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수치임상도 작업매뉴얼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Guideline in Digital Forest Type Map 원문보기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v.22 no.1, 2019년, pp.168 - 182  

박정묵 (강원대학교 산림환경과학대학 산림과학부 산림경영학과) ,  도미령 (강원대학교 산림환경과학대학 산림과학부 산림경영학과) ,  심우담 (강원대학교 산림환경과학대학 산림과학부 산림경영학과) ,  이정수 (강원대학교 산림환경과학대학 산림과학부 산림경영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임상도 현행화 제작(DB구축 작업매뉴얼)" (이하 작업매뉴얼)의 제작과정과 방법을 검토하고, 1:5k 수치임상도(이하 임상도)에 평가항목을 적용하여 제작과정과 방법에 대한 문제점 도출 및 개선방안 제시를 목적으로 하였다. 임상도에 적용되는 평가항목은 구획과 속성에 관한 사항으로 구분하였으며, 행정구역별 임분구조 특성과 파편화 분석을 통하여 작업매뉴얼의 제작과정과 방법의 문제점을 도출하였다. 작업매뉴얼의 구획에 관한 사항은 '인위적변화지와 자연적변화지'의 항목에서 제작과정이 제안되어있고 전국을 5분할하여 자연적변화지는 5년 주기로 인위적 변화지는 매년 갱신하고 있기 때문에 지역 간 구축된 임상도 DB의 일관성을 알아보고자 파편화를 분석하였다. 전국의 산림 패치수(Number of Patches)는 증가하고, 평균패치크기(Mean of Patch Size)가 감소하여 파편화 정도와 형태의 복잡성이 증가하였으며, 17개 광역시 도 중 4개의 지역은 파편화 정도와 형태의 복잡성이 감소하여 지역 간의 편차가 발생하였다. 또한, '산림의 구분' 항목에서 최소구획면적은 0.1ha로 구분하고 있기 때문에 임상도에서 구획된 객체(폴리곤 단위) 면적을 산출하여 최소구회면적 기준을 검토한 결과 전체 객체 중 최소구획면적 기준 미만이 되는 객체의 비율은 약 26%나 차지하였다. 이에 따라 '인위적변화지와 자연적변화지'의 갱신 주기와 정의 확립이 필요하며, 최소구획면적 기준에 대한 구획 기준의 개선이 필요하다. 한편, 작업매뉴얼의 속성에 관한 사항은 '수종변화' 항목에서 지형지물체계를 52종으로 분류하고 있으며, 이 중 입목지는 43종으로 분류하고 있어, 임상도에서 구축된 수종정보를 추출하여 분포비율을 검토하였다. 입목지 수종 중 분포비율이 0.1% 미만인 수종은 23종으로 약 53%를 차지하고 있으며, 상위 3종은 소나무와 기타수종으로 구획되어 있다. 또한, 무립목지의 관목덤불은 지형지물체계에서 분류하고 있지만, '산림의 구분' 항목에서는 정의 및 판독기준이 마련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수종변화'의 지형지물체계의 재정립과 관목덤불에 대한 정의 정립이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examine the production processes and methods of "Forest Type Map Actualization Production (Database (DB) Construction Work Manual)" (Work Manual) identify issues associated with the production processes and methods, and suggest solutions for them by applying eval...

주제어

표/그림 (12)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작업매뉴얼의 제작과정과 방법의 내용을 검토하고, 1:5k 수치임상도에 평가항목을 적용하여 제작과정과 방법에 대한 문제점 도출 및 개선방안 제시를 목적으로 한다.
  • 본 연구는 임상도 제작 작업매뉴얼을 구획과 속성에 관한 사항으로 구분하고 제작된 수치임상도를 활용하여 인위적변화지와 자연적변화지구분에 의한 지역별 파편화 차이에 대한 문제점, 최소구획면적에 따른 실제 구획 면적의 문제점, 지형지물체계의 입목지 수종의 판독 및 구획에 관한 문제점과 관목덤불의 정의 및 구획에 관한 문제점을 파악할 수 있었다. 추후, 작업 매뉴얼의 구분 및 속성에 관한 사항이 개편되고 작업자의 혼동을 방지할 수 있는 작업 기준이 마련된다면 보다 정확하고 일관된 산림정보를 취득할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 본 연구는「임상도 현행화 제작(DB구축 작업 매뉴얼)」의 제작과정과 방법을 검토하고, 구획과 속성에 관한 사항을 구분하여 제작과정과 방법에 대한 문제점 도출 및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작업매뉴얼 구획과 속성에 관한 사항의 문제점은 수치임상도를 이용하여 파편화 분석, 임분 구조특성을 분석하여 도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임상도를 갱신하면서 지역별로의 편차가 발생한 이유는? 3%로 모든 항목에서 감소하였다. 이는 최소구획면적에 대한 기준 없이 판독 및 구획을 진행하는 것으로 판단되며, 작업자간의 다른 작업 방식으로 지역 간의 편차가 크게 나타난 것으로 판단된다(그림 5).
인위적변화지는 무엇으로 구성되었는가? 작업매뉴얼은‘임상도의 개요’,‘임상도 현행화 제작방법’과‘임상도 현행화 데이터 검수지침’,‘변화지역 추출’,‘성과품 관리’에 관한 내용으로 구성되며,‘임상도 현행화 제작방법’은 인위적변화지와 자연적변화지에 관한 내용으로 구분되어있다. 인위적변화지는 기초자료를 이용한 임상판독 및 구획에 관한 사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자연적변화지는 변화지역을 중점으로 수정·갱신하며 임종, 임상, 수종, 경급, 영급, 수관밀도 등 각 항목별 변화에 대한 사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수치임상도는 무엇이며 어떤 정보를 제공하는가? 이러한 수치임상도는 우리나라 국토의 산림이 어떻게 분포되어 있는가를 보여주는 대표적인 산림주제도로 임종·임상·수종·경급·영급·수관밀도·수고정보를 포함하여 다양한 속성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임상도는 국가산림자원조사의 제1차(1972~1974) 흑백 종이 임상도를 시작으로 제5차(2006~2010)까지 총 5차례에 걸쳐 1:25k 축척의 디지털 임상도를 제작 하였다(Kim et al, 2009 ; KOFPI, 201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Bang, E.G., D.H. Yoon and J.H. Koh. 2014. 3D Visualization of Forest Information Using LiDAR Data and Forest Type Map. Journal of Korea Spatial Information Society 22(5):53-63. 

  2. Choi, B.K., J.M. Park and J.S. Lee. 2013. Analysis of land-cover change and fragmentation pattern using Landsat TM data. Journal of Photo Geography 23(1): 75-85. 

  3. Coops, N.C., S.N. Gillanders, M.A. Wulder, S.E. Gergel, T. Nelson and N.R. Goodwin. 2010. Assessing changes in forest fragmentation following infestation using time series Landsat imagery. Forest Ecology and Management 259(2010):2355-2365. 

  4. Gong, C., S. Yu, H. Joesting and J. Chen. 2013. Determining socioeconomic drivers of urban forest fragmentation with historical remote sensing images. Landscape and Urban Planning 117(2013):57-65. 

  5. Hong, M.K. and C. Kim. 2013. SAR Polarimetric Entropy for Assessing Crown Density in Forest Type Maps. Conference of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pp.21-24. 

  6. Kim, K.M., C.M. Kim and E.J. JEON. 2009. Study on the Standard for 1:25,000 Scale Digital Forest Type Map Production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12(3):143-151. 

  7. Kim, M.A., J.Y. Choi and S.H. Lee. 2013. Feasibility of Forest Land Conversion to Other Use by Considering Forest Fragmentation. The Korea Society For Environmental Restoration And Revegetation Technology 16(4):53-62. 

  8. Kim, M.h., M. Madden and T.A. Warner. 2009. Forest Type Mapping using Object -specific Texture Measures from Multispectral Ikonos Imagery. Photogrammetric Engineering & Remote Sensing 75(7): 819-829. 

  9. Kim, S.W., Y.M. Son, E.S. Kim and H. Park. 2014. Estimation of Growing Stock and Carbon Stock based on Components of Forest Type Map : The case of Kangwon Province.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103(3):446-452. 

  10. Korea Forestry Promotion Institute(KOFPI). 2017. The Production of Forest type map actualizing Development of manual for DB V3.1. 

  11.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KFRI). 2015. Current analysis and development plan of internal and external forest map. 

  12. Korea National Arboretum, 2016, Nature, http://www.nature.go.kr (Accessed March, 2019). 

  13. Na, H.S., J.M. Park, J.Y. Choi and J.S. Lee. 2015. A Study on Spatial Characteristic of Damaged Forest Areas by Image Interpretation Focused on DMZ region in Hwacheon and Cheorwon-. Journal of Photo Geography 25(3):65-73. 

  14. Park, J.M. 2013. Land cover classification and change analysis using pixel-based and object-based. Master Thesis, Univ. of Kangwon, Gangwon-do, Korea. pp.13-14. 

  15. Park, J.W. 2017. A Study on the Prediction of Land Use and Land Cover Change in the Northern Area of the Civilian Control Line of DMZ using GIS and RS. Ph.D. Thesis, Unive. of Kangwon, Gangwon-do, Korea. pp.29-31. 

  16. Park, K.S. 2013. A Digital Forest Mapping by using Hyperspectral Image, Conference of The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pp.61-64. 

  17. Reddy, C.S., S. Sreelekshmi, C.S. Jha and V.K. Dadhwal. 2013. National assessment of forest fragmentation in India: Landscape indices as measures of the effects of fragmentation and forest cover change. Ecological Engineering 60(2013):453-464. 

  18. Suh, E.C. and Y.P. Kim. 2010. A Time-Series Analysis of Forest Patch Change Difference by Green Trace of Land Cover Classification Indices.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Forest Recreation 14(2):93-98. 

  19. Sung, Y.S. and W. Cho. 2012. Landscape Analysis of Habitat Fragmentation in the North and South Korean Border.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 & Ecology 26(6):952-959. 

  20. Yoo, B.O., S.D. Kwon and S.H. Kim. 2008. Development of the Field Investigation System (FIS) loading Image Data for Digital Forest Type Mapping.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97(4):445-451. 

  21. You, B.O., C.C. Kim and S.H. Kim. 2011. Development of FAPIS(Forest Aerial Photograph Interpretation System) for Digital Forest Cover Type Mapping (Version 1.0).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14(2):128-137.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