐교 시설과 부지를 다시 활용함으로써 유지관리비의 감소, 새로운 경제활동 장려 외에도 지역 자체의 활성화지역 경제 기여, 지역주민에게 새로운 기회 제공 등을 내포하고 있어 폐교 활용은 크게 도시재생과 같은 맥락에서 이해할 수 있다. 이러한 두 개념이 추구하는 동일한 목표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도시재생프로젝트에서 지역을 평가하는 기준을 활용하여 폐교 발생 지역의 특징을 확인하고, 폐교 활용 유형을 다면적인 관점에서 접근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Limited Interoperability of Small Schools." 2018. Newsis. January 7. [cited 2019. 1. 18]. 

  2. Kim, Sung Duk and Jeong Gyu Kang. 2017. "A Study on Utilization of the Closed School Facilities in Urban Areas." Residential Environment : Journal of the Residential Environment Institute of Korea, 15(3): 237-254. 

  3. Noh, Younghee and Ji-Yoon Ro. 2018. "A Study on the Utilization of Closed School in Librar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35(4): 77-106. 

  4. Ban, Sang Jin. 2018. Exploring the Direction of Education Policy in the Age of Population Cavity and North. Jincheon: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5. Seo, Hyeongju. 2017. The Effect of the Elementary School Closure on the Rural Community. Ph. D. diss., Seoul National University, Korea.. 

  6. Common Sense Dictionary. 2018. Urban regeneration new deal project. [cited 2019. 1. 12]. 

  7. Yang, Tae Ho and Seon Jong Yoo. 2009. "Feasibility Study on the Conversion of School Property Closed in Rural Area into Nursing Home for Weak Seniors." The Journal of Korea Real Estate Analysists Association, 15(1): 103-124. 

  8. Lee, Myeong-Ki. 2011. Study on How to Improve Welfare for Old People Through the Utilization of Small Schools in Rural Areas. M.A. thesis., Korea National University, Korea. 

  9. Lee, Jeong Hun. 2016. "The Participation of the inhabitants in the Constitution of Island Tourist Villages: the Case of Nangdo Island in the City of Yeosu in South Korea."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 22(1): 86-101. 

  10. Lee, Ju Il and Taik Ho Rhee. 2017. "An Exploratory Study on the Activation of Closed School Facilities with the Use of Natural Circulation Typed Complex Experience Center." Journal of Korea Culture Industry, 17(2): 1-9. 

  11. Lee, Hwa-Ryong, Choon-Geun Rhew, Se-Hee Oh and So-Young Park. 2012. "A Study on the Space Planning for Unified School and Appropriate Utilization of Closed School following the Merger and Abolition of Small Schools in Rural Area."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Educational Facilities, 19(3): 21-31. 

  12. Chang, Woo-Seok and Nam-Sum Jung. 2013. "Green Tourism Accessibility Evaluation for Policy Making of Rural Closed School."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Rural Planning. 19(4): 293-306. 

  13. Jeong, Min Suk. 2014. "Analysis of the Causes of Conflict in a Non-consistent for Policy of Small Rural School." Korean Journal for the Conflict Management Studies, 1(1): 183-199. 

  14. Ju, Hyo-Ju and Jun-Su Lee. 2018. "A Proposal for the Improvement of the School Closure through the Integration of the School under the Development Plan."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Interior Design, 20(1): 70-73. 

  15. Local Education Finance Alimi. 2016. A Study on the Direction and Performance Analysis of School Development in Optimum Size and Preparation for the Age of Population Reduction. Sejong: Ministry of Education, 2016-17. 

  16. Choi, Joon Yul. 2008. "An Analysis on Educational Policy for Rural Small Schools." Local Education Management, 13: 44-64. 

  17. Heo, Sung-hoom and Jong-kuk Lee. 2011. "A Study on The Reuse of School Facilities in the Downtown Area."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Youth Facility and Environment, 9(2): 89-95. 

  18. Brummet, Quentin. 2014. The Effect of School Closings on Student Achievement. Journal of Public Economics, 119: 108-124. 

  19. De la Torre, Marisa, Molly F. Gordon, Paul Moore and Jennifer Cowhy. 2015. School Closings in Chicago: Understanding Familie's Choices and Constraints for New School Enrollment. Chicago: UCHICAGO Consortium on School Research. 

  20. Gordon, Molly F., Marisa de la Torre, Jennifer R. Cowhy, Paul T. Moore, Lauren Sartain and David Knight. 2018. School Closings in Chicago: Staff and Student Experiences and Academic Outcomes. Chicago: UCHICAGO Consortium on School Research. 

  21. Hill, Andrew and Daniel Jones. 2018. The Effect of School Closings on Teacher Labor Market Outcomes and Teacher Effectiveness. . 

  22. Jack, James and John Sludden. 2013. "School Closings in Philadelphia." Penn GSE Perspectives on Urban Education, 10(1): 1-7. 

  23. Marcotte, Dave E. and Steven W. Hemelt. 2008. "Unscheduled school closings and student performance." Education Finance and Policy, 3(3): 316-338. 

  24. Nishikawa, Y., A. Ozaki, and M. Tsubokura. 2018. "Successful Renovation of a Closed School Into a Long-Term Care Facility in the Affected Area After the 2011 Fukushima Disaster." Disaster medicine and public health preparedness, 1-2. 

  25. Shiller, Jessica. 2018. "The disposability of Baltimore's Black communities: A participatory action research project on the impact of school closings." The Urban Review, 50(1): 23-44. 

  26. World Bank. 2016. World development indicators 2016 (English). Washington, D.C.: World Bank Group.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