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근거리 영상정보를 활용한 실감형 재난재해 대피 훈련 가상 현실 구현
Implementation of virtual reality for interactive disaster evacuation training using close-range image information 원문보기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v.22 no.1, 2019년, pp.140 - 153  

김두영 (금오공과대학교 토목공학과) ,  허정림 (건국대학교 아시아시설물연구센터) ,  이진덕 (금오공과대학교 토목공학과) ,  방건준 (금오공과대학교 토목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드론 및 지상에서 촬영된 근거리 영상 정보는 3D 모델링매핑 등을 통해 재해 저감 분야에서 자주 사용되어 왔다. 게다가 실사와 같은 3D 모델을 이용하여 가상현실과 함께 대규모 재난재해 상황을 모의할 수 있는 가상현실 구현 기술을 통해 그 활용도가 증가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무인 항공기 및 디지털 카메라 영상으로부터 실사와 같은 3D 모델을 추출하여 가상현실 훈련 프로그램을 구현하였으며, 이 과정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문제점과 가상현실을 재난재해 훈련 상황에 적용했을 경우의 효과에 대해 검토하였다. 먼저 재해 발생 상황의 시나리오를 만들고, 근거리 이미지를 획득한 후 이미지 처리를 사용하여 3D 모델을 만들었으며, 완성된 3D 모델은 증강/가상현실 개발 프로그램인 Unity를 이용하여 가상현실의 배경으로 설정하고, 안드로이드 휴대폰을 위한 가상현실 환경을 C# 기반 스크립트를 이용하여 생성하였다. 생성된 가상현실은 재해 발생 시, 훈련자가 가상현실에서 대피 요령에 맞는 대피 경로를 따라 안전 장소까지 이동하는 시나리오를 포함하고 있으며, 성공적으로 가상훈련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또 구성된 가상현실을 통한 훈련은 비용, 공간, 시간적 효율성에 있어서 실제 대피 훈련보다 우위에 있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Cloase-range image information from drones and ground-based camera has been frequently used in the field of disaster mitigation with 3D modeling and mapping. In addition, the utilization of virtual reality(VR) is being increased by implementing realistic 3D models with the VR technology simulating d...

주제어

표/그림 (17)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금오공과대학교를 대상으로 드론 및 미러리스 카메라를 이용한 근거리 영상정보를 활용하여 3차원 공간정보를 제작하고, 이를 활용하여 재난재해 대피 시 모의 훈련이 가능한 가상현실 시스템을 구현하였고, 이때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 및 해결 방안을 고찰하였다. 또한 이미지 데이터를 기반으로 생성된 3D 모델이 실제 가상현실에의 적용 적합성에 대해 분석하고, 기존의 재난 대피훈련과 비교하여 3차원 공간정보와 가상현실이 얼마나 재난 대피훈련을 효과적인지 비교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참고를 위해 실제 연구대상 지역인 금오공과대학교에서 실시하는 규정에 따른 기존의 훈련방식과 본 연구를 통해 구현한 가상현실 훈련방식을 간단히 비교해 보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3D 메쉬 수정에서 Smooth Brush의 기능은 무엇인가? 특히 특징점이 없어 대부분의 메쉬가 생략되어 만들어진 벽면, 천장, 바닥의 경우 연결된 면을 Hide Brush를 이용하여 모두 제거하고 깔끔한 새로운 면을 생성하여 수정하였다. Smooth Brush는 구불구불한 면을 평면으로 수정해 주는 기능으로 주로 일정한 무늬를 갖는 바닥에 사용하여 수정하였고 Move Brush는 메쉬를 원하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해주는 기능으로 주로 3D 모델 생성과정에서 잘못된 메쉬를 생성한 경우 원래의 위치에 맞게 이동시켜 수정할 수 있게 해준다. 또한 3D 메쉬중 구멍이 생겨 생성된 경우 Stitch Brush를 이용하여 구멍을 채웠다(그림 9, 그림 10)
타원형 비행경로의 단점은 무엇인가? 대안으로 카메라를 45도의 시각으로 설정한 후, 타원형 비행경로로 촬영을 실시하였으며, 타원형 비행경로가 지그재그 방식의 경로보다 3D 모델 구현의 완성도가 높았 다. 타원형 비행경로의 단점으로는 영상의 공간 해상도가 달라 구축된 3D 모형은 가장 먼거리 에서 촬영된 영상의 공간해상도보다 낮게 재구 성되어 영상의 질이 다소 저하되는 점이다.
항공촬영 시 지그재그(Zig-Zag) 방식의 비행경로로 촬영할 때의 특징은 무엇인가? 첫번째 촬영(그림 1(a))은 글로벌관에서 기숙사까지 중간 지점인 풋살장을 기준으로 촬영하여 112장의 사진을 얻었으며, 두 번째 촬영(그림 2(b))은 기숙사에서 대운동장까지 중간 지점인 대운동장 주차장에서 촬영하여 100장의 사진을 얻었다. 일반적인 지그재그(Zig-Zag) 방식의 비행경로의 경우, 카메라가 수직 방향을 향하고 있어 음영지역이 많이 발생하게 되며, 3D 모델 구축의 경우에도 상당히 많은 부분에서 시각 효과가 감소하였다. 대안으로 카메라를 45도의 시각으로 설정한 후, 타원형 비행경로로 촬영을 실시하였으며, 타원형 비행경로가 지그재그 방식의 경로보다 3D 모델 구현의 완성도가 높았 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Andreatta, P.B., E. Maslowski, S. Petty, W. Shim, M. Marsh, T. Hall, S. Stern, and J. Frankel. 2010. Virtual reality triage training provides a viable solution for disaster-preparedness. Academic Emergency Medicine 17(8):870-876. 

  2. Bruno, F., S. Bruno, G. Sensi, M. Luchi, S. Mancuso, M. Muzzupappa. 2010. From 3D reconstruction to virtual reality: A complete methodology for digital archaeological exhibition. Journal of Cultural Heritage 11(1):42-49. 

  3. Chae, J. 2018. Study on Firefighting Education and Training Applying Virtual Reality.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32(1):108-115. 

  4. Durlach, N. and A. Mavor. 1995. Virtual Reality: Scientific and Technological Challenges. National Academies Press, 1995. 

  5. Farra, S,, E. Miller, N. Timm, J. Schafer. 2012. Improved training for disasters using 3-D virtual reality simulation. Western Journal of Nursing Research 35(5):655-671. 

  6. Hsu, E.B., Y. Li, J.D. Bayram, D. Levinson, S. Yang and C. Monahan. 2013. State of Virtual Reality Based Disaster Preparedness and Response Training. PLOS Currents Disasters, 2013. 

  7. Hwang, W. and D. Park. 2018. A study on the planning of content for children disaster safety environment : focusing on the virtual-reality(VR) based Experiential Contents. Procedings of Korea Environmental Policy And Administration Society pp.63-64. 

  8. Lee, J.H. 2018. Review and Analysis on VR Disaster Education Simulation - Derivation of Required Technology through Analysis of Domestic Disaster Experienc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Design Culture 24(3): 511-522. 

  9. Lowe, D.G. 2004. Distinctive image features from scale-invariant keypoints,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 Vision 60(2):91-110. 

  10. Ministry of the Interior and Safety. 2017. Statistical yearbook of natural disaster. 242pp. 

  11. Park, H.J., and M.B. Seo. 2017. A Development of Disaster Evacuation Simulation in Underground Space based on Virtual Reality. Proceedings of Korea Information Science Society. pp. 29-30. 

  12. Song, Y.S., P.S. Lee, Y. Yeu, G.H. Kim. 2012. Flood Risk Mapping using 3D Virtual Reality Based on Geo-Spatial Information. The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20(4):97-104. 

  13. Westody, M.J., J. Brasington, N.F. Glasser, M.J. Hambrey, and J.M. Reynolds. 2012. Structure-from-Motion photogrammetry: A low-cost, effective tool for geoscience applications. Geomorphology 179:300-314. 

  14. Zhang, L. and W.J. Tam 2005. Stereoscopic image generation based on depth images for 3D TV. IEEE Transactions on Broadcasting 51:191-199. 

  15. Zheng, E. and C. Wu. Structure from Motion Using Structure-less Resection. Procedings of 2015 IEE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mputer Vision. Santiago, Chile, 7-13 December, 2015. pp. 2075-208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