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포항지진 액상화 현상 분석을 통한 국내 액상화 평가 기준의 개정 타당성 검토
Feasibility Study for Revision of Domestic Liquefaction Evaluation Criteria by Analyzing the Liquefaction Phenomenon Caused by the Pohang Earthquake 원문보기

韓國地盤工學會論文集 = Journal of the Korean geotechnical society, v.36 no.4, 2020년, pp.17 - 30  

하익수 (경남대학교 토목공학과) ,  오이태 (경남대학교 토목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2017년 포항지진 시 액상화가 관측되었거나 액상화 가능성이 높은 부지 5곳에 대하여, 국내에서 통상적으로 적용해 왔던 액상화 평가 기준과 최근 개정된 평가 기준을 적용하여 액상화 평가를 실시하고, 이러한 이론적인 액상화 평가 결과와 대상 부지에서의 실제 액상화 발현여부를 비교·검토함으로써, 개정된 액상화 평가 기준의 타당성을 검토하는 데에 있다. 액상화 평가를 위한 해석지진은 기존 국내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해 온 지진파와 포항 실지진파를 사용하였고, 해석지진의 최대지반가속도 크기는 0.097g~0.2713g 범위의 값을 적용하였다. 해석결과로부터, 기존 국내에서 통상적으로 적용해 왔던 구조물기초설계기준(2016)에 제시된 액상화 평가 기준의 개선점을 제시하고, 2018년에 개정된 내진설계일반에 제시된 액상화평가 기준의 기존 기준대비 개정 사항의 상대적 타당성을 평가해 보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liquefaction evaluation was performed by applying liquefaction evaluation criteria commonly applied in Korea and recently revised evaluation criteria to five sites where liquefaction was observed or potential for liquefaction was high during the 2017 Pohang earthquake. The purpose of ...

주제어

표/그림 (16)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실제 설계개념에서 포항지역에 대한 액상화를 평가한다고 한다면, 내진설계기준에 제시된 PGA 수준의 지진에 대하여 액상화를 평가하게 된다. 그러므로 본 절에서는 포항지진이 발생하고 또한 지진 시 액상화 현상이 발현되었다는 사실은 전혀 인지하지 못한다고 가정하고, 기존의 기준에 따라 포항지역에 대한 액상화 평가를 실시한다고 할 때, 국내 내진설계기준에 제시된 PGA 수준의 지진에 대한 기존 기준과 개정된 기준에서 제시하는 방법에 의한 액상화 평가를 수행하고, 평가 결과의 실제 부지의 액상화 발현 여부와의 간접적인 비교를 통해서 기존 기준과 개정된 기준의 상대적 타당성을 검토해 보았다.
  • 본 연구에서는 2017년 포항지진 시 액상화가 관측되었거나 액상화 가능성이 높은 부지 5곳에 대하여, 국내에서 통상적으로 적용해 왔던 구조물기초설계기준(2016)과 최근 개정된 기초내진설계기준(2018)에서 제시하는 액상화 평가 방법과 기준을 적용하여 액상화 평가를 실시하고, 이러한 이론적인 액상화 평가 결과와 대상 부지에서의 실제 액상화 발현여부를 비교・검토함으로써, 개정된 국내 액상화 평가 기준의 개정 타당성을 검토해 보았다. 연구결과로부터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 본 연구에서는 대상 부지 해석 지진파에 대해 다양한 최대지반가속도(PGA)를 설정하고, 이에 대하여 기존 국내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구조물기초설계기준(2016)과 최근 개정된 내진설계일반(2018)에서 제시하는 기준을 적용한 액상화 평가를 수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내진설계기준에 따라 내진 II등급과 내진 I등급 붕괴방지수준에 각각 상응하는 PGA 0.
  • 2017년 포항지진 시 발현된 액상화 현상에 대한 검토는 이러한 통용되어 온 기존 액상화 평가 기준(구조물 기초설계기준)의 타당성을 검토하고, 새로이 개정된 평가기준의 개정 사항에 대한 적합성을 확인할 수 있는 더없이 좋은 기회를 제공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2017년 포항지진 시 액상화가 관측되었거나 액상화 가능성이 높은 부지 5곳에 대하여, 국내에서 통상적으로 적용해 왔던 액상화 평가 기준과 최근 개정된 평가 기준을 적용하여 액상화 평가를 실시하고, 이러한 이론적인 액상화 평가 결과와 대상 부지에서의 실제 액상화 발현여부를 비교・검토함으로써, 개정된 액상화 평가 기준의 타당성을 검토하는 데에 있다. 액상화 평가를 위한 해석 지진은 기존 국내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해 온 지진파와 포항 실지진파를 사용하였고, 해석지진의 최대지반가속도 크기는 0.
  • 2713g 범위의 값을 적용하였다. 해석결과로부터 기존 구조물기초설계기준(2016)에 제시된 액상화 평가 기준의 개선점을 제시하고, 2018년에 개정된 내진설계일반에 제시된 액상화평가 기준의 기존 기준대비 개정 사항의 상대적 타당성을 평가해 보고자 한다.

가설 설정

  • 2절에서와 같이 예측할 수 없는 해당 규모를 설정해서 액상화를 평가하지는 않는다. 3.2절에서는 포항지진과 동일한 규모의 M 5.4 지진 시 진앙지에서 발생할 만한 수준의 PGA를 갖는 지진과 비교적 큰 값으로 판단되는 PGA 수준(0.2713g)의 실제 계측된 포항지진파를 입력지진으로 가정한 해석을 수행한 것이다. 실제 설계개념에서 포항지역에 대한 액상화를 평가한다고 한다면, 내진설계기준에 제시된 PGA 수준의 지진에 대하여 액상화를 평가하게 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국내 액상화 평가 기준의 변경사항은? 국내 액상화 평가 기준은 ‘항만 및 어항시설의 내진 설계표준서(MOF, 1999)’에 거의 최초로 기술된 이후, 시설물별 특성을 반영한 약간의 차이와 다소의 변경이 있었지만, 구조물기초설계기준(MOLIT, 2016)에 기술된 액상화 평가 기준(Fig. 1의 (a) 참조)과 같이 그 주요 내용은 현재까지 그대로 유지되어 왔다. 이러한 국내 액상화 평가 기준이 근 20여 년간 통용되어 왔음에도 불구하고, 평가 기준의 적합성 검토에 관한 연구는 거의 없었고, 상기에 제시된 국내 연구사례들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포항지진 시 액상화 현상이 발현된 이후에도 이와 관련된 연구는 거의 진행되지 않았다.
개정된 내진설계일반에서 액상화 상세평가를 제외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기존 구조물기초설계기준에는 액상화 상세평가를 위한 CRR을 실내반복시험 결과로부터 산정하도록 제시되어 있다. 이러한 실내반복시험을 이용한 CRR 산정을 위해서는 교란되지 않는 현장 시료 채취가 중요한데, 이는 현재 대부분의 현장 여건에서는 거의 불가능한 사항이므로, 개정된 내진설계일반의 액상화 본평가에서 이러한 실내반복시험에 기반을 둔 상세평가 단계를 제외하고, 현장시험 결과를 바탕으로 CRR을 산정하는 간편평가만을 본평가로 변경하여 액상화 평가를 수행하도록 제시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 상세평가 결과는 제한된 수량의 교란된 재성형 시료에 대하여, 반복삼축압축시험 결과로 산정한 CRR을 이용하는 통상적인 절차나 방법으로 도출한 것이므로, 실내반복시험의 필요성과 정확성을 언급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액상화란 무엇인가? 액상화(liquefaction) 현상은 지반이 전단강도를 잃고 마치 물처럼 거동하는 현상으로, 포항지진 이전까지는 국외에서 발생한 사례를 통해 간접적으로만 경험할 수 있었다. 1964년에 일본의 Niigata 지진과 미국의 Good Friday 지진 시 액상화 현상이 발생하였고, 액상화로 인한 라이프라인 시설들의 막대한 손상이 발생되었는데, 이를 계기로 액상화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시작되게 되었다(Schnabel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Ahn, J. K., Baek, W. H., Choi, J. S., and Kwak, D. Y. (2018), "Investigation of Pohang Earthquake Liquefaction Using 1D Effective-Stress Site Response Analysis", Journal of the Korean Geotechnical Society, Vol.34, No.8, pp.37-49. 

  2. Choi, Y. J. and Hong Y. G. (2017), "A Study on Direction of Construction for Earthquake Disaster Information System in Daegu Based on GIS", Daegu Gyungbok Development Institute, pp.3-4. 

  3. Choi, J. S., Park, I. J., Hwang, K., and Jang, J. (2018), "A Study on Seismic Liquefaction Risk Map of Electric Power Utility Tunnel in South-East Korea", Journal of the Korean Geo-environmental Society, Vol.19, No.10, pp.13-19. 

  4. EESK (2019), Manual of Seismic Design General (KDS 17 10 00 : 2018), Earthquake Engineering Society of Korea, Goomibook, pp.72-75. 

  5. Gutenberg, B. and Richter, C. F. (1956), "Earthquake Magnitude, Intensity, Energy, and Acceleration: (Second paper)", Bulletin of the seismological society of America, Vol.46, No.2, pp.105-145. 

  6. Han, S.M., Park, E.H., Ham, I.K., Park, S.C, Jeon, Y.S., Jo, E.Y., and Lee, C.W., "Technical Report for the Observation Environment of the Korean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Seismic Observatory", National Institute of Meteorological Sciences, NIMR-TN-2014-007, pp.54. 

  7. Idriss, I. M. (1990), "Response of Soft Soil Sites during Earthquakes", In Proceedings of HB Seed Memorial Symp., Vol.2, pp.273-289. 

  8. Idriss, I. M. and Sun, J. I. (1993), User's manual for SHAKE91: a computer program for conducting equivalent linear seismic response analyses of horizontally layered soil deposits, http://nisee.berkeley.edu/elibrary/getpkg?idSHAKE91 

  9. Iwasaki, T. (1978), "A Practical Method for Assessing Soil Liqufaction Potential based on Case Studies at various Sites in Japan", In Proceedings of Second Int. Conf., Microzonation Safer Construction Research Application, Vol.2, pp.885-896. 

  10. KGS (2018), Manual of Foundation Design Criteria, Korean Geotechnical Society, pp.826-837. 

  11. Kim, D. K. (2013), Dynamics of Structure, Goomibook, pp.413-414. 

  12. KMA (2019), 2018 Earthquake Annual Report,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pp.1-10. 

  13. Liao, S. S. and Whitman, R. V. (1986), "Overburden Correction Factors for SPT in Sand", Journal of Geotechnical engineering, Vol.112, No.3, pp.373-377. 

  14. MOF (1999), Standard of Seismic Design for Fishing Port and Harbor Facilities,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 

  15. MOLIT (2016), Foundation Design Criteria,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16. MOLIT (2018), Seismic Design General, KDS 17 10 00:2018,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17. Mun, G. Y. (2018), A Study on the Effect of Relative Density and Particle Size Distribution on the Liquefaction Resistance Strength of Sand in Pohang Liquefaction Region, Master's thesis, Pusan National University, pp.66-68. 

  18. NDMI (2017), The investigated result of liquefaction due to Pohang earthquake (2017.11.15.), National Disaster Management Research Institute. 

  19. Nuttli, O. W. and Herrmann, R. B. (1978), State-of-the-Art for Assessing Earthquake Hazards in the United States : Report 12, U.S. Army Engineer Waterways Experiment Station. 

  20. Park, S. S., Nong, Z., Choi, S. G., and Moon, H. D. (2018), "Liquefaction Resistance of Pohang Sand", Journal of the Korean Geotechnical Society, Vol.34, No.9, pp.5-17. 

  21. Schnabel, P. B. and Seed, H. B. (1973), "Accelerations in Rock for Earthquakes in the Western United States", Bulletin of the Seismological Society of America, Vol.63, No.2, pp.501-516. 

  22. Schnabel, P. B., Lysmer, K., and Seed, H. B. (1972), SHAKE: A computer program for earthquake response analysis of horizontally layered sites, EERC Report 72-12, University of California, Berkeley. 

  23. Seed, H. B. and Idriss, I. M. (1971), "Simplified Procedure for Evaluating Soil Liquefaction Potential", Journal of Soil Mechanics and Foundations Division, Vol.97, No.9, pp.1249-1273. 

  24. Seed, H. B., Ugas, C., and Lysmer, J. (1976), "Site-dependent Spectra for Earthquake-resistant Design", Bulletin of the Seismological society of America, Vol.66, No.1, pp.221-243. 

  25. Trifunac, M. D. and Brady, A. G. (1975), "On Correlation of Seismoscope Response with Earthquake Magnitude and Modified Mercalli Intensity", Bulletin of the Seismological Society of America, Vol.65 No.2, pp.307-321. 

  26. Youd, T. L. and Idriss, I. M. (2001), "Liquefaction Resistance of Soils: Summary Report from the 1996 NCEER and 1998 NCEER/NSF Workshops on Evaluation of Liquefaction Resistance of Soils", Journal of geotechnical and geo-environmental engineering, Vol.127, No.4, pp.297-313.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