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의 부모지지가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 :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
The Effect of Parent Support of Specialized Technical High School Students on the Level of Career Decision : Mediating effect of resilience 원문보기

大韓工業敎育學會誌 =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Industrial Educators, v.44 no.1, 2019년, pp.1 - 22  

라기훈 (충남대학교) ,  임나영 (충남대학교) ,  이창훈 (충남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는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의 부모지지와 진로결정수준의 관계에서 회복탄력성매개효과를 검증함으로써 가정과 학교가 연계된 바람직한 진로지도 상담의 기초자료를 제공하여 수준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연구문제로는 첫째,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의 부모지지, 진로결정수준, 회복탄력성의 수준은 어떠한가, 둘째,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의 부모지지, 진로결정수준, 회복탄력성의 관계는 어떠한가, 셋째,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의 부모지지와 진로결정수준의 관계에서 회복탄력성은 매개변인의 역할을 하는가로 설정하여 구명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의 부모지지, 진로결정수준, 회복탄력성에 관련된 이론적 배경을 고찰하여 검사도구를 제작하였다. 설문지는 개인특성(1문항), 부모지지(22문항), 진로결정수준(22문항), 회복탄력성(27문항)으로 총 70문항으로 구성하였으며, 전국 공업계열 특성화고등학교 학생 85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무응답이나 불성실한 응답의 설문지를 제외한 689부를 최종 분석에 활용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학년별 부모지지, 진로결정수준, 회복탄력성은 모두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각각 보통수준을 나타냈다. 또한 부모지지, 진로결정수준, 회복탄력성 모두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하위요인별로는 부모지지와 진로결정수준, 회복탄력성과 진로결정수준이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부모지지의 하위요인 중 정서적 지지와 언어적 격려가 진로결정수준에 50%이상의 설명력을 보였다. 매개효과 측면으로는 부모지지가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회복탄력성 전체와 하위요인인 통제성, 긍정성, 사회성이 모두 부분매개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진로지도상담의 질적 향상을 위해서는 가정적요인과 학생 내적요인을 모두 고려한 학교와 가정이 연계된 프로그램이 진행되어야 하며 특히 정서적, 언어적인 측면을 활용하여 학년이 올라갈수록 긍정적인 부모지지와 회복탄력성을 형성할 수 있는 교육이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of resilie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 support and career decision level of specialization technical high school students and to find out ways to improve the level of desirable career guidance and counseling. The research quest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둘째,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의 부모지지, 진로결정수준, 회복탄력성의 관계를 확인해본다.
  • 셋째,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의 부모지지와 진로결정수준의 관계에서 회복탄력성은 매개 변인의 역할을 하는지 확인해본다.
  • 이 연구는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의 부모지지, 회복탄력성, 진로결정수준의 수준과 관계를 분석하고, 이 세 가지 요인의 관계에서 회복탄력성에 의한 매개효과를 규명하여 학생의 진로결정수준을 높이는 효과적인 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에 목적이 있으며,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 이 연구의 목적은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의 부모지지와 진로결정수준의 관계에서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 검증을 통해 학교와 가정이 연계된 진로지도 계획을 수립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가설 설정

  • 모든 변인이 왜도<±3, 첨도<±10 의 범주 안에 해당하기 때문에 정규분포를 형성하고 있다고 가정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진로지도상담의 질적 향상을 위해 어떤 것들이 수행 되어야 하는가? 매개효과 측면으로는 부모지지가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회복탄력성 전체와 하위요인인 통제성, 긍정성, 사회성이 모두 부분매개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진로지도상담의 질적 향상을 위해서는 가정적요인과 학생 내적요인을 모두 고려한 학교와 가정이 연계된 프로그램이 진행되어야 하며 특히 정서적, 언어적인 측면을 활용하여 학년이 올라갈수록 긍정적인 부모지지와 회복탄력성을 형성할 수 있는 교육이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가정과 학교가 연계된 바람직한 진로지도 상담의 수준을 높이기 위해 어떤 문제를 설정 하였는가? 이 연구는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의 부모지지와 진로결정수준의 관계에서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함으로써 가정과 학교가 연계된 바람직한 진로지도 상담의 기초자료를 제공하여 수준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연구문제로는 첫째,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의 부모지지, 진로결정수준, 회복탄력성의 수준은 어떠한가, 둘째,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의 부모지지, 진로결정수준, 회복탄력성의 관계는 어떠한가, 셋째,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의 부모지지와 진로결정수준의 관계에서 회복탄력성은 매개변인의 역할을 하는가로 설정하여 구명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의 부모지지, 진로결정수준, 회복탄력성에 관련된 이론적 배경을 고찰하여 검사도구를 제작하였다.
청소년기는 무엇인가? 청소년기는 아동에서 성인으로 성장하는 중간과정으로 생리적, 심리적 변화가 일어나기 때문에 심리적 격동기로도 일컬어진다. 우리나라의 고등학교 과정은 교육의 목적에 따라 일반고, 특성화고, 특수목적고, 자율고로 구분되어 있다(초·중등교육법 시행령 제76조의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6)

  1. 강선영(1996), 아이덴티티(identity) 발달수준과 진로미결정 요인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미간행. 

  2. 고향자(1993), 한국 대학생의 의사결정유형과 진로결정수준의 분석 및 진로결정상담의 효과. 숙명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미간행. 

  3. 교육통계서비스(2017). 2017년 교육통계 주요지표 -고등학교 졸업 후 상황. 국가교육통계센터. 

  4. 김봉환(1997). 대학생의 진로결정수준과 진로준비행동의 발달 및 이차원적 유형화.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9(1), 311-333. 

  5. 김수리(2004). 부모지지, 진로결정 자기 효능감 및 역기능적 진로사고가 청소년의 진로발달에 미치는 영향. 홍익대학교 박사학위논문. 미간행. 

  6. 김용재(2014), 마이스터고등학교 학생의 진로 경로 및 진로결정 행동 분석. 충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미간행. 

  7. 김은영(2007). 남녀 대학생의 자율성, 유능감, 관계성이 진로미결정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9(4), 1079-1100. 

  8. 김주환(2011). 회복탄력성, 시련을 행복으로 바꾸는 유쾌한 비밀. 고양:위즈덤하우스. 

  9. 남한희(2011). 스트레스 요인이 청소년 우울과 비행에 미치는 영향. 한세대학교석사학위논문. 미간행. 

  10. 문새롬(2016). 공업계 특성화 고등학교 학생들의 사회적지지와 회복탄력성이 진로결정상태에 미치는 영향 : 진로장벽의 매개효과.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간행. 

  11. 박나정, 임나영, 이창훈(2018).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의 회복탄력성이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대한공업교육학회지. 43(1), 20-40. 

  12. 박민호(2009). 비행청소년과 일반청소년의 스트레스 수준과 대처방법에 관한 비교연구. 창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미간행. 

  13. 배종훈(2001). 군집 분석을 통한 진로 미결정 하위 유형의 탐색. 진로교육연구, 14, 223-244. 

  14. 송설희(1994), 가족유형과 지각된 부모의 수용-거부가 청소년의 자아정체감 형성에 미치는 영향. 충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미간행. 

  15. 신우열, 김민규, 김주환(2009). 회복탄력성 검사 지수의 개발 및 타당도 검증. 한국청소년연구, 20(4), 105-131. 

  16. 양선주(2014). 대전광역시 특성화고 학생들의 인식에 터한 진로 상담 운영 실태와 요구조사. 대한공업교육학회지, 39(1), 85-101. 

  17. 이은정(2012). 청소년의 자아탄력성과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관계 : 긍정정서와 진로장벽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미간행. 

  18. 이주연(2001), 일반청소년과 통신 중독 경향 청소년의 사회적지지 지각과 자아정체감 비교연구,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미간행. 

  19. 이해리, 조한익(2006). 한국 청소년 탄력성 척도의 타당화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18(2), 353-371. 

  20. 이혜성, 홍혜경(1988), 진로결정상태모형에 의한 대학생의 진로결정상태의 유형화. 한국심리학회, 10(1), 143-166. 

  21. 임나영, 이창훈(2015). 공업계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의 사회적 지지에 따른 진로결정상태 유형 분석. 대한공업교육학회지. 40(1), 40-63. 

  22. 최은영(2010), 대학생의 진로결정유형별 특성과 진로효능감 증진 프로그램의 효과. 숙명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미간행. 

  23. 한주옥(2004). 여대생의 자기결정성 수준과 진로미결정과의 관계에서 진로결정효능감의 매개효과 검증.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미간행. 

  24. 허재경, 김유숙(2005). 부모애착안정성과 사회적 지지가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여성, 10(4). 

  25. 황여정(2007). 일반계 고등학생의 진로결정 및 진로정보인지수준 영향요인. 교육사회학연구, 17(1), 131-158. 

  26. Avison & McAlpine(1992). Gender Differences in Symptoms of Depression Among Adolescents. Journal of Health and Social Behavior, 33(2), 77-96 

  27. Dyer & McGuinness(1996). Resilience: Analysis of the concept. Archives of psychiatic nursing. 

  28. Fuqua & Hartman(1983). Differential Diagnosis and Treatment of Career Indecision. Journal of Counseling & Development, 62(1) 27-29. 

  29. Furman, W. & Buhrmester, D. (1985). Children's Perceptions of the Personal Relationships in Their Social Networks. Developmental Psychology, 21(6), 1016-1024. 

  30. Furman. W. & Buhrmester, D. (1992). Age and Sex Differences in Perceptions of Networks of Personal Relationships. Child Development, 63(1), 103-115. 

  31. Holland & Gottfredson & Power(1980). Some diagnostic scales for research in decision making and personality: Identity, information, and barrier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39(6), 1191-1200. 

  32. M Rutter(1979). Protective factors in children's responses to stress and disadvantage. Annals of the Academy of Medicine. 

  33. Masten A. (1990). Resilience in development: Implications of the study of successful adaptation for developmental psychopathology, 261-294, 

  34. Revich, K. & Schatte, A.(2002). The Resilience Factor. New York: Broad Books. 

  35. Osipow & Schweikert(1981), The Career Decision Scale: A Test of Concurrent Validity. Psychological Reports, 48(3), 759-761. 

  36. Turner(2003), The Career-Related Parent Support Scale. Measurement & Evaluation in Counseling & Development, 36(2), 83-95.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