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일제강점기 달성의생 전석희의 진료기록 연구
A Study on Medical Records of Jeon Suk-hee, Dalseong's Uisaeng of Japanese Occupation 원문보기

한국의사학회지 = the journal of Korean medical history, v.32 no.2, 2019년, pp.71 - 78  

박훈평 (동신대학교 한의과대학 원전의사학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Jeon Suk-hee worked as permanent licensed Uisaeng (medical cadet) in Dalseong the Japanese occupation. The his newly discovered medical records were analyzed for the actual medical aspects of local Uisaeng. This article examined the medical view and treatment method of Jeon Suk-hee through the analy...

주제어

표/그림 (6)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자료의 특성상 특정 지역의 한 개인 의생의 진료 실제만을 반영한다는 한계가 있다. 그러나 일제강점기 의생들의 일차 자료가 더욱 많이 발굴되어 의생에 대한 연구와 담론이 더욱 활발해지기를 기대하며, 새로 발굴된 의생 진료부를 본고를 통하여 소개하는 바이다.
  • 그동안의 선행연구가 중앙 제도권 내에서 활발한 활동을 하거나 학술서적을 남긴 의생들에 집중되었기에 다수를 차지하는 평범한 지방 의생들의 모습을 살필 수 있는 자료와 그에 대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부족하였다. 본고를 통해 전석희의 진료부를 분석하여 그의 의학관, 치료법 등을 고찰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서울 지역에서 활동했던 영년의생 김영훈의 진료부를 보면 病名, 發病, 病因, 住所, 姓名, 年(연령), 處方, 職業으로 구성되어있다.12) 현재 알려진 영년의생 진료부는 3명에 불과한데 각자 자신만의 진료부 양식을 만들었으나 큰 차이는 없다.
  • 둘째, 상한론의 영향이 거의 없다. ‘상한’ 전통이 약했던 조선의학의 일면을 엿볼 수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일제강점기 달성에서 영년 의생으로 활동한 全錫熺의 진료부를 통해 그의 의학관, 치료법을 고찰하여 안 사실은? 첫째, 한의학적 상병분류와 치료법을 중심으로 진료하였다. 이는 청강 김영훈의 사례와 함께 영년의생이 일제강점기에 한의학을 전통대로 보존했다는 예시가 된다.  둘째, 『상한론』의 영향이 거의 없다. ‘상한’ 전통이 약했던 조선의학의 일면을 엿볼 수 있다. 유행성감모에 활용된加味大柴胡湯 1례를 제외하면 傷寒方의 활용이 없다. 상한방을 사용할만한 전체의 31.81%에 달하는 감기 처방 중에도 『상한론』출전 처방이 전무하다.  셋째, 한의서의 기존처방을 단순하게 답습하지 않았다. 기존처방에서 찾을 수 없는 淸神散과 正眞湯을 감기와 인복통에 빈용한 것이 그 예이다. 
일제강점기 한의학 종사자의 지위는 醫生規則으로 인해 어떻게 바뀌었나? 일제강점기 한의학 종사자들은 1913년 공포된 醫生規則에 의해 “醫士”에서 “醫生”으로 지위가 격하되었으며, 1914년 규칙 시행 당시 한시적으로 주어졌던 永年醫生면허와 이후에 발급되었던 限年醫生면허에 의하여 겨우 제도권 내에서 한의학이 유지되었다. 
1914년 의생 규칙 시행 이후 일제강점기 한의학 종사자에게 주어졌던 면허는 무엇인가? 일제강점기 한의학 종사자들은 1913년 공포된 醫生規則에 의해 “醫士”에서 “醫生”으로 지위가 격하되었으며, 1914년 규칙 시행 당시 한시적으로 주어졌던 永年醫生면허와 이후에 발급되었던 限年醫生면허에 의하여 겨우 제도권 내에서 한의학이 유지되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구현희. 일제강점기 임상한의서 제세보감 연구. 한국의사학회지. 2016;29(2):35-47. 

  2. 김단희, 김남일. 의방신감에 나타난 한병련 의학사상. 한국의사학회지. 2009;22(1):31-46. 

  3. 김단희, 김남일, 차웅석, 안상우. 한병련의 의방신감과 일제강점기 전염병에 대한 인식. 한국한의학연구원논문집. 2008;14(3):173-187. 

  4. 김동율, 정지훈, 차웅석. 청강 김영훈의 거서화중탕 임상활용에 대한 연구. 한국의사학회지. 2015;28(1):143-158. 

  5. 김동율. 청강 김영훈의 진료기록 분석 연구. 경희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6. 

  6. 김혜일, 정창현, 장우창, 백유상. 조선통신사 의학필담록 내용 분석.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 2015;28(4):202-203. 

  7. 박지현. 한말 식민지기 유교 지식인 해악 김광진의 도시 이주와 의생 활동 그리고 지적 전환. 동아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6. 

  8. 박지현. 식민지기 의생 제도와 정책의 운영. 대동문화 연구. 2019;106:317-343. 

  9. 박지현. 유교 지식인 해악 김광진의 의생 활동과 그 의미. 역사학보. 2016;229:157-185. 

  10. 박훈평. 일제강점기 영년의생 연구. 한국의사학회지. 2016;29(1):33-45. 

  11. 박훈평. 일제강점기 의생 총목록 1. 대전:한국한의학연구원. 2017. 

  12. 신동원. 1910년대 일제의 보건의료 정책. 한국문화. 2002;30:333-370. 

  13. 신동원. 조선총독부의 한의학 정책: 1930년대 이후의 변화를 중심으로. 의사학. 2003;12(2):110-128. 

  14. 오재근. 대구 의생 김광진의 동서의학 절충 그리고 한의학 혁신.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 2019;29(2):91-119. 

  15. 오재근. 일제시대 의생 김광진의 황달 투병기. 의사학. 2019;28(2):427-468. 

  16. 오준호. 청강의감의 구성과 내용. 한국의사학회지. 2014;27(2):63-74. 

  17. 오준호, 박상영. 해남의 유의 조택승 조병후 부자 연구. 호남문화연구. 2012;52:137-163. 

  18. 이정희. 일제강점기 대구의 제사업과 여성노동자의 실태. 민족문화논총. 2016;64:59-84. 

  19. 정지훈. 일금방에 보이는 온보학설. 한국의사학회지. 2002;15(1):183-190. 

  20. 정지훈. 청낭결에 관한 연구. 한국의사학회지. 2003;16(1):213-222. 

  21. 정형우, 윤병태. 한국책판목록 총람. 성남: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79. 

  22. 차웅석. 수진경험신방 연구. 한국한의학연구원논문집. 2008;14(3):31-39. 

  23. 차웅석. 청강 김영훈 진료기록 복원 연구. 동의생리병리학회지. 2008;22(1):1-12. 

  24. 차웅석. 청강진료부 자료현황 연구. 대한한의학회지. 2004;25(2):119-126. 

  25. 황영원. 일제하 조선 한의계와 한의학의 식민지 근대.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9. 

  26. 국립중앙도서관. 조선총독부 관보활용시스템(http://gb.nl.go.kr) 

  27. 대구광역시 달성군청. 달성군 가창면 읍면소개(http://www.dalseong.daegu.kr/new/town/gachang) 

  28. 옥산전씨대종회 인터넷족보(http://www.yesjokbo.co.kr/jokboroot) 

  29. 특허청. 한국전통의학지식포털(http://www.koreantk.com) 

  30.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역대인물종합정보DB(http://people.aks.ac.kr) 

  31. 한옥션(http://www.zhon.hanauction.com)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