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서울시 유동인구 분포의 공간 패턴과 토지이용 특성에 관한 지리가중 회귀분석
Geographically Weighted Regression on the Characteristics of Land Use and Spatial Patterns of Floating Population in Seoul City 원문보기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v.23 no.3, 2015년, pp.77 - 84  

윤정미 (충남연구원 농촌농업연구부) ,  최돈정 (충남연구원 농촌농업연구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핵심적인 목적은 유동인구 분포의 공간 패턴의 영향요인 분석을 위한 공간회귀모형 적용의 효용성을 검토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서울시 유동인구 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조사지점별 유동인구의 전역적, 국지적 공간 자기상관 측정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분석에 적용된 공간자기상관 측도인 Moran's I, Getis-Ord-$Gi^*$ 그리고 Local Moran's I 모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의 공간적 유사성과 이질성이 발견되었다. 이를 근거로 유동인구분포와 토지이용 특성과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한 통계적 모형으로 공간회귀모형인 지리가중회귀모형(GWR : Geographically Weighted Regression, 이하 GWR)을 채택하였다. 모형의 설명변수로써 서울시 전체에 대한 400m*400m 격자망기반에 토지이용혼합도, 주거 밀도, 상점밀도, 녹지 밀도와, 추가적으로 각 격자별 버스노선밀도, 교차로 밀도, 교통 결절점 접근성, 평균 도로폭, 평균 보도넓이를 산출 및 집계 하였다. 동일한 방식으로 격자망에 집계된 유동인구 정보와 토지이용 및 교통 특성과의 GWR모형 결과를 Ordinary Least Square(OLS) 분석 결과와 비교한 결과 GWR모형의 주요 통계량 수치에서 개선된 결과를 도출하였다. 또한 구획된 격자망의 각 셀별로 도출된 GWR모형의 추론 결과를 검토한 결과 적용된 설명변수의 유동인구 분포에 대한 효과가 국지적으로 변동하는 양상을 파악할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key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review the effectiveness of spatial regression to identify the influencing factors of spatial distribution patterns of floating population. To this end, global and local spatial autocorrelation test were performed using seoul floating population survey(2014)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상의 연구들은 보편적으로 유동인구의 특성이 결국 도시의 환경적 측면을 통해 결정됨을 제시하고 있다. 또한 이러한 연구의 결과는 자동차 위주의 개발로 인해 열악한 보행특성을 가지는 우리나라의 상황에 보행환경 개선을 위한 중요한 정보들을 제공해줄 수 있다. 그러나 연구의 방법론적인 측면에서 볼 때 유동인구 특성과 영향요인을 분석한 기존의 연구들은 유동인구의 패턴이 가지는 공간적인 특성을 충분히 고려하지 못하고 있다.
  • 본 연구에서는 최근 들어 활발히 연구되고 있는 유동인구 패턴과 그 영향요인에 관한 분석 시 공간회귀모형적용의 효용성에 대한 실증분석을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시를 400m×400m 격자로 구획하여 각 셀별로 유동인구조사자료를 집계하였다.
  • 이 경우 유동인구 패턴에 영향을 주는 통계적 모형의 설정 시 공간적 영향관계를 고려한 회귀모형의 적용이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서울시 1,000개 지점의 유동인구 조사 자료에 대해 평일오전, 평일오후, 주말로 구분하여 공간자기상관(spatial Autocorrelation)측정을 실시하고 그 결과를 근거로 하여 토지이용 및 교통환경 변수와의 연관성을 파악하기 위한 통계분석 시 공간회귀모형의 효용성을 검토해 보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유동인구 분포의 공간 패턴의 영향요인 분석을 위해 사용한 지리가중회귀모형의 설명변수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이를 근거로 유동인구분포와 토지이용 특성과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한 통계적 모형으로 공간회귀모형인 지리가중회귀모형(GWR : Geographically Weighted Regression, 이하 GWR)을 채택하였다. 모형의 설명변수로써 서울시 전체에 대한 400m*400m 격자망기반에 토지이용혼합도, 주거 밀도, 상점밀도, 녹지 밀도와, 추가적으로 각 격자별 버스노선밀도, 교차로 밀도, 교통 결절점 접근성, 평균 도로폭, 평균 보도넓이를 산출 및 집계 하였다. 동일한 방식으로 격자망에 집계된 유동인구 정보와 토지이용 및 교통 특성과의 GWR모형 결과를 Ordinary Least Square(OLS) 분석 결과와 비교한 결과 GWR모형의 주요 통계량 수치에서 개선된 결과를 도출하였다.
미시적인 자료가 유용하게 쓰일 수 있는 분야는 어디인가? 최근 들어 다양한 사회적 정보를 포함하는 미시적인 자료의 생산이 다양한 주체에 의해 활발하게 생산되고 있다. 이러한 자료의 활용은 우선적으로 보다 작은 공간상에서 벌어지는 현상에 대한 인과관계를 밝히는 데에 유용하게 쓰일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그동안 누락되었거나 자료의 부재로 인해 시도조차 할 수 없었던 새로운 2차 정보의 생산도 가능하다.
미시적인 자료를 보다 작은 공간상에서 벌어지는 현상에 대한 인과관계를 밝히는 데 사용하는 경우 얻을 수 있는 이점은 무엇이 있는가? 이러한 자료의 활용은 우선적으로 보다 작은 공간상에서 벌어지는 현상에 대한 인과관계를 밝히는 데에 유용하게 쓰일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그동안 누락되었거나 자료의 부재로 인해 시도조차 할 수 없었던 새로운 2차 정보의 생산도 가능하다. 또한 연관이 없을 것 같았던 이종 학제간의 융합연구를 위한 좋은 동기를 제공하기도 한다. 특히 도시환경과 도시민의 건강 관련 삶의 질에 대한 연관성을 탐구하는 분야에서 유동인구자료는 검증자료로써 상당히 중요하게 활용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Choi, C. H., Woo, Y. S. and Jung, S. G., 2015, An Analysis of Locational Characteristics and User Behavior of Neighborhood Parks in Central Business District,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Vol. 18, No. 1, pp. 25-47. 

  2. Cho, D. G., 2009, GIS and Geographically Weighted Regression in the Survey Research of Small Areas, Survey Research, Vol. 10, No. 3, pp. 1-19. 

  3. Choi, D. J. and Suh, Y. C., 2012, Geographically Weighted Regression on the Environmental-Ecological Factors of Human Longevity,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ystem, Vol 20, No. 3, pp. 57-63. 

  4. Choi, D. J. and Suh, Y. C., 2014, An Empirical Study on the Correlation between TOD Planning Elements and Subway Ridership in Busan Metropolitan Cit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Vol. 17. No. 3, pp. 147-159. 

  5. Choi, S. T., Lee, H. S., Choo, S. H. and Kim, S. J., 2015,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Vol. 33, No. 1, pp. 50-60. 

  6. Coffee, N. T., Howard, N., Paquet, C., Hugo, G. and Daniel, M., 2013, Is walkability associated with a lower cardiometabolic risk?, Health & place, Vol. 21, pp. 163-169. 

  7. Dunton, G. F., Almanza, E., Jerrett, M., Wolch, J. and Pentz, M. A., 2014, Neighborhood park use by children: use of accelerometry and global positioning systems. American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Vol. 46, No. 2, pp. 136-142. 

  8. Frank, L. D., Sallis, J. F., Saelens, B. E., Leary, L., Cain, K., Conway, T. L. and Hess, P. M., 2010, The development of a walkability index: application to the Neighborhood Quality of Life Study. British journal of sports medicine, Vol. 44, No. 13, pp. 924-933. 

  9. Fotheringham, S., Charlton, M. and Brunsdon, C., 1998, Geographically weighted regression: a natural evolution of the expansion method for spatial data analysis, Environment and planning A, Vol. 30, No. 11, pp. 1905-1927. 

  10. Jeong, Y. Y. and Moon, T. H., 2014, Analysis of Seoul Urban Spatial Structure Using Pedestrian Flow Data-Comparative Study with '2030 Seoul Plan'-, Journal of The Korean Regional Development Association, Vol. 26, No. 3, pp. 139-158. 

  11. Kang, C. D., 2013, Measuring Walkability Index and Its Policy Implications in Seoul, Korea, Seoul Studies, Vol. 14, No. 4, pp. 1-25. 

  12. Kim, Y. J., Kang, Y. W. and Kim, J. G., 2014, Preference Analysis for the Pedestrian Space in Large-scale Residential Complex by Multi Dimensional Scaling-Focused on the Haeundae New town in Busa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Vol. 34, No. 1, pp. 333-340. 

  13. Kim, K. H., Shon, D. W. and Lee, D. H., 2014, Journal of The Urban Design Insitute of Korea, Vol. 15, No. 5, pp. 161-171. 

  14. Lee, H. S., Kim, J. W. and Choo, S. H., 2014, Analyzing Pedestrian Characteristics Using the Seoul Floating Population Survey: Focusing on 5 Urban Communities in Seoul,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Vol. 32, No. 4, pp. 315-326. 

  15. Lee, J. W., Kim, H. Y. and Jun, C. M., 2015, Journal of The Urban Design Insitute of Korea, Vol. 16, No. 2, pp. 123-140. 

  16. Lee, K. M. and Jung, C. M., 2014, The Effect of Time Period Pedestrian Volume on Store Location -Focused on the Suwon's Retail Stores and Restaurants-,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Planning & Design, Vol. 30, No. 8, pp. 48-55. 

  17. Li, G. and Weng, Q., 2007, Measuring the quality of life in city of Indianapolis by integration of remote sensing and census data, International Journal of Remote Sensing, Vol. 28, No. 2, pp. 249-267. 

  18. Lim, D. H., Park, C. H. and Koo, J. H., 2014, A Study on Relationship Between Physical Components of Public Open Space Owned by Private Sector and Behavior Types of User-Focused on the Teheran-Road District Unit Plan Area in the Gangnam-Gu, Seoul-, Journal of The Urban Design Insitute of Korea, Vol. 15, No. 4, pp. 79-90. 

  19. Lwin, K. K. and Murayama, Y., 2011, Modelling of urban green space walkability: Eco-friendly walk score calculator. Computers, Environment and Urban Systems, Vol. 35, No. 5, pp. 408-420. 

  20. Oyeyemi, A. L., Sallis, J. F., Deforche, B., Oyeyemi, A. Y., De Bourdeaudhuij, I. and Van Dyck, D., 2013, Evaluation of the neighborhood environment walkability scale in Nigeria, International Journal of Health Geographic, Vol. 12, No. 16, pp. 1-16. 

  21.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2015, Seoul open data plaza, http://data.seoul.go.kr/ 

  22. Ministry of Environment, 2015, Environmental space information service, http://egis.me.go.kr/ 

  23. Statistics Korea, 2015, Statistical Geographic Information Services, http://sgis.kostat.go.kr/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