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입지환경 특성에 따른 팔공산 자연공원 갓바위 지구에 분포하는 관속식물상 차이 분석
Analysis of the Differences in the Vascular Flora Distributed in the Gatbawi District of Palgongsan Natural Park 원문보기

韓國資源植物學會誌 =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v.32 no.1, 2019년, pp.72 - 85  

김태규 (경북대학교 대학원 조경학과) ,  나정화 (경북대학교 조경학과) ,  임원현 (대구한의대학교 산림조경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팔공산자연공원 갓바위지구에 분포하는 관속식물상을 조사함과 아울러 자연자원의 보존과 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갓바위지구를 대상으로 2015년 4월부터 2017년 10월까지 식물상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조사한 자료를 바탕으로 식물상 목록을 작성한 결과, 전체 식물상은 75과 167속 214종 3아종 18변종 3품종으로 총 238분류군이 확인되었으며, 2012년 확인된 관속식물상 59과 108속 117종 14변종 3품종 등 총 134분류군(You, 2012)과는 다소 차이가 있었다. 식물구계학적 특정종은 20종, 귀화식물은 총 18종이 확인되었다. 조사지역을 지형적 특성, 이용적 특성, 수광량 등에 따라 3개 권역으로 구분 조사를 실시한 결과 출현 식물종수는 A 구간(119종)모니터링 등 건전한 산림생태계 복원을 위한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표/그림 (9)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조사에서는 기존에 수행된 식물상에 관한 연구를 바탕으로 식물현황을 조사하고 보존 가치가 높은 식물에 대한 분포 현황을 조사 및 분석하여 갓바위지구의 자연자원관리를 위한 기초 자료 제공에 목적이 있다.
  • 본 연구는 팔공산자연공원 갓바위지구에 분포하는 관속식물상을 조사함과 아울러 자연자원의 보존과 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갓바위지구를 대상으로 2015년4월부터2017년10월까지 식물상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식물구계학적 특정종이란 무엇인가? 식물구계학적 특정종이란, 특정 식물구계에 자생하는 식물로 학술적·생태적·사회적·문화적·심미적 가치 등이 높으면서 멸종위기에 직면해 있거나 급속히 감소될 우려가 있는 우선 보전대상이 되는 식물종을 말한다(Table 6). 식물구계학적 특정종은 총 20종으로 조사 되었으며, Ⅰ등급 13종(개비자나무, 대팻집나무, 노랑물봉선 등), Ⅱ등급 1종(노랑제비꽃), Ⅲ등급 4종(단풍나무, 흰진범, 탱자나무 등), Ⅳ등급 1종(고로쇠나무), Ⅴ등급 1종(왕벚나무,식재)으로 각각 분류되었다(Table 7).
갓바위지구의 주요 식물군락은 무엇인가? 갓바위지구는 냉온대 남부 산지형 낙엽활엽수림지역에 해당되며, 식생지리학적으로 신갈나무-생강나무 군단의 신갈나무-생강나무아군단과 졸참나무작살나무아군단에 귀속되는 식생대(Kim, 1986)에 위치한다. 주요 식물군락은 소나무군락, 신갈나무군락, 굴참나무군락, 졸참나무군락, 서어나무군락, 일본잎갈나무 식재림 등이 있다(Daegu City, 2015).
팔공산자연공원의 특징은 무엇인가? 팔공산자연공원은 총 면적 125.623 ㎢로서 동화지구, 갓바위지구, 파계지구, 도학지구, 대한지구 등 5개 지구가 있으며, 식물 828분류군, 포유류 25종, 조류 89종, 양서·파충류 21종 1아종 등의 생물자원과 국보 2점, 보물 12점, 사적 1점, 유형문화재 13점, 민속 1점, 문화재자료 6점 등 다양한 자원을 보유한 지역이다(Daegu City, 2015). 본 연구대상지인 갓바위지구는 대구광역시 동구 능성동 일원에 위치하며, 면적 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Byeon, J.G., J.K. Shin, S.H. Oh and D.K. Kim. 2016. The plant distribution of protected area for forest genetic resource conservation in the Korea National Baekdudaegan Arboretum, Gyeongsangbuk-do, South Korea. Korean J. Plant Res. 29(2):200-228 (in Korean). 

  2. Cheon, K.S., K.A. Kim and K.O. Yoo. 2016. Floristic study of Mt. Baegam (Hongcheon-gun, Gangwon-do). Korean J. Plant Res. 29(2):165-185 (in Korean). 

  3. Cho, Y.H., J.H. Kim and S.H. Park. 2016. Grasses and Sedges in South Korea. GeoBook Publishing Co., Seoul, Korea. p. 520 (in Korean). 

  4. Choi, C.H., J.H. You and S.G. Jung. 2013. Estimation of danger zone by soil erosion using RUSLE model in Gyeongju National Park. Korean J. Environ. Ecol. 27(5):610-630 (in Korean). 

  5. Daegu Metropolitan City. 2015. Palgongsan Natural Park Natural Resources Survey. p. 161. (in Korean). 

  6. Jeon, Y.K. 2012. Value and utilization plan of Palgongsan in Daegu.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19(2): 50-60 (in Korean). 

  7. Jung, J.Y., J.H. Pi, J.G. Park, M.J. Jeong, E.H. Kim, G.U. Seo, C.H. Lee and S.W. Son. 2016. Population structure and habitat charcteristics of Deutzia paniculata Nakai, as an endemic plant species in Korea. KJEE 49(1):30-45 (in Korean). 

  8. Kim, C.H. 2000. Assessment of natural environment-I. Selection of plant taxa-. Korean J. Environ. Biol. 18(1):160-200 (in Korean). 

  9. Kim, J.W., I.Y. Lee and J.R. Lee. 2017. Distribution of invasive alien species in Korean croplands. Weed Turf. Sci. 6(2): 110-125 (in Korean). 

  10. Kim, J.W., Y.K. Lee. 2006. Plant Sociological Vegetation Survey and Evaluation Methods. World Science, Seoul, Korea. p. 168. (in Korean). 

  11. Kim, Y.H., H.J. CHO, S.S. Kim. S.C. Hong and Y.H. Kim. 1984. A study on the vegetation of Palgongsan forest.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Forest Science 63(1):79-79 (in Korean). 

  12. Kim, Y.S. 1986. A study on the plant community structure of Palgongsan Provincial Park. Korean J. Yeungnam University Institute of Resources Development 8.1(89.2):45-57 (in Korean). 

  13. Lee, C.S. and K.H. Lee. 2015. Pteridophytes of Korea: Lycophytes & Ferns. GeoBook Publishing Co., Seoul, Korea. p. 460 (in Korean). 

  14. Lee, T.B. 2003. Coloured Flora of Korea, Vol I, II. Hyangmunsa, Seoul, Korea (in Korean). 

  15. Lee, Y.M., S.H. Park, S.Y. Jung, S.H. Oh and J.C. Yang. 2011. Current status and consideration of naturalized plants in Korea. Korean J. Pl. Taxon. 41(1):87-101 (in Korean). 

  16. Lee, Y.M., S.H. Park, S.Y. Jung, S.H. Oh and J.C. Yang. 2011. Study on the current status of naturalized plants in South Korea. Korean J. Pl. Taxon. 41(1):80-120 (in Korean). 

  17. Lee, Y.N. 2006. New Flora of Korea, Vol I,II. Kyo-Hak Publishing Co., Ltd., Seoul, Korea (in Korean). 

  18. Mun, S.J., J.H. You, K.P. Hong and S.H. Heo. 2013. Analysis of deterioration status on the trails in the Gyeongju National Park-focused on Mt. Toham, Mt. Nam, Mt. Danseok and Mt. Gumi district-. J. Korean Inst. Landscape Architecture. 41(3):31-42 (in Korean). 

  19. Oh, S.Y. 1972. Palgongsan plant research report. Journal of the Korean Andong Education University 5(1):313-351 (in Korean). 

  20. Oh, H.K. and J.H. You. 2016. Vascular plants distributed in Maebong (Mungyeong and Yecheon), Gyeongbuk. Korean Journal of Nature Conservation 10(1):25-30 (in Korean). 

  21. Park, S.H. 2009. New Illustrations and Photographs of Naturalized Plants of Korea. Ilchokak Publishing Co., Seoul, Korea. p. 560 (in Korean). 

  22. Park, S.G. and H.M. Kang. 2016. Characteristics of vegetation structure in the ridgeline area of the nakdong-jeongmaek. Korea J. Environ. Ecol. 30(3):386-398 (in Korean). 

  23. Son, H.J., C.H. Ahn, S.I. Ahn, N.Y. Kim, Y.S. Kim and W.G. Park. 2011.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the naturalized plants in the stream of downtown and urban forest of Chuncheon City. Jour. Korean For. Soc. 100(2):170-220 (in Korean). 

  24. Son, S.W., K.S. Choi, K.T. Park, E.H. Kim and S.J. Park. 2013. Genetic diversity and structure of the Korean rare and endemic species, Deutzia paniculata Nakai, as revealed by ISSR markers. Korean J. Plant Res. 26(5): 610-640 (in Korean). 

  25. Yoon, J.W., H.T. Shin, M.H. Yi, G.S. Kim, J.W. Sung, K.H. Park, C.H. Lee and Y.S. Kim. 2012. Status and management proposal of naturalized plant species within in cultural treasury area in Gyeongju National Park. Korea J. Environ. Ecol. 26(4):540-560 (in Korean). 

  26. You, J.H. 2012. Vascular Plants around Gatbawi, Palgongsan, Korea. Academic Symposium of Korean J. Plant Res. p. 31 (in Korean).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