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쇼핑 웹사이트 탐색 유형과 방문 패턴 분석
Analysis of shopping website visit types and shopping pattern 원문보기

지능정보연구 = Journal of intelligence and information systems, v.25 no.1, 2019년, pp.85 - 107  

최경빈 (한양대학교 일반대학원 비즈니스인포매틱스학과) ,  남기환 (KAIST 경영대학원 경영공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온라인 소비자는 쇼핑 웹사이트에서 특정 제품군이나 브랜드에 속한 제품들을 둘러보고 구매를 진행할 수 있고, 혹은 단순히 넓은 범위의 탐색 반경을 보이며 여러 페이지들을 돌아보다 구매를 진행하지 않고 이탈할 수 있다. 이러한 온라인 소비자의 행동과 구매에 관련된 연구는 꾸준히 진행되어왔으며, 실무에서도 소비자들의 행동 데이터를 바탕으로 한 서비스 및 어플리케이션이 개발되고 있다. 최근에는 빅데이터 기술의 발달로 소비자 개인 단위의 맞춤화 전략 및 추천 시스템이 활용되고 있으며 사용자의 쇼핑 경험을 최적화하기 위한 시도가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은 시도에도 온라인 소비자가 실제로 웹사이트를 방문해 제품 구매 단계까지 전환될 확률은 매우 낮은 실정이다. 이는 온라인 소비자들이 단지 제품 구매를 위해 웹사이트를 방문하는 것이 아니라 그들의 쇼핑 동기 및 목적에 따라 웹사이트를 다르게 활용하고 탐색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단지 구매가 진행되는 방문 외에도 다양한 방문 형태를 분석하는 것은 온라인 소비자들의 행동을 이해하는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에서는 온라인 소비자의 탐색 행동의 다양성과 복잡성을 설명하기 위해 실제 E-commerce 기업의 클릭스트림 데이터를 기반으로 세션 단위의 클러스터링 분석을 진행해 탐색 행동을 유형화하였다. 이를 통해 각 유형별로 상세 단위의 탐색 행동과 구매 여부가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소비자 개인이 여러 방문에 걸친 일련의 탐색 유형에 대한 패턴을 분석하기 위해 순차 패턴 마이닝 기법을 활용하였으며, 같은 기간 내에 제품 구매까지 완료한 소비자와 구매를 진행하지 않은 채 방문만 진행한 소비자들의 탐색패턴에 대한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대규모의 클릭스트림 데이터를 활용해 온라인 소비자의 탐색 유형을 분석하고 이에 대한 패턴을 분석해 구매 과정 상의 행동을 데이터 기반으로 설명하였다는 점에 있다. 또한 온라인 소매 기업은 다양한 형태의 탐색 유형에 맞는 마케팅 전략 및 추천을 통해 구매 전환 개선을 시도할 수 있으며, 소비자의 탐색 패턴의 변화를 통해 전략의 효과를 평가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nline consumers browse products belonging to a particular product line or brand for purchase, or simply leave a wide range of navigation without making purchase. The research on the behavior and purchase of online consumers has been steadily progressed, and related services and applications based o...

주제어

표/그림 (11)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결론적으로, 온라인 쇼핑을 진행하는 소비자들은 개인의 구매 의사결정의 단계, 제품의 특성에 따른 불확실성, 쇼핑을 진행하게 만드는 목적 및 동기에 따라 웹 사이트 내에서의 탐색 행동이 다르게 나타나며, 이는 다시 여러가지의 유형들로 설명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소비자들의 다양한 쇼핑 상황 및 구매 결정 단계를 고려할 수 있는 대규모의 클릭스트림 데이터를 분석함으로써 기존 연구에서 밝혀진 탐색 유형들과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실제 온라인 쇼핑 유저들의 대규모 클릭스트림 데이터를 기반으로 그들의 다양한 탐색 행동을 유형화하고 해당 유형들의 순차적 패턴을 도출함으로써 복잡하고 다양한 온라인 소비자의 행동을 이해하기 위한 분석을 진행하였다
  • 이는 곧 구매를 하기 전까지 대안을 설정하기 위한 정보 수집, 대안의 평가 등의 행동이 여러 번의 방문을 통해 진행될 수 있다는 점을 의미한다. 클러스터링 분석을 통해 도출된 유형은 소비자의 방문 목적과 행동을 설명할 수 있기 때문에 이를 활용하여, 구매를 결정한 소비자 집단의 방문 패턴과 단순히 탐색만 진행하고 이탈한 소비자 집단의 방문 패턴 간의 차이를 분석하여 구매의사결정 과정 상에 다른 단계에 있는 소비자들의 이질적인 행동을 파악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각 유형들의 비율만을 분석하기 보다는 여러 방문 유형의 순서 조합을 도출할 수 있는 순차 패턴 마이닝 기법을 활용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소비자들이 이전에 탐색한 제품들을 온라인 쇼핑 카트에 넣어 구매 진행의 편의를 높이는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실제 카트에 담긴 채 구매까지 진행되지 않는 비율이 70%가 넘는다고 한다. 이는 무엇을 의미하는가? 또한 소비자는 이전에 탐색한 제품들을 온라인 쇼핑 카트에 넣어 구매 진행의 편의를 높일 수 있지만(Kukar-Kinney and Close, 2010), 실제로 카트에 담긴 채 구매까지 진행되지 않는 비율은 70%가 넘는다(Statista, 2018). 이는 곧, 데이터와 IT의 활용을 통해 웹사이트로 소비자들을 유입시키는 여러 노력에도 불구하고 실제로 구매로 이어지는 확률은 상대적으로 매우 낮다는 것을 의미한다. 실제로 온라인 소비자들은 제품 구매를 목적으로 하는 것이 아닌 여러 동기와 목적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웹사이트를 탐색할 수 있으며, 이러한 여러 형태의 행동을 이해하기 위한 선행 연구들이 진행되어 왔다(Moe, 2003, 2006; Montgomery et al.
많은 기업들이 소비자의 구매를 유도하기 위하여 관련 데이터를 활용한 어플리케이션 및 서비스를 응용하고 있는데, 이에 대하여 대표적인 것은 무엇이 있는가? 이와 같은 데이터는 소비자의 쇼핑 경험을 설명하기 때문에 많은 기업들은 소비자의 구매를 유도하기 위해 관련 데이터를 활용한 어플리케이션 및 서비스를 응용하고 있으며 활발하게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대표적으로 웹 사이트의 콘텐츠 개인화(Eirinaki and Vazirgiannis, 2003; Hong and Tam, 2006), 추천 시스템(Huang et al., 2006; Lu et al., 2015; Lee, 2018), 광고 최적화(Goh et al., 2015; Bae and Park., 2018) 등이 활용되고 있다.
정보 처리이론의 관점에서 소비자의 의사 결정 과정은 어떻게 구분되는가?  특히 정보 처리 이론은 소비자의 행동 모델 소비자 행동에 관련된 모델을 구성하는데 가장 중요한 요인을 포함하고 있다. [Figure 1]에서 알 수 있듯이, 소비자의 의사 결정 과정은 정보 처리이론의 관점에서 문제/니즈의 인지, 정보 탐색, 대안 평가 및 선택, 구매, 구매 후 행동의 다섯 단계로 구분이 가능하다. 물리적 매장에서의 쇼핑을 하는 소비자의 행동을 설명하지만, 온라인 소비자의 행동을 설명하기 위한 연구에서도 기존의 소비자 구매 의사결정 과정이 적용되었다(Kukar-Kinney and Close, 2010; Jansen and Schuster, 2011; Karimi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