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스마트폰기반 음성치료 프로그램 개발연구
Development of smartphone-based voice therapy program 원문보기

말소리와 음성과학 = Phonetics and speech sciences, v.11 no.1, 2019년, pp.51 - 61  

이하나 (조선대학교병원 이비인후과 음성클리닉) ,  박준희 (조선대학교 의과대학 이비인후과학교실) ,  유재연 (호남대학교 언어치료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음성장애환자를 위한 스마트폰기반 음성치료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국내 음성치료관련 모바일 콘텐츠분석, 전문가 및 사용자 수요조사를 통해 음성치료에 필요한 콘텐츠를 수집하였고, 프로그램은 안드로이드 스튜디오를 사용하여 개발하였다.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사용자 만족도 평가는 기능적 음성장애인 5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국내 음성치료관련 모바일 콘텐츠는 주로 호흡과 관련된 애플리케이션이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음도와 노래 순으로 분포되었으나 실질적으로 음성치료를 위한 애플리케이션은 13개에 불과하였다. 전문가 및 사용자 수요조사 결과 환자와 치료사 모두 치료실 이외에 장소에서 음성훈련을 할 수 있는 콘텐츠에 대한 요구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현황분석을 토대로 스마트폰기반 음성치료프로그램인 '홈 보이스 트레이너'를 개발하였다. 홈 보이스 트레이너는 안드로이드 스마트폰을 기반으로 한 음성치료 및 관리용 애플리케이션이다. 기존 오프라인에서 훈련한 음성치료활동을 가정에서도 훈련할 수 있도록 고안되었다. 또한 환자의 음성훈련 기록을 온라인으로 관리하여 음성치료 종결 후에도 지속적인 음성컨설팅을 통해 환자의 음성개선을 유지할 수 있도록 지원하였다. 사용자 평가 결과 환자는 홈 보이스 트레이너에서 제공하는 음성치료프로그램의 난이도, 내용은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홈 버튼 및 화면 간 연계성에 대한 부분과 같은 유저인터페이스에 대한 부분이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추후 연구에서는 음성장애 환자에게 홈 보이스 트레이너를 사용한 임상 적용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또한 음성치료관련 스마트 콘텐츠에 대한 개발 연구와 임상적용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smartphone based voice therapy program for patients with voice disorders. Contents of voice therapy were collected through analysis of mobile contents related to voice therapy in Korea, experts and users' demand survey, and the program was developed using 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국내 음성치료 관련 모바일 콘텐츠 현황분석과 전문가 자문회의 그리고 사용자 수요조사를 통해 스마트폰기반 음성치료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 5%로 다른 운영체제보다 많은 이용자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많은 사용자의 접근성이 용이한 안드로이드 운영체제를 기반으로 한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프로그램 개발은 안드로이드 스튜디오를 사용하여 개발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온라인기반 음성치료 프로그램인 홈 보이스 트레이너를 개발하여 기존의 오프라인에서 이루어지던 음성치료를 온라인과 연계할 수 있는 온라인기반 음성치료 프로그램을 제시했다는 데 연구의 의의가 있다. 또한 국내 음성치료관련 모바일 콘텐츠 현황분석과 전문가 자문회의, 사용자 수요조사를 통해 음성치료관련 스마트 콘텐츠 개발의 필요성에 대해 확인할 수 있었다.
  • 본 연구는 음성장애 환자들이 가정에서도 꾸준히 음성치료 훈련을 실시할 수 있도록 스마트폰을 기반으로 한 온라인 음성치료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 음성치료 관련 모바일 콘텐츠 분석, 전문가 자문 회의 및 사용자 수요조사를 통해 음성치료프로그램 콘텐츠를 수집하였으며, 온라인 음성치료프로그램인 홈 보이스 트레이너를 개발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온라인기반 음성치료 프로그램인 홈 보이스 트레이너를 개발하여 기존의 오프라인에서 이루어지던 음성치료를 온라인과 연계할 수 있는 온라인기반 음성치료 프로그램을 제시했다는 데 연구의 의의가 있다. 또한 국내 음성치료관련 모바일 콘텐츠 현황분석과 전문가 자문회의, 사용자 수요조사를 통해 음성치료관련 스마트 콘텐츠 개발의 필요성에 대해 확인할 수 있었다.
  • 환자는 본인의 음성훈련 파일을 다시 들을 수 있으며, 클라우드로 제출하는 기능을 추가하였다. 치료사는 클라우드 연동을 통해 환자별로 음성파일을 관리할 수 있으며 환자의 음성파일을 듣고 이에 대한 온라인 음성컨설팅이 가능하도록 개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음성치료는 무엇인가? 음성치료는 환자의 음성문제의 원인을 파악하여 환자에게 적합한 음성을 산출할 수 있도록 음성습관을 변화시키는 것이다. 음성 산출 습관을 변화시키는 것은 환자의 행동변화를 유도하는 것으로 환자의 꾸준한 노력과 연습이 없다면 음성을 개선시키는 데 어려움이 있다.
연구를 통해 확인한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한 중재의 효과는 무엇이 있는가? 이처럼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한 중재가 언어발달장애, 신경 언어장애, 청각 장애 등 다양한 의사소통 장애영역에서 언어능력 개선에 긍정적인 결과가 있었다고 보고되고 있다. 그러나 음성장애분야에서는 음성장애인을 위한 애플리케이션 개발 및 적용 연구가 거의 없는 실정이다.
교육 분야에서 디지털 기술은 어떻게 활용되고 있는가? 가정에서는 인공지능을 활용한 스피커, 사물인터넷 기술을 활용한 홈 제어 시스템 등이 이용되고 있다. 특히 교육 분야에서는 교육과 기술을 접목시킨 에듀테크 기술이 주목받고 있으며 디지털 교과서, 온라인 플랫폼을 기반으로 한 학습관리 등이 활발하게 개발 및 활용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Choi, S. H., & Choi, C. H. (2013). The characteristics of voice handicap index and vocal misuse and overuse in female elementary teachers. Phonetics and Speech Science, 5(4), 53-61. 

  2. Fu, S., Theodoros, D. G., & Ward, E. C. (2015). Delivery of intensive voice therapy for vocal fold nodules via telepractice: A pilot feasibility and efficacy study. Journal of Voice, 29(6), 696-706. 

  3. Go, G., Kwon, Y., Noh, H., Song, K., & Choi, Y. (2017). The effects of speech-language therapy using a smartphone application to improve language ability in patients with aphasia. Journal of Speech & Hearing Disorders, 26(4), 1-10. 

  4. Hosoya, M., Kobayashi, R., Ishii, T., Senarita, M., Kuroda, H., Misawa, H., Tanaka, F., ... & Tsunoda, K. (2018). Vocal hygiene education program reduces surgical interventions for benign vocal fold lesions: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The Laryngoscope, 128(11), 2593-2599. 

  5. Howell, S., Tripoliti, E., & Pring, T. (2009). Delivering the Lee Silverman Voice Treatment (LSVT) by web camera: A feasibility study. The Journal of Language & Communication Disorders, 44(3), 287-300. 

  6. Jang, K. (2018). The effect of a case marker intervention study on case marker (grammar morpheme) expression and spoken length of children with specific language disorders in preschool age by using smartphone application based on IoT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Korea. 

  7. Jeong, P. Y. (2014). Speech-language therapy using apps for a student with cerebral palsy. AAC Research & Practice, 2(1), 119-126. 

  8. Kim, J. S., & Choi, S. H. (2018). Voice problems and self-care practice for vocal health: Current status of Korean speech-language pathologists.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23(2), 414-424. 

  9. Kim, J., Kim, Y., Park, J., Ban, M., Choi, Y. H., Nam, Y., Jung, B. K., & Park, J. W. (2017, Febrary). Evaluation of a smartphone application on vocal rehabilitation in patients with vocal nodules. Proceedings of 7th KIEE (pp. 23-25). 

  10. Korea Communications Commission. (2017). 2017 Share of audience survey. Retrieved from https://kcc.go.kr/ 

  11. Lee, J. Y., Kim, Y. K., You, H. C., & Ko, B. W. (2015b). An analysis of parents' and experts' needs for smart content for speech and language therapy support for people with speech disorders. Journal of Speech & Hearing Disorders, 24(4), 171-182. 

  12. Lee, M. (2017). Effects of language intervention using application based on augmented reality for verbal expressions of language delayed children (Master's thesis), Honam University, Korea. 

  13. Lee, Y., & Lee, S. (2017). Effect of smartphone applications for aural habilitation in cochlear implanted children: Improvement for auditory memory skills. Audiology and Speech Research, 13(2), 176-192. 

  14. Lee, Y., Lee, S., & Sung, M. (2015a). Analysis of mobile application trends for speech and language therapy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in Korea. Phonetics and Speech Science, 7(3), 153-163. 

  15. Manfredi, C., Lebacq, J., Cantarella, G., Schoentgen, J., Orlandi, S., Bandini, A., & DeJonckere, P. H. (2017). Smartphones offer new opportunities in clinical voice research. Journal of Voice, 31(1), 111.e1-111.e7. 

  16. Mehta, D. D., Van Stan, J. H., Zanartu, M., Ghassemi, M., Guttag, J. V., Espinoza, V. M., Cortes, J. P., ... & Hillman, R. E. (2015). Using ambulatory voice monitoring to investigate common voice disorders: Research update. Frontiers in Bioengineering and Biotechnology, 3, 155. 

  17. Mehta, D. D., Zanartu, M., Van Stan, J. H., Feng, S. W., Cheyne, H. A., & Hillman, R. E. (2013, May). Smartphone-based detection of voice disorders by long-term monitoring of neck acceleration features. Proceedings of the 2013 IEE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Body Sensor Networks (pp. 1-6). 

  18. Shin, M., Park, E., Hong, K. H., Lee, J., & Park, H. (2018). A usability testing of a hybrid mobile reading game for children with reading disabilities.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Society, 18(1), 314-326. 

  19. Song, Y. K., & Sim, H. S. (1999). Treatment efficacy of group vocal hygiene education for middle school teachers: Acoustical analysis of voice and self-evaluation of vocal fatigue before and after the education.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4(1), 1-22. 

  20. Tindall, L. R., Huebner, R. A., Stemple, J. C., & Kleinert, H. L. (2008). Videophone-delivered voice therapy: A comparative analysis of outcomes to traditional delivery for adults with Parkinson's disease. Telemedicine and e-Health, 14(10), 1070-1077. 

  21. Van Leer, E., Pfister, R. C., & Zhou, X. (2017). An iOS-based cepstral peak prominence application: Feasibility for patient practice of resonant voice. Journal of Voice, 31(1), 131.e9-131.e16. 

  22. Verde, L., De Pietro, G., Veltri, P., & Sannino, G. (2015, June). An m-health system for the estimation of voice disorders. Proceedings of the 2015 IEE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Multimedia & Expo Workshops (pp. 1-6). 

  23. Yoo, J. Y., & Lee, H. N. (2018). A case study on vocal aerobic treatment voice therapy development and application for classical singers. Journal of Rehabilitation Research, 22(1), 157-168. 

  24. Yun, Y. S., Kim, S. W., Hwan, P. J., Baek, C. H., Jeong, H. S., & Son, Y. I. (2006). Effect of vocal hygiene education in the patients with vocal polyp. Korean Journal of Otorhin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49(7), 728-732.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