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6·25 전쟁 전후의 경계 공간에 대한 공간적 고찰
Spatial Analysis on the Boundary Space before and after the Korean War 원문보기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v.22 no.1, 2019년, pp.114 - 128  

정해용 (강원대학교 지리교육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한반도 분할과 관련된 경계에 대해 공간적으로 분석한 것이다. 북위 $38^{\circ}$선에 대한 추출과 정전협정 전문의 부록의 지도를 디지타이징 함으로써 그 범위를 추출하였고, 정전협정 전문과 부록, 유엔사 규정 등 근거로 하여 보다 정확한 범위를 추출하고 잘못된 정보에 대해 올바르게 분석하고자 하였다. 비무장지대의 범위는 UNC 551-4(2014)와 UNC 551-5(2015)에 의거 남방한계선의 위치 변경이 없음과 비무장지대 내 군사정전위원회 본부구역이 제외됨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비무장지대의 면적은 $889.7km^2$로 측정되었다. 군사분계선과 한강하구수역의 표식물을 확인하였으며, 특히 군사분계선의 표식물의 간격은 관리주체에 따라 다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를 기점으로 보다 정확한 자료로써 공신력 있는 기관에서의 검증을 거쳐 DMZ 및 접경지역 연구, 교육에서 필요한 기초자료로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s a spatial analysis of the boundaries related to the division of the Korean peninsula. The boundary space was extracted by extracting $38^{th}$ parallel and digitizing the map of the Armistice Agreement Annex. The purpose of this analysis was to extract more accurate scope ba...

주제어

표/그림 (8)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38° 선과 정전협정 제2권의 지도를 디지타이징 함으로써 그 범위를 추출하였고, 정전협정 전문과 부록, 유엔사 규정 등을 근거로 하여 잘못된 정보에 대해 올바르게 분석하고자 하였다.
  • 따라서 이 연구는 한반도 분할과 관련된 경계에 대해 공간적으로 분석하고 형성된 경계공간에 대한 잘못된 인식을 바꾸고 정확한 근거에 의한 경계공간을 세밀하게 밝히는데 목적이 있다.
  • 본 연구는 1945년 광복 이후와 1953년 정전협정 이후 분할된 경계 공간에 대한 공간적 범위를 분석하였고, 정확한 근거를 통하여 경계공간에 대한 잘못된 인식을 바꾸고 경계공간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38° 선과 군사분계선, 비무장지대의 인접지역은 시기별로 많은 용어로서 불리어 왔으나, 공간적 고찰에 대한 연구가 많지 않았다.
  • 본 연구는 군사분계선 및 비무장지대에 대한 공간적 범위를 제시한 대표적인 12편의 논문에서의 공간적 범위에 차이에 대한 문제점을 찾아내고, 보다 정확하고 학술적, 사회적, 정책적 차원에서의 통일된 범위를 제시할 필요가 있다고 보았다.
  • 본 연구는 시기별로 경계로서 38° 선과 군사분계선을 중심으로 그 주변 경계공간에 대해 고찰하였다.
  • 본 연구를 통해 한반도 경계공간에 대한 잘못된 근거로서 활용되었던 공간적 범위에 대해 올바른 정보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중앙정부 및 지자체, 학교 교육 현장에서의 기초자료로서 활용하거나 이 지역에 대한 각종 연구간 정확한 근거에 의해 산출된 자료를 활용할 수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Ann, J.Y., D.H. Son, H.Y. KIM and Y.K. Kang. 1995. Converting the Korean Demilitarized Zone into a Peace Park - Resource conservation and facilitation zone for free inter-Korean Tourism. Journal of Korea Planning Association 30(1):359-375. 

  2. Chi, B.D. 2004. The Law Sociological Viewpoint on the Developmental Hypothesis of Basic Relation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World constitutional Law Review 9:223-242. 

  3. Hahn, Monica. 2009. Transformation of system in the 'Re-taken Areas' during the Korean war : focused on Inje-gun in Gangwon-do. Ph.D. Thesis. Catholic University. 

  4. Hahn, Monica. 2012. The Process and Meaning of Application of the Farmland Reform Act to the Restored Area. Journal of Korean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 62:109-139. 

  5. Heo, H. 2007. The Character and Cooperation Policy of Border Area in Korea: Focused on the Northern Part of Gyeonggi Province. Modern society and public administration 17(3):127-150. 

  6. Hwang, G.H., K.D. Shin, J.S. Jang and S.H. Jwa. 2007. Evaluation and alternatives of the act supporting for the national border area in S. Korea. Gyeonggi Research Institute. 

  7. Im, D.S. 1972. A Study of Armistice Line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7(1):1-11. 

  8. Jang, Y.Y. 2003. A Study of Military and Geographical Considerations on the Border Areas of North and South Korea. Reunification Theses Collection 2:95-127. 

  9. Jeon, S.W. 2003. An Environment Conservation Master Plan for the Korea DMZ Area. Korea Environment Institute. 

  10. Jeong H.Y.. 2017. A Study on the Temporal-Spatial Variation Analysis and Development Alternative for the DMZ and its Border Region in the Korean Peninsula. Ph.D. Thesis. Kangwon National Univ. 

  11. Ju, H.S. 1989. A Geographical Study of the Region Contiguous to Korean Armisticeline. Master Thesis. Sangmyung Womans University. 

  12. Jung, K.S., H.T. Shin, S.J. Kim, J.B. Ann, J.W. Yoon, Y.H. Kwon and T.I. Heo. 2015. A Study on the Reduced Spatial Extent of DMZ.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 21(2):355-363. 

  13. Kim, B.S. 2006. Schemes to efficiently promote border areas support projects and their accomplishments. Research Institute For Gangwon. 

  14. Kim, C.H. 2007. A Study on the Spatial Range of DMZ.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 13(4):454-460. 

  15. Kim, C.H. 2009. The Survey of Disappeared Villages in The Demilitarized Zone.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12(1):96-105. 

  16. Kim, D.K., 2000. A Study on Peaceful Utilizations of DMZ in Korea. The Journal of Regional Development Studies 8:221-249. 

  17. Kim, H.J. 1976. An Analysis of the Origin of the Korean Division. Korean Political Science Review 10:323-333. 

  18. Kim, J.H. 2001. The Operation of the act supporting for the national border area and the Limits of the Support Effectiveness. International Culture Research 19:377-392. 

  19. Kim, J.K. and Y.C. Shin. 2004. Improvements of Legal-Institutional Level on the Border Region -Focusing on Gangwondo-. The Korea Association for Policy Studies 13(1):63-86. 

  20. Kim, T.H., H. W. Choi. M. K. Kim and W. J. Shim. 2012. A Spatio-Temporal Variation Pattern of Oiling Status Using Spatial Analysis in Mallipo Beach of Korea.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15(4):90-103. 

  21. Kim, Y.B., 2009. An Analysis of spatial characteristics and the cooperative development strategies for the border region of South and North Korea. Ph.D. Thesis. Hanyang University. 

  22. Lee, Y.B. 1995. 38th Parallel: America's Political Design in Korea - 1945.8.10.-8.15. Korean Political Science Review 29(1):147-193. 

  23. Michael Fry. 2013. National Geographic, Korea, and the 38th Paralle. National Geographic 8. 

  24. Na, H.S., J.M. Park and J. S. Lee. 2015. Analysis of Land Cover Classification and Pattern Using Remote Sensing and Spatial Statistical Method -Focusing on the DMZ Region in Gangwon-Do-.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18(4):100-118. 

  25. Nam, S.H. 2002. A Study on the Effective Use of the DMZ and its Vicinity in Preparation for the national reunification. Master Thesis. Taegu Unviversity. 

  26. Park, Y.C. 1981. A Study on development stratecy of the region contiguous to Korean armistice line. Master Thesis. Seoul National Univ. 

  27. S. Everett Gleason. 1971. Foreign Relations of the United States. 1946. The Far East. United States Government Printing Office Washington. Vol. VIII. p.605-786. 

  28. Shim, Y.S. 2000. The study on the development plan of tourism resource in DMZ. Master Thesis. Kyunghee Univ. 

  29. So, S.K. 2002. A Study on the Effective Application of the act supporting for the national border area. Journal of Law and Politics research 2(1):165-193. 

  30. Song, I.J. 1986. Harry Truman's Policy On Korean Politics And International Environment. Sungshin Journal 23:73-103. 

  31. UNC(United Nations Command) Regulations 551-4(2014.9.5.), Compliance with the Korean Armistice Agreement Korean. 

  32. UNC(United Nations Command) Regulations 551-5(2015.3.24.), Military Operations JSA Security Visit. 

  33. U.S.S.R.. 1950. Ministry of Foreign Affairs. The Soviet Union and The Korean Question. London: Soviet News. p.79.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