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양성성대질환의 웃음 음성치료(SKMVTTⓇ)
Efficacy of laughing voice treatment (SKMVTTⓇ) in benign vocal fold lesions 원문보기

말소리와 음성과학 = Phonetics and speech sciences, v.10 no.4, 2018년, pp.155 - 161  

정대용 (동신대학교 대학원 언어치료학과) ,  위준열 (광주광역시 엔탑이비인후과) ,  김성태 (동신대학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icacy of a multiple voice therapy technique ($SKMVTT^{(R)}$) using laughter for the treatment of various benign vocal fold lesions. To achieve this, 23 female patients diagnosed with vocal nodules, vocal polyp, and muscle tension dysphonia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웃음을 이용한 음성치료기법인 SKMVTT를 양성 성대질환 환자들에게 사용했을 때의 음성개선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치료 전후 음향학적 변수들과 후두소견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 이에 본 연구는 웃음을 이용한 음성치료기법인 SKMVTT를시행한 후 청지각적‧음향학적 검사와 비디오스트로보스코피후두소견을 치료 전과 비교하여 다양한 양성성대질환에서 치료 효과가 있는지 검증해 보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양성성대질환(benign vocal fold lesions)이란? 양성성대질환(benign vocal fold lesions)이란 유두종(papilloma)과 같이 상피에서 발생하는 병변과 성대결절(vocal nodules), 성대폴립(vocal polyp), 성대 내 낭종(intracordal cyst), 만성 후두염 형태의 라인케 부종(Reinke's edema)과 같이 라인케 공간에 생기는 병변 및 육아종(granuloma)과 같이 피열연골막에 영향을 주는 병변으로 분류되며, 주요 증상으로 음성장애를 나타낸다. 양성성대질환은 주로 과기능적 발성(hyperfunctional phonation)으로 인해 발생되며, 음성사용자의 생활습관이나 성격적 요인, 직업 등에 의해서도 발생할 수 있다(Ferrand, 2012).
MTD가 발생 하는 조건은? MTD는 후두 근육의 과도한 긴장으로 인해 근육 활동이 불균형해지면서 발생되는데(Boone & McFarlane, 2013; Van Houtte etal., 2011), 후두의 내부 근육과 성대의 긴장에 영향을 미치므로 음성장애가 발생할 수 있다(Angsuwarangsee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Angsuwarangsee, T., & Morrison, M. (2002). Extrinsic laryngeal muscular tension in patients with voice disorders. Journal of Voice, 16(3), 333-343. 

  2. Boone, D. R., & McFarlane, S. C. (2013). Functional voice disorders. In The voice and the voice therapy (9th edition, pp. 113-133). Boston: Pearson. 

  3. da Cunha Pereira, G., de Oliveira Lemos, I., Gadenz, C. D., & Cassol, M. (2018). Effects of voice therapy on muscle tension dysphonia: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Journal of Voice, 32(5), 546-552. 

  4. Dworkin, J. P., Meleca, R. J., & Abkarian, G. G. (2000). Muscle tension dysphonia. Current Opinion in Otolaryngology & Head and Neck Surgery, 8(3), 169-173. 

  5. Ferrand, C. T. (2012). Voice disorders: Scope of theory and practice (8th edition). Boston: Pearson. 

  6. Jafari, N., Salehi, A., Izadi, F., Moghadam, S. T., Ebadi, A., Dabirmoghadam, P., Faham, M., & Shahbazi, M. (2017). Vocal function exercises for muscle tension dysphonia: Auditoryperceptual evaluation and self-assessment rating. Journal of Voice, 31(4), 506.e25-506.e31. 

  7. Kim, S. T. (2015). Effects of SKLCT $^{(R)}$ for voice improvement in patients with presbyphonia. Phonetics and Speech Sciences, 7(3), 183-191. 

  8. Kim, S. T., & Jeong, O. R. (2004). The effects of SK-MVTT on voice improvement in vocal nodules patients; comparison with accent method. Speech Sciences, 11(4), 101-120. 

  9. Kim, S. T., & Nam, S. Y. (2011). The therapeutic effects of SKTCLP $^{(R)}$ in patients with mutational dysphonia. Phonetics and Speech Sciences, 3(2), 99-105. 

  10. Kim, S. T., Jeong, G. E., Kim, S. Y., Choi, S. H., Lim, G. C., Han, J. H., & Nam, S. Y. (2009). The effect of voice therapy in vocal polyp patients. Phonetics and Speech Sciences, 1(2), 43-49. 

  11. Lee, Y. S., Lee, D. H., Jeong, G. E., Kim, J. W., Roh, J. L., Choi, S. H., Kim, S. Y., & Nam, S. Y. (2017). Treatment efficacy of voice therapy for vocal fold polyps and factors predictive of its efficacy. Journal of Voice, 31(1), 120.e9-120.e13. 

  12. Lowell, S. Y., Kelley, R. T., Colton, R. H., Smith, P. B., & Portnoy, J. E. (2012). Position of the hyoid and larynx in people with muscle tension dysphonia. The Laryngoscope, 122(2), 370-377. 

  13. Lucchini, E., Maccarini, A. R., Bissoni, E., Borragan, M., Agudo, M., Gonzalez, M. J., Romizi, V., Schindler, A., Behlau, M., Murry, T., & Borragan, A. (2018). Voice improvement in patients with functional dysphonia treated with the proprioceptive-elastic (PROEL) method. Journal of Voice, 32(2), 209-215. 

  14. Meyer, M., Zysset, S., Von Carmon, D. Y., & Alter, K. (2005). Distinct fMRI responses to laughter, speech, and sounds along the human peri-sylvian cortex. Cognitive Brain Research, 24(2), 291-306. 

  15. Min, Y. M., Lee, H. K., & Kim, S. T. (2015). The effect of voice therapy in voice disorder patients after thyroid radio frequency ablation. Journal of Speech-Language & Hearing Disorders, 24(4), 267-274. 

  16. Ogawa, M., & Inohara, H. (2018). Is voice therapy effective for the treatment of dysphonic patients with benign vocal fold lesions? Auris Nasus Larynx, 45(4), 661-666. 

  17. Saldias, M., Guzman, M., Miranda, G., & Laukkanen, A. M. (in press). A computerized tomography study of vocal tract setting in hyperfunctional dysphonia and in belting. Journal of Voice. Retrieved from https://doi.org/10.1016/j.jvoice.2018.02.001 on December 1, 2018. 

  18. Salturk, Z., Ozdemir, E., Sari, H., Keten, S., Kumral, T. L., Berkiten, G., Tutar, B., & Uyar, Y. (in press). Assessment of resonant voice therapy in the treatment of vocal fold nodules. Journal of Voice. Retrieved from https://doi.org/10.1016/j.jvoice.2018.04.012 on December 1, 2018. 

  19. Sander, K., & Scheich, H. (2001). Auditory perception of laughing and crying activates human amygdala regardless of attentional state. Cognitive Brain Research, 12(2), 181-198. 

  20. Szameitat, D. P., Darwin, C. J., Szameitat, A. J., Wildgruber, D., & Alter, K. (2011). Formant characteristics of human laughter. Journal of Voice, 25(1), 32-37. 

  21. Titze, I. R., Finnegan, E. M., Laukkanen, A. M., Fuja, M., & Hoffman, H. (2008). Laryngeal muscle activity in giggle: A damped oscillation model. Journal of Voice, 22(6), 644-648. 

  22. Van Houtte, E., Van Lierde, K., & Claeys, S. (2011). Pathophysiology and treatment of muscle tension dysphonia: A review of the current knowledge. Journal of Voice, 25(2), 202-207. 

  23. Yanagisawa, E., Citardi, M. J., & Estill, J. O. (1996). Videoendoscopic analysis of laryngeal function during laughter. Annals of Otology, Rhinology & Laryngology, 105(7), 545-549. 

  24. Zhuge, P., You, H., Wang, H., Zhang, Y., & Du, H. (2016). An analysis of the effects of voice therapy on patients with early vocal fold polyps. Journal of Voice, 30(6), 698-704.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