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액상화 재해지도를 이용한 수도권 전력구 매설지반의 지진시 위험도 평가
Seismic Risk Assessment on Buried Electric Power Tunnels with the Use of Liquefaction Hazard Map in Metropolitan Areas 원문보기

한국방재안전학회논문집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isaster and Security, v.12 no.1, 2019년, pp.45 - 56  

백우현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토목공학과) ,  최재순 (서경대학교 토목건축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수도권 지역의 전력구 매설지반을 대상으로 지진 재현주기 1,000년을 고려한 최대기반암가속도 0.154g로 설정하여 지진시 위험을 평가하였다. 이때, 지진시 위험도 평가는 총 3단계로 진행하였으며 1단계는 대상지역의 지반조사 정보를 기초로 지반분류를 우선 실시한 후, 액상화 발생가능성을 파악할 수 있는 Macro영역 기법인 지반증폭계수를 이용한 액상화 발생가능지수(LPI, Liquefaction Potential Index) 재해지도를 이용하여 후보지를 선정한다. 2단계 위험도 평가는 1단계 평가에서 액상화 발생가능성이 매우 높게 판정된 전력구 주변의 시추주상도를 바탕으로 부지특성을 반영한 지진응답해석을 수행하고 이를 토대로 액상화 발생가능성 지수를 재산정하여 지진시 액상화 위험도를 상세평가 하였다. 3단계는 시추공자료를 기반으로 하는 한계성을 보완하기 위하여 2단계에서 액상화 발생가능성이 높게 평가된 대상 전력구의 현장조사를 실시하여 건설시 보강공법적용, 내진설계적용 및 현장상태 등을 고려하여 최종적으로 액상화 위험도를 평가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the seismic risk has been evaluated by setting the bedrock acceleration to 0.154g which, was taking into consideration that the earthquake return period for the buried electric power tunnels in the metropolitan area to be 1,000 years. In this case, the risk assessment during the earth...

주제어

표/그림 (11)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러한 방법은 빅데이터의 정보를 처리해야 하는 광역지역에 적용하기에 편리한 반면, 실제 지반 내 지층에 따른 증폭특성을 정확하게 반영하는 데에는 다소 신뢰성이 떨어진다. 따라서, 실제 지반의 정보를 충분히 반영하여 지진시 액상화와 같은 동적거동 특성을 분석하는 경우에는 지반의 지진시 증폭현상을 반영하기 위한 지진응답해석이 필요하며 이를 토대로 액상화 발생 여부를 파악하였다. Step 2의 액상화재해도를 분석을 통하여 Fig.
  • 본 연구는 수도권지역에 매설된 전력구 시설을 대상으로 광범위한 지진시 위험도를 평가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단계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첫 번째 단계는 수도권(서울, 인천, 경기)지역의 지반조사 정보와 시추주상도를 우선적으로 수집하고 필 요한 지반조사 정보를 필터링하고, 전력구의 위치정보가 포함된 전력구 자료를 수집한다.
  • 본 연구는 액상화재해도를 이용한 예비평가를 우선적으로 수행하였다. 이때 광범위한 지반조사 자료로 서울, 인천, 경기도로 대상지역을 나누어 평가하였으며 예비평가로 선정된 위험지역은 인천 7개 전력구, 서울 2개 전력구, 경기 4개 전력구로 파악되었으며 Fig.
  • 상수도 보급률, 전력보급률, 도시철도 보급률 등 사회 기반시설의 비중이 수도권에 집중되어 있다. 본 연구는 중요한 사회기반시설 중 하나인 전력구를 중심으로 수도권지역의 지진시 위험도를 평가하고자 하며 대상지역은 Fig. 1과 같다.
  • , 2018). 하지만 대상지역의 전력구의 내진공법적용 여부 및 보강공법 적용 등 현장상태가 제외된 연구결과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사항을 보완하여 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리나라 내진설계기준의 문제점은? 우리나라의 경우, 국토부가 중심으로 내진설계기준이 1,997년에 제정되어 그 이전에 건설된 시설물의 경우 내진설계기준 이 반영되지 못한 건물이 다수 존재하며 특히, 지하 구조물 내진설계기준은 2,000년 초반 철도, 상수도, 전력구 등의 내진설 계기준의 제정되어 내진설계기준을 적용하지 못한 기존시설물이 다수 존재하고 있다.
액상화 현상이란? 지진의 안전지 대라 여겨진 한반도에서의 예상 밖 규모의 지진 발생 후, 국내 지진연구자들뿐만 아니라 국민들까지도 지진으로 인한 피해에 관심이 집중되었으며, 특히, 포항지진으로 액상화 의심지역이 발생하며 지반의 액상화 현상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국토가 협소하여 해안지역을 개간한 매립지가 많은 국내의 경우, 강한 진동으로 인해 흙 내부에 과잉간극수압이 발생하여 흙 이 보유한 저항능력 상실로 마치 액체처럼 거동하는 액상화 현상에 대한 대책마련 및 국가적 차원의 액상화재해도 및 지진해 도 제작이 시급한 사항이다.
상수도시설 내진현황 분석 결과로 서울시의 조치는? com/songok4740). 이러한 실정을 반영하여 서울시는 2,020년까지 내진율 61.4%인 서울시 공공시설물 을 80.2%로 끌어올리기 위해 3년간 총 2,819억원을 투입하는 서울시 지진안전종합대책을 보도한 바 있다(서울시. 보도자료.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Baek, W. H. (2014). Development of Real-Time Liquefaction Hazard map using Metropolitan area site information data. University of Seokyeong. Seoul. Korea.(in Korean) 

  2. Baek, W. H., Choi, J. S., and Ahn, J. K. (2018). Liquefaction Hazard Map in Pohang Based on Earthquake Scenarios. Journal of Earthquake Engineering Society in Korea. 22(3): 219-224. (in Korean) 

  3. Choi, J. S., Park, I. J., Hwang, K. M., and Jang, J. B. (2018). A Study on Seismic liquefaction risk map of Electric power utility tunnel in South-East Korea. Journal of the Korean Geo-Environmental Society. 19(10): 13-19. (in Korean) 

  4. Cho, J. Y., Lee, J. H., Park, Y. B., and Lee, J. B. (2015). Frame for the implementation of a program developed based on the improved seismic performance evaluation techniques of existing structure. Architecture Institute of Korea, Fall conference of the Architecture Institute of Korea. 35: 517-518. (in Korean) 

  5. European Committee for Standardization. (1998). Eurocode8, Report, European Committee for Standardization. Brussels. Belgium. pp. 33-35. 

  6. Her, J. H. and Kim. J. H. (2011). Some Thoughts on the seismic performance evaluation procedure of urban railway infrastructures. Korean Society for Railway. KSR2018F002, pp.1539-1543. (in Korean) 

  7. Idriss, I. M. and Sun, J. I. (1997). User's Manual for SHAKE91, Center for Geotechnical Modeling Department of Civil & Environment Engineering University of California. Davis. C.A. pp. 1-11. 

  8. Iwasaki, T., Tatsuoka, K., Tokida, F., and Yasuda, S. (1978a). A Practical Method for Assessing Soil Liquefaction Potential Based on Case Studies at Various Sites in Japan. Proceedings of 2nd International Conference on Microzonation. National Science Foundation UNESCO. San Francisco. C.A. 2: 885-896. 

  9. Iwasaki, T., Tokida, K., Tatsuoka, F., Watanabe, S., Yasuda S., and Sato, H. (1982). Microzonation for soil liquefaction potential using simplified methods. Proceedings of 3rd International Conference on Microzonation. Seattle. pp.1319-1330. 

  10. Korean Electric Power Cooperation, (2003), Seismic Design Guideline for Electric Power Facilities. (in Korean) 

  11. Ku, T. J. (2010). Development of Mapping of Liquefaction Hazard Considering Various Ground Condition in Korea. Master's thesis. Seokyeong University. pp. 38-48. (in Korean) 

  12. Kwak, C. W. (2001). A Study on the Liquefaction Hazard Micro zonation at Reclaimed Ports and Harbors in Koera.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pp. 20-81 (in Korean) 

  13. Kwak, M. C., Ku, T. J., and Choi, J. S.(2015), Development of Mapping Method for Liquefaction Hazard in Moderate Seismic Region Considering the Uncertainty of Big Site Investigation Data. J. of the Korean Geo-Environmental Society. 16(1): 17-28. (in Korean) 

  14. Linda, A. A. and Abrahamson, N. (2010). An improved method for nonstationary spectral matching. Earthquake Spectra 26(3): 601-617. 

  15. Ministry of Construction & Transportation and Earthquake Engineer Society of Korea. (1997). Seismic Design Standard (II). (in Korean) 

  16. 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 & Korea Infrastructure Safety Corporation. (2013). Assessment of existing facilities seismic performance. (in Korean) 

  17. Park, D. H., Kwak, D. Y., Jeong, C. G., and Park, T. H. (2012). Development of Probabilistic Seismic Site Coefficients of Korea. Soil Dynamics and Earthquake Engineering. 43: 247-260. (in Korean) 

  18. Press Releases. (2017.10). https://blog.naver.com/songok4740. (in Korean) 

  19. Press Releases. (2018.04). http://www.dailyt.co.kr/news/articleView.html?idxno25997. (in Korean) 

  20. Seed, H. B. and Idriss, I. M. (1971). Simplified procedure for evaluating soil liquefaction potential. Journal of the Soil Mechanics and Foundations Division. 97(9), 1249-1273. 

  21. Seed, H. B., Martin, P. P., and Lysmer, J. (1975). The generation and dissipation of pore water pressures during soil liquefaction. EERC 75-29. California. 

  22. Sun, C. K. (2010), Suggestion of Additional Criteria for Site Categorization in Korea by Quantifying Regional Specific Characteristics on Seismic Respons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arth and Exploration Geophysicists. KSEG. 13(3): 203-218. (in Korean) 

  23. Sun, C. K., Jeong, C. K., and Kim, D. S. (2005). A Proposition of Site Coefficients and Site Classification System for Design Ground Motions at Inland of the Korean Peninsula. Journal of Korean Geotechnical Society. KGS. 21(6): 101-115. (in Korean) 

  24. Yoon, J. K., Kim, D. S., and You, J. N. (2003). Evaluations of Velocity Response Spectrum of Seismic Base and Response Displacement for the seismic Design of Underground Structures. Journal of Korean Geotechnical Society. 19(4): 211-221. (in Korean)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