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유아교사의 음악에 대한 태도와 감성리더십이 음악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Early Childhood Teachers' Music Attitude and Emotional Leadership on Music Teaching Efficacy 원문보기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Korean Journal of Childcare and Education, v.15 no.2, 2019년, pp.125 - 144  

이미숙 (혜전대학교 유아교육과) ,  조성연 (호서대학교 사회과학대학 유아교육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music attitude and emotional leadership on their music teaching efficacy in the music education. Methods: 301 early childhood teachers answered the music attitude scale, music teaching efficacy belief instru...

주제어

표/그림 (6)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를 위해서는 무엇보다 유아교사들이 다양한 음악교육 연수에 보다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음악과 관련하여 지속적으로 다양한 경험을 해보는 것도 필요하다는 점을 시사해준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직전 교육의 음악교육 시 예비유아교사들에게 음악 감상하기, 악기 다루기, 노래 부르기, 합주하기, 음악극 등의 다양한 장르에서의 음악교육 활동을 경험해보게 하고, 이를 통해 다양한 음악교수방법 및 교사-유아 간 상호작용방법을 획득할 수 있는 폭넓은 기회를 제공해주어야 한다는 점을 시사해준다.
  • 두 차원 중 감정적 차원이 인지적 차원보다 더 지속적이고 중심적이다. 그리하여 본 연구에서는 유아교사의 음악에 대한 태도를 인지적 차원과 감정적 차원으로 대별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유아교사의 음악에 대한 태도는 음악교육을 실시할 때 유아 교사 자신이 생각하고 느끼는 것에 대한 태도다.
  • 첫째, 유아교사 대상의 음악교육과 관련한 연구가 풍부하게 진행되고 있지 않은 현 상황에서 유아교사 대상의 음악에 대한 태도, 음악교수효능감 등과 같은 관련 척도가 음악교수효능감과 음악에 대한 태도 등과 관련한 내용을 충분히 담아내는데 어려움이 있다. 둘째, 본 연구에서는 유치원과 어린이집의 구분 없이 유아교사를 대상으로 음악교수 효능감에 대한 연구를 실시하였다. 그러나 유치원과 어린이집은 유아가 기관에 머무는 시간이 달라 음악교육을 실시하는 시간이나 횟수 및 이에 대한 교사의 태도와 방법 등에서 차이가 있을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하지 못하였다.
  • 특히 음악교수효능감은 유아교사가 지니고 있는 음악에 대한 태도가 기본적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또한 음악교수효능감에 미치는 관련 변인들과의 관계를 살펴본 선행연구들에서도 음악에 대한 태도와의 관계는 다수 진행되었기에 일차적으로 음악에 대한 태도를 먼저 투입하여 그 영향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후 유아교사의 감성리더십을 투입함으로써 음악교수효능감에 대한 음악에 대한 태도와 감성리더십의 영향 정도가 얼마나 되는지 탐색해보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음악교수효능감에 대해 음악에 대한 태도와 감성리더십 및 유아교사의 교육경력과 교육수준 및 음악경험이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산출된 결과를 중심으로 논의하면 다음과 같다.
  • 이상의 연구의 필요성과 의의에 따라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음악에 대한 태도와 감성리더십이 유아교사의 음악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 이상의 제한점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유아교사를 대상으로 많이 연구되지 않은 유아음악교육과 관련한 음악교수효능감을 알아보고자 하였으며, 이와 관련하여 교사의 자질로서 감성리더십과 음악에 대한 태도와의 관계를 규명해 보았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이를 통해 본 연구는 음악교육을 활성화시키기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해주었을 뿐만 아니라 직전교육에서 유아교사를 위한 음악에 대한 태도의 함양과 음악교육을 위한 교사연수의 필요성과 다양한 음악교육 연수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다는 점을 시사해주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또한 음악교수효능감에 미치는 관련 변인들과의 관계를 살펴본 선행연구들에서도 음악에 대한 태도와의 관계는 다수 진행되었기에 일차적으로 음악에 대한 태도를 먼저 투입하여 그 영향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후 유아교사의 감성리더십을 투입함으로써 음악교수효능감에 대한 음악에 대한 태도와 감성리더십의 영향 정도가 얼마나 되는지 탐색해보고자 하였다.

가설 설정

  • 첫째, 유아교사의 교육경력과 교육수준 및 음악경험에 따라 음악교수효능감에 차이가 있는가?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음악교수효능감이란? 음악교수효능감은 교사가 음악활동을 전개할 때 이를 수행할 수 있는 능력과 음악활동 전개 시의 어려움을 극복하거나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이다(방은영, 박찬옥, 2005). 또한 음악교수효능 감은 유아교사가 자신이 유아들의 음악적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능력이 있다고 믿는 정도로 서 유아의 음악성 발달을 위한 지식, 교수방법과 상호작용 기술 등을 어느 정도 갖추고 있는지 에 대한 믿음이기도 하다(박진성, 문혁준, 2006).
음악의 기능은? 음악은 인간의 다양한 감정이나 사고를 표현하는 의사소통 기능을 수행한다. 특히 언어능력이  미숙한 유아는 다양한 음악요소를 포함하여 자신의 생각이나 느낌 등을 표현할 수 있으므로 유 아교육이나 보육현장에서의 음악교육은 매우 중요하다.
유아교사의 음악교수효능감 발달을 위해 예비유아교사들에게 필요한 것은? 이를 위해서는 무엇보다 유아교사들이 다양한 음악교육 연수에 보다 적극적으 로 참여하고, 음악과 관련하여 지속적으로 다양한 경험을 해보는 것도 필요하다는 점을 시사해 준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직전 교육의 음악교육 시 예비유아교사들에게 음악 감상하기, 악기 다 루기, 노래 부르기, 합주하기, 음악극 등의 다양한 장르에서의 음악교육 활동을 경험해보게 하 고, 이를 통해 다양한 음악교수방법 및 교사-유아 간 상호작용방법을 획득할 수 있는 폭넓은 기 회를 제공해주어야 한다는 점을 시사해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5)

  1. 고경나 (2008). 유치원 교사의 음악교수 효능감과 음악교육 실제에 관한 연구.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구자영 (2012). 유아교육기관 원장의 감성리더십과 교사효능감과의 관계. 한성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 김광남 (2014). 유아음악교육에서 교수의 감성리더십이 학습몰입 및 태도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연구, 34(5), 167-185. doi:10.18023/kjece.2014.34.5.008 

  4. 김서향 (2005). 음악에 대한 태도척도 개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김영연 (2002). 유아음악교육론. 서울: 학지사. 

  6. 김일영 (2014). 음악과 토의.토론 수업모형 및 지도방안 개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4(4), 455-478. 

  7. 김종훈 (2016). 유아교육기관 교실의 질, 교사의 교수효능감, 교수상호작용이 유아 자기조절력에 미치는 영향.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8. 김지영, 김나림 (2017). 유아교사의 음악교수 효능감과 음악활동 간의 관계. 아동과 권리, 21(1), 61-82. doi:10.21459/kccr.2017.21.1.61 

  9. 권정해 (2014). 유아교사가 지각하는 원장의 감성리더십, 교사효능감, 직무만족, 조직몰입 간의 구조적 관계. 계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0. 박보라 (2017). 보육교사 배경변인에 따른 음악교수내용지식과 음악교수효능감 인식. 신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박보식 (2017). 리더십: 이론과 실제. 서울: 대영문화사. 

  12. 박성호 (2012). 초등학교 담임교사의 감성리더십과 학생의 학교생활만족도의 관계. 경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3. 박윤미 (2017). 유아교사의 음악교수 내용지식 및 음악교수 효능감 수준에 따른 유아의 음악 능력. 원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4. 박주연 (2014). 유아교사의 음악활동에 대한 지식, 인식 및 교수효능감 연구. 동의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5. 박주연, 이민정 (2013). 유아교사의 음악활동에 대한 지식, 인식 및 교수효능감 관계 연구. 유아교육연구, 33(6), 5-20. doi:10.18023/kjece.2013.33.6.001 

  16. 박주연, 이민정 (2015). 유아음악활동에 대한 교사의 지식에 따른 인식과 교수효능감 차이. 유아교육연구, 35(5), 213-227. doi:10.18023/kjece.2015.35.5.010 

  17. 박지현 (2009). 음악적 자기효능감 형성에 있어 음악경험, 교사기대, 부모지지 및 음악환경의 역할 분석. 음악교육공학, 8, 153-167. 

  18. 박진성, 문혁준 (2006). 유아 교사의 음악교수 효능감, 음악교육에 대한 태도, 음악교수의 실제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44(9), 9-19. 

  19. 방은영 (2008). 유아 음악성 계발을 위한 프로그램 구성 및 적용 효과.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 방은영, 박찬옥 (2005). 유치원교사의 음악교수 효능감에 관한 탐색. 유아교육학논집, 9(4), 5-30. 

  21. 백지혜 (2010). 예비유아교사의 음악교수불안 정도에 따른 음악적 태도 및 교수 학습능력 고찰. 열린유아교육연구, 15(2), 149-173. 

  22. 서영미 (2015). 유아교사의 음악활동에 대한 인식이 음악활동 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동의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3. 승윤희 (2015). 학습동기이론에 기반한 음악 수업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5(7), 357-382. 

  24. 신금호 (2013). 예비유아교사의 음악교수 불안 및 음악교육에 대한 태도와 음악교수 효능감 간의 관계. 미래유아교육학회지, 20(1), 145-163. 

  25. 신동한 (2009). 학교장의 감성리더십과 학교조직문화와 학교조직효과성의 관계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6. 양지애, 이영애 (2011). 유치원 교육활동 지도서의 음악관련 활동 분석: 음악적 개념, 행동, 태도를 중심으로. 유아교육연구, 31(1), 203-226. doi:10.18023/kjece.2011.31.1.010 

  27. 유미준 (2007). 유아교사의 음악교수효능감에 관한 연구. 신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8. 유정희 (2013). 유치원교사의 음악교수효능감과 유아의 음악적 성향의 관계. 안양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9. 윤관기 (2016). 초등예비교사의 음악 선(先) 경험과 음악교과 자기효능감과의 상관관계 연구. 음악교육연구, 45(4), 115-136. 

  30. 윤인애, 김지영, 주형철 (2013). 교양댄스수업에서의 학생들이 지각한 교수의 감성지능,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 신뢰 및 참여지속의사의 관계. 한국체육학회지, 52(4), 293-305. 

  31. 이민정 (2002). 음악활동에 대한 교사의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에 관한 연구. 미래유아교육학회지, 9(2), 159-187. 

  32. 이수원, 장현갑, 안신호, 이만영, 김경린, 정찬섭 등 (1996). 심리학: 인간의 이해. 서울: 정민사. 

  33. 이신철 (2004). 감성지능과 성과의 관계 연구: 리더(Leader)를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경영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4. 이영석, 이경민, 한석실 (2001). 유아교사 효능감 개념 및 관련 변인 고찰. 미래유아교육학회지, 8(2), 181-203. 

  35. 이혜정 (2009). 음악회를 활용한 음악에 대한 태도 변화 연구: 수업 중 초등학교 학생들의 작은 음악회를 활용하여.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6. 이희진 (2010). 유치원 교사의 음악교수 효능감과 음악활동 실제: 경력, 학력 및 연수 경험을 중심으로. 가톨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7. 장은주 (2007). 현직교사를 위한 유아음악교육 프로그램 모형 개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8. 장현수, 김수영 (2014). 유아체육교사의 체육교수효능감과 수업지식의 관계. 어린이문학교육연구, 15(1), 379-395. 

  39. 전혜원 (2016). 중등 음악교사의 음악교육 경험에 대한 고찰.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0. 정미경 (2016). 예비유아교사의 음악활동에 관한 교수효능감 연구. 동의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1. 최석기 (2010). 교장의 감성리더십과 학교 조직문화 및 교사 효능감의 간의 관계. 동아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2. 황인주, 김은정 (2015). 교사의 반성적 사고 수준과 음악교육에 대한 지식, 음악교육에 대한 태도 및 음악교수효능감 간의 관계. 유아교육학논집, 19(6), 177-197. 

  43. de l'Etoile, S. K. (2001). An in-service training program in music for child-care personal working with infants and toddlers. Journal of Research in Music Education, 49(1), 6-20. 

  44. de Vries, P. (2017). Self-efficacy and music teaching: Five narratives. International Journal of Education & the Arts, 18(4), 1-23. 

  45. Dulewicz, V., & Higgs, M. (2000). Emotional intelligence: A review and evaluation study. Journal of Managerial Psychology, 15(4), 341-372. doi:10.1108/02683940010330993 

  46. Fleishman, E. A., & Hunt, J. G. (1973). Twenty years of consideration and structure (pp. 13-26). Current Developments in the Study of Leadership: A Centennial Event Symposium held at Southern Illinois University at Carbondale, IL. 

  47. Gibson, S., & Dembo, M. H. (1984). Teacher efficacy: A construct validation.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76(4), 569-582. doi:10.1037/0022-0663.76.4.569 

  48. Gilovich, T., Keltner, D., Chen, S., & Nisbett, R. E. (2013). Social psychology (3rd ed.). New York: W. W. Norton & Company. 

  49. Goleman, D., Boyatzis, R., & McKee, A. (2002). Primal leadership: Realizing the power of emotional intelligence. Boston: Harvard Business School Press. 

  50. Lowe, G. M., Limmis, G. W., & Morris, J. (2017). Pre-service primary teachers' experiences and self-efficacy to teach music: Are they ready? Issues in Educational Research, 27(2), 314-329. 

  51. Mayer, J. D., & Salovey, P. (1995). Emotional intelligence and the construction and regulation of feelings. Applied and Preventive Psychology, 4(3), 197-208. doi:10.1016/S0962-1849(05)80058-7 

  52. Murphy, M. K., & Browa, T. S. (1986). A comparison of preferences for instructional objectives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Journal of Research in Music Education, 34(2), 134-139. doi:10.2307/3344741 

  53. Power, K. M. (1990). A cross-cultural study of mothers' and teachers' attitudes toward music education in USA and Japan.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Hawaii, Honolulu, HI. 

  54. Ruestow, J. A. (2008). The effect of a leader's emotional intelligence on follower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n exploratory mixed methodology study of emotional intelligence in public human service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Capella University, Minneapolis, MN. 

  55. Sehriban, K. (2013). An investigation of music teaching self-efficacy levels of prospective preschool teachers. Educational Research and Reviews, 8(12), 897-900.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