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빅데이터 분석을 활용한 제5차 산림기본계획 주요 사업에 대한 평가
Evaluation of Major Projects of the 5th Basic Forest Plan Utilizing Big Data Analysis 원문보기

韓國林學會誌 =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v.106 no.3, 2017년, pp.340 - 352  

변승연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산림정책연구센터) ,  구자춘 (한국농촌경제연구원 기획조정실) ,  석현덕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산림정책연구센터)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제5차 산림기본계획은 2008년부터 2017년까지의 10년 단위 계획으로, 2013년에 대외환경 변화 등의 이유로 변경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산림기본계획에 대한 거시적 평가를 위해 빅데이터 분석을 활용하여 연도별 정책 수요와 공급의 간극을 파악하였다. 정책수요 부분은 당해 연도의 뉴스, SNS 등에서 언급된 사업과 관련된 키워드(명사 기준)를 기준으로 하고, 정책 공급 부문은 산림청이 발행한 문서를 기준으로 하여 비정형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수집한 자료는 사회연결망 분석(social network analysis)을 활용하여 네트워크 구조를 특정하고, 수요 측면의 네트워크와 공급 측면의 네트워크를 비교하여 산림청 정책 수요와 공급의 간극을 확인한다. 분석 결과, 공급부문의 네트워크 구조는 수요 부문보다 방사형이 약한 것으로 나타나 산림 이외에 다양한 주제어가 네트워크에서 상당한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또한 27대 대표사업들을 대응한 33개 주제어에 대해 수요부문과 공급부문의 기울기를 비교한 결과, 수요는 증가하지만 공급이 감소하는 주제어의 개수는 7개로 지속가능, 산림경영, 산림생물, 산림보호, 산림병해충, 도시숲, 북한이 해당되었다. 이들 주제어는 수요와 공급의 간극이 확인된 만큼, 제6차 기본계획에서는 이들 주제어에 대한 공급 강화가 필요하며, 자유게시판 분석을 통하여 신규 임업인에 대한 정보 제공 및 교육 강화도 포함되어야 할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we examined the gap between supply and demand of forest policy by year through big data analysis for macroscopic evaluation of the 5th Basic Forest Plan. We collected unstructured data based on keywords related to the projects mentioned in the news, SNS and so on in the relevant year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논문에서는 빅데이터 분석을 활용하여 네트워크 구조를 특정하고, 수요 측면의 네트워크와 공급 측면의 네트워크를 비교하여 연도별 산림청 정책 수요와 공급의 간극을 파악하는 것이 목적이다.
  • 본 연구에서는 산림기본계획에 대한 거시적 평가를 위해 빅데이터 분석을 활용하여 연도별 정책 수요와 공급의 간극을 파악하였다. 정책수요 부분은 당해 연도의 뉴스, SNS 등에서 언급된 사업과 관련된 키워드(명사 기준) 를 기준으로 하고, 정책 공급 부문은 산림청이 발행한 문서를 기준으로 하여 비정형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 제5차 산림기본계획 27대 사업에 대해 빅데이터 분석(big data analysis)을 활용하여 ‘산림’을 둘러싼 수요와 공급이 지난 8년 동안 어떻게 진행되었는지를 확인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산림기본계획이란? 산림기본계획은 산림자원의 육성과 보전, 이용 등과 관련한 정책과제를 추진하여 산림의 보존과 함께 산림에서 제공하는 자원과 서비스의 지속가능한 이용을 도모하기 위한 것이며, 제5차 산림기본계획은 2008년부터 2017년까지의 10년 단위 계획으로 2013년에 대외환경 변화1) 등의 이유로 변경되었다. 본 계획에는 산림 시책의 기본목표 및 추진방향, 산림 자원의 조성 및 육성에 관한 연구, 산림의 보전 및 보호에 관한 사항, 산림의 공익기능 증진에 관한 사항, 산사태 · 산불 · 산림병해충 등 산림재해의 대응 및 복구 등에 관한 사항, 산림의 이용구분 및 이용 계획에 관한 사항 등이 포함된다.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산림기본계획에 대한 거시적 평가를 위해 정책수요 부분과 정책공급부문은 어떤 데이터를 수집하였는가? 본 연구에서는 산림기본계획에 대한 거시적 평가를 위해 빅데이터 분석을 활용하여 연도별 정책 수요와 공급의 간극을 파악하였다. 정책수요 부분은 당해 연도의 뉴스, SNS 등에서 언급된 사업과 관련된 키워드(명사 기준)를 기준으로 하고, 정책 공급 부문은 산림청이 발행한 문서를 기준으로 하여 비정형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수집한 자료는 사회연결망 분석(social network analysis)을 활용하여 네트워크 구조를 특정하고, 수요 측면의 네트워크와 공급 측면의 네트워크를 비교하여 산림청 정책 수요와 공급의 간극을 확인한다.
제5차 산림기본계획이 변경된 이유는? 제5차 산림기본계획은 2008년부터 2017년까지의 10년 단위 계획으로, 2013년에 대외환경 변화 등의 이유로 변경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산림기본계획에 대한 거시적 평가를 위해 빅데이터 분석을 활용하여 연도별 정책 수요와 공급의 간극을 파악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0)

  1. Bigkinds Article. 2008-2015. Internet at http://www.bigkinds.or.kr. 2016.9.18. 

  2. Choi, S.J. 2016. RHINO Korean morphological analyzer. Javabased Hangul stemming source. Internet at http://blog.naver.com/lingua. 

  3. Duvvuru, A., Kamarthi, S. and Sultornsanee, S. 2012. Undercovering Research Trends: Network Analysis of Keywords in Scholarly Articles. In Proceeding of International Joint Conference of Computer Science and Software Engineering (JCSSE). 

  4. Lee, G.B. 2011. Leveraging Big Data to Implement Smart Government. National Informatization Strategy Committee. 

  5. Lee, K.Y., Park, S.J., Lee, D.S., Jung, H.K., Kim, H.Y., Jang, M.J. and Oh, S.Y. 2014. Guidelines for Standards Guideline for Standards Guideline and Policy Directions for Improving Food Policies: A Study on the Primary Planning of Primary Basic Plan and the Second Baseline Plan.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6. Naver Encyclopedia of knowledge. 2016. Internet at http://www.naver.com. 

  7. Seok, H.D., Kim, E.K., An, S.J. and Park, S.H. 2012. Evaluation and Improvement of Forest Master Plan.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8. Seong, J.E. and Park, K.R. 2016. Policy Case Analysis and Implications Using Big Data. Science and Technology policy Institute. 

  9. Korea Forest Survice. 2008-2015. Annual Implementation Plan for Major Works of KFS. 

  10. Korea Forest Survice. 2008-2015. KFS Free bulletin board. Internet at http://www.forest.go.kr/newkfsweb/cop/bbs/selectBoardList.do?bbsIdBBSMSTR_1019&mnKFS_04_08_0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