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소상공인 점포의 분포와 환경요인의 공간적 영향관계에 관한 실증연구
An Empirical Study on the Spatial Effect of Distribution Patterns between Small Business and Social-environmental factors 원문보기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v.22 no.1, 2019년, pp.1 - 18  

유무상 (충남연구원 공간환경연구실) ,  최돈정 (충남연구원 공간환경연구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천안시, 아산시의 $100m{\times}100m$격자 내에 집계된 소상공인 분포가 가지는 공간적 의존성(Spatial Dependency)과 공간적 이질성(Spatial Heterogeneity)을 전역적(Global), 국지적(Local) 공간 자기상관(Spatial Autocorrelation)을 통해 측정 및 가시화하였다. 먼저 탐색적 공간데이터 분석방법(ESDA: Explotory Spatial Data Analysis)인 Moran's I Index를 통해 연구지역에서 소상공인 분포의 정적(Positive)공간자기상관이 발생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국지적 공간자기상관 지표(LISA : Local Indicators of Spatial Association) 중 하나인 Getis-Ord $GI{\ast}$를 통해 공간자기상관의 국지적 패턴을 가시화하였다. 이를 통해 소상공인 상가점포의 입지요인 분석 시 적용할 변수와의 관계에 대해 공간회귀모형의 적용이 타당함을 증명하였으며, 소상공인의 분포와 모바일 트래픽 기반의 시간대별 유동인구, 토지이용 혼합성 지수 그리고 주거지, 상점, 도로망, 교통결절점과의 공간영향관계를 지리가중 회귀분석(GWR : Geographically Weighted Regression)을 통해 분석하였다. 최종적으로 다중공선성(Multicollinearity)이 발생했던 버스정류장 접근성, 오후시간대 유동인구, 저녁시간대 유동인구를 제외한 6개의 변수를 적용하였고 GWR 모형이 OLS모형보다 주요통계량에서 모형 설명력이 개선됨을 도출하였다. 분석에 최종적으로 적용된 6가지 변수의 회귀계수와 국지적 결정계수(Local $R^2$)에 대해 연구지역 내에서 공간적으로 변화하는 변수별 영향력을 가시화하였다. 본 연구는 실질적으로 측정된 방식의 유동인구 정보를 적용함으로써 상권을 이용하는 도시민의 동적 정보를 반영한 것이 상권분석을 수행한 다른 연구들과 차별적인 성격을 가진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동적정보와 변수들의 공간적 상호작용을 구조화하기 위해 미시적 공간단위에서 공간통계학(Spatial Statistical)적 모형 적용을 통해 상권분석의 새로운 프레임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연구적 의의를 가진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research measured and visualized the spatial dependency and the spatial heterogeneity of the small business in Cheonan-si, Asan-si with $100m{\times}100m$ grids based on global and local spatial autocorrelation. First, we confirmed positive spatial autocorrelation of small business i...

주제어

표/그림 (9)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실질적으로 측정된 방식의 유동인구 정보를 적용함으로써 상권을 이용하는 도시민의 동적 정보를 반영한 것이 상권분석을 수행한 다른 연구들과 차별적인 성격을 가진다. 또한 이러한 동적정보와 변수들의 공간적 상호작용을 구조화하기 위해 미시적 공간단위에서 공간통계학(Spatial Statistical)적 모형 적용을 통해 상권분석의 새로운 프레임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연구적 의의를 가진다.
  • 본 연구에서는 ESDA의 분석기법인 Morans’ I Index와 모란 산점도(Scatterplot)를 통해 소상공인 점포증감의 전역적 공간자기상관 발생유무를 측정하고자한다.
  • 공간가중치 행렬을 작성하는 방법은 폴리곤의 인접여부, 물리적 거리 제한, 시간적 거리, 경제적 차이, 인구의 차이, 가까운 이웃의 수 지정 등 다양한 방법이 있을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공간가중치 행렬을 다양하게 적용해 보고자기상관 지수를 가장 크게 도출하는 가중치 행렬방식을 채택하는 것으로 분석방향을 설정하였다(Choi and Suh, 2013). 모란 산점도의 경우 Moran’s I Index와 회귀분석의 틀을 활용하는 방법으로 4분면으로 나누어 1, 3사분면에는 정적 공간자기상관, 2, 4사분면에는 부적 공간 자기상관을 표현할 수 있다.
  • 이에 해당 연구는 통계청의 소지역 집계구 통계 또한 행정구역 통계와의 호환성은 뛰어나지만 기후나 지형과 같은 이산적인 공간 준거데이터의 동적 정보를 파악하기 어렵고 융합적 활용도 기대하기 힘들다는 한계를 보완하고자 격자 기반 통계의 도입을 제시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분석의 기본 공간단위는 MAUP의 발생을 최소화하기 위해 국토지리정보원에서 제공하는 국가표준그리드(100m×100m)를 적용하였고 분석 대상지의 전체 그리드 수는 119,179개이다(그림 1).

가설 설정

  • 이렇게 지리 공간적 속성을 가지는 수많은 데이터를 다룸에 있어 대부분의 기존 연구들은 ‘공간’이 가지는 연속성과 이산적인 특성을 고려하지 못하고 모든 데이터는 공간상에 무작위(Random)적이며 독립적(Independent)으로 분포한다고 가정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Anselin, L. 1995. Local Indicators of Spatial Association-LISA. Geographical Analysis 27(2):93-115. 

  2. Anselin, L. 1996. The Moran scatterplot as an ESDA tool to assess local instability in spatial association. Spatial analytical perspectives on GIS 281-298. 

  3. Baek, N.K. 2017. Analysis of Business Location and Commercial Supremacy for Successful Business Start-up. Baeksan Publishing Co., pp.1-485. 

  4. Brunsdon, C., A.S. Fortheringham and M.E. Charlton. 1996. Geographically Weighted Regression: A Method for Exploring Spatial Nonstationarity. Geographical Analysis 28(4):281-298. 

  5. Byun, M.R. and U.S. Seo. 2011. How to Measure Daytime Population in Urban Streets?: Case of Seoul Pedestrian Flow Survey. Survey Research 12(2):27-50. 

  6. Choi, D.J. and Y.C. Suh. 2012. Geographically Weighted Regression on the Environmental-Ecological Factors of Human Longevit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20(3):57-63. 

  7. Choi, D.J. and Y.C. Suh. 2013. A Study on the Exploratory Spatial Data Analysis of the Distribution of Longevity Population and the Scale Effect of the Modifiable Areal Unit Problem(MAUP).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16(3):40-53. 

  8. Choi, D.J. and Y.C. Suh. 2014. A Spatial Statistical Approach on the Correlation between Walkability Index and Urban Spatial Characteristics - Case Study on Two Administrative Districts, Busa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32(4):343-351. 

  9. Chung, K.S., S.W. Kim and Y.W. Lee. 2012. A Comparative Study on the Goodness of Fit in Spatial Econometric Models Using Housing Transaction Prices of Busas, Korea.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15(1):43-51. 

  10. Cordy, C.B. and D.A. Griffith. 1993. Efficiency of least squares estimators in the presence of spatial autocorrelation. Communications in Statistics - Simulation and Computation 22(4):1161-1179. 

  11. Dresner, H. 2018. Location Intelligence Market Study. Dresner Advisory Services, LCC. pp.1-96. 

  12. Fitzke, J. and K. Greve. 2010. Frei oder umsonst?-Nutzergenerierte Geoinformation zwischen Freiheit und Kostenlosigkeit. in Angewandte Geoinformatik-22. AGIT-Symposium. 1. ed, Wichmann, Berlin, 732-741. 

  13. Frank, L. D., J.F. Sallis, T.L. Conway, J.E.Chapman, B.E. Saelens and W. Bachman. 2006. Many Pathways from Land Use to Health: Associations between Neighborhood Walkability and Active Transportation, Body Mass Index, and Air Quality. Journal of the American Planning Association 72(1):75-87. 

  14. Frank, L.D., T.L. Schmid, J.F. Sallis, J. Chapman and B.E. Saelens. 2005. Linking objectively measured physical activity with objectively measured urban form: findings from SMARTRAQ. American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28(2):117-125 

  15. Getis, A. and J.K. Ord. 1992. The Analysis of Spatial Association by Use of Distance Statistics. Geographical Analysis 24(3):189-206. 

  16. Griffith, D.A. 1987. Spatial Autocorrelation: A Primer. Geography, The Association of American Geographeres, Washington DC. 

  17. Griffith, D.A. and L.J. Layne. 1999. A Casebook for Spatial Statistical Data Analysis: A Compilation of Different Thematic Data Sets. OXFORD University Press. 1-506pp. 

  18. Hahmann, S. and D. Burghardt. 2013. How much information is geospatially referenced? Networks and cogni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Geographical Information Science 27(6):1171-1189. 

  19. Huxhold, X.E. and A.G. Levinsohn. 1995. Managing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Projects. OXFORD University Press. 1-247pp. 

  20. Kim, D.H., K.Y. Kang and S.Y. Sohn. 2016. Spatial Pattern Analysis of CO2 Emission in Seoul Metropolitan City Based on a Geographically Weighted Regression.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dustrial Engineers 42(2):96-111. 

  21. Kim, H.G., C.H. Kim and D.I. Lee. 2012. A Study on Policy Suggestions of Commercial District Revitalization through the Interaction between Local Commercial Districts and Customer Component : The way of Revitalizing Commercial Districts in Cheonan City. Journal of Franchise Management 3(1):73-91. 

  22. Kim, H.J., J.W. Jung and K.H. Yeo. 2016. A Study on Optimal Location Choice of Neighborhood Parks within Walking Distance: Focusing on Seoul Metropolitan Area. Residential Environment Institute Of Korea 14(1):41-57. 

  23. Kim, K.G. 2003. Exloring Spatial Autoccorrelation and Using Spatial Regression.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Public Administration. pp.983-1001. 

  24. Kim, K.T., I.M. Lee, H.C. Kwak and J.H. Min. 2015. Application Study of Telecommunication Record Data in Floating Population Estimation. Seoul Studies 16(3):177-187. 

  25. Lee, J.W., H.Y. Kim and C.M. Jun. 2015. Analysis of Physical Environmental Factors that Affect Pedestrian Volumes by Street Type. Urban Design 16(2):123-140. 

  26. Lee, Y.H., C.Y. Kwon and M.T. Lim. 2003. A Study on the Counter Pattern with Site of Department Stores.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Planning 23(2):235-238. 

  27. Lim, E.S., H.S. Lee, Y.J. Lee and J.I. Cho. 2014. The Introduction of 'Spatial-Statistical Convergence Model' in Response to Changes in Demand for National Policy. Krihs Policy Brief 46. 

  28. Son, Y,G., S.H. An and Y.C. Shin. 2007. A Study on the Trade Area Analysis Model base o on GIS-A Case of Huff probability model-. Journal of Korea Association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10(2):164-171. 

  29. Song, B.G. and K.Y. Park. 2017. Analyzing Characteristic of Business District in Urban Area Using GIS Methods-Focused on Large-Scale Store and Traditional Market-. Journal of Korea Association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20(2): 89-101. 

  30. Suh, Y.G. and K.D. Han. 2015. The impact of Large Discount Stores on the Retail Trading Area in Seoul Metropolitan Area : A Spatial-Econometric Analysis. Journal of Channel and Retailing 20(2):47-64. 

  31. Tae, K.S. and B.J. Rhim. 2010. A Study for Lacating of a New Store Considering Competition for Trading Area: Focusing on the Case of Hypermarket in Seoul Metropolitan Area.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45(5):609-627. 

  32. Tobler, W.R. 1970. A Computer Movie Simulating Urban Growth in the Detroit Region. Economic Geography 46:234-240.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