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베이지안 네트워크 및 의사결정 모형을 이용한 위성 강수자료 기반 기상학적 가뭄 전망
Meteorological drought outlook with satellite precipitation data using Bayesian networks and decision-making model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v.52 no.4, 2019년, pp.279 - 289  

신지예 (한양대학교 공학대학 건설환경공학과) ,  김지은 (한양대학교 대학원 건설환경시스템공학과) ,  이주헌 (중부대학교 건축토목공학부) ,  김태웅 (한양대학교 공학대학 건설환경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가뭄재해는 다른 재해와 다르게 광범위한 공간에 걸쳐서 충분한 강우가 발생하기 전까지 오랜 기간 동안 발생되는 특성이 있다. 위성 영상은 시공간적으로 지속적인 강수량 관측을 제공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위성 영상 기반의 강수자료를 활용하여 기상학적 가뭄 전망 모형을 개발하였다. PERSIANN_CDR, TRMM 3B42와 GPM IMERG 영상을 활용하여 강수 자료를 구축한 뒤, 표준강수지수(SPI)를 기반으로 기상학적 가뭄을 정의하였다. 과거의 가뭄 정보와 물리적 예측 모형 기반의 가뭄 예측 결과를 결합할 수 있는 베이지안 네트워크 기반 가뭄 예측 기법을 이용하여 확률론적 가뭄 예측 결과를 생산하였으며, 가뭄 예측결과를 가뭄 전망 의사결정 모형에 적용하여 가뭄 전망 결과를 도출하였다. 가뭄 전망 정보는 가뭄 발생, 지속, 종결, 가뭄 없음의 4단계로 구분하였다. 본 연구의 가뭄 전망 결과는 ROC 분석을 통하여 물리적 예측 모형인 다중모형 앙상블(MME)을 활용한 가뭄 전망 결과와 전망 성능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2~3개월 가뭄 전망에 대한 가뭄 발생 및 지속의 단계에서는 MME 모형보다 높은 전망성능을 보여주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Unlike other natural disasters, drought is a reoccurring and region-wide phenomenon after being triggered by a prolonged precipitation deficiency. Considering that remote sensing products provide consistent temporal and spatial measurements of precipitation, this study developed a remote sensing dat...

주제어

표/그림 (11)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베이지안 네트워크 기반 확률론적 기상학적 가뭄 예측 모형은 과거의 경험적 정보와 물리적 기후 예측 모형의 결과를 결합한 것이다. 가뭄 예측에는 과거에 발생하였던 가뭄 정보와 역학적 모형 기반의 가뭄 예측 결과가 영향을 미치며, 여기에 현재의 가뭄 상태를 추가적으로 고려함으로써 가뭄 예측의 신뢰성을 높이고자 하였다. 해당 관계를 바탕으로 베이지안 네트워크 가뭄 예측 모형을 Fig.
  • 기존의 가뭄지수 중심의 가뭄 예측 모형과 다르게 본 연구는 미래의 가뭄 예측 정보를 수요자 중심 표현 방법인 전망 정보로 제시하기 위한 새로운 방법을 시도하였다. 가뭄 전망을 위해서는 가뭄 예측이 선행되어야 하므로, 가뭄 예측의 불확실성을 고려한 베이지안 네트워크 모형을 활용하여 확률론적 가뭄 예측 모형을 개발하였다.
  • , 2016).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강수 영상 자료를 최대한 확보하기 위하여 3종류의 강수 자료(PERSIANN_CDR, TRMM 3B42, GPM IMERG)를 결합하여 1983년부터 2017년도까지의 약 35년 기간의 월 강수 자료를 생산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SPI를 산정하였다. 기상레이더를 탑재한 TRMM 위성이 발사되기 전에 생산된 정지궤도 위성자료 기반의 강수자료동화 자료인 PERSIANN_CDR를 활용하여 1983년부터의 자료도 확보하였다.
  • 본 연구는 가뭄 전망 결과에 대한 ROC 분석을 실시하여 모형의 성능을 검증하였다. 가뭄 예측을 수행한 대부분의 연구에서는 가뭄의 발생유무만을 활용하여 2 × 2 오차행렬(confusion matrix)로 가뭄 예측모형에 대한 검증을 수행하였다(Son et al.
  • 본 연구에서는 베이지안 네트워크 모형으로 확률론적 기상학적 가뭄 예측 결과 생산하였다. 베이지안 네트워크는 베이즈 정리와 그래프 이론을 결합한 확률모형으로, 노드(node)와 호(arc)로 구성된다.
  • 하지만, 위성 영상은 시공간적으로 다양한 수문기상 및 생태계 현황을 고려할 수 있어, 이를 활용할 수만 있다면 가뭄 예측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위성 영상 기반의 강수자료를 활용하여 기상학적 가뭄의 예측 및 전망을 수행하였다.
  • 예측은 미래 시점에서의 특정 수치를 제시하는 것을 목표로 하나, 전망은 미래의 정보를 일정 기준에 대해서 높고 낮음을 제시하는 것으로, 예측보다 장기간의 미래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미국 CPC에서는 미국 전역에 대한 1개월, 계절 가뭄 전망을 수행하고 있으며, 현재의 가뭄 상태를기준으로 미래의 가뭄 상황을 4단계(가뭄지속, 가뭄이 남아있으나 약해짐, 가뭄이 소멸될 예정, 가뭄이 발생될 예정)로 나누어 전망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 일반적으로 위성 영상은 각각의 격자를 바탕으로 분석이 수행되나, 본 연구에서는 가뭄 관리자들이 가뭄전망 결과를 활용할 수 있도록 우리나라를 116개 중권역 단위로 나누어 분석을 수행하였다. MME 예측 자료의 경우에는 우리나라의 경우 공간적 규모가 작기 때문에 가뭄 예측에 활용하기 위해서는 격자 공간 범위의 예측 결과를 다운스케일링 기법을 통하여 변환해야 한다(Sohn et al.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베이지안 네트워크이란 무엇인가?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가뭄 예측 기법 중에서도 베이지안 네트워크(Bayesian networks)를 활용하여 가뭄 예측을 수행하였다. 베이지안 네트워크는 조건부 확률모형을 활용하여 변수들 사이의 인과관계와 불확실성을 정량적으로 나타낼 수 있는 모형으로 최근 다양한 연구자들이 가뭄 분석 및 예측에 적용하고 있다. Madadgar and Moradkhani (2014)은 Precipitation Runoff Modeling System (PRMS) 기반의 유출량 자료로 Standardized Runoff Index (SRI)를 산정하고 베이지안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수문학적 가뭄의 예측을 수행하였다.
가뭄 예측 중 불확실성을 내포한 기법의 한계점은 무엇인가? 아직까지 위성 영상은 지점자료보다 높은 불확실성을 내포하고 있어 확률론적 예측이 수행되어야 한다. 불확실성을 포함한 가뭄 예측으로는 앙상블(ensemble) 기법이 널리 활용되고 있으나, 정상성(stationarity)이라는 가정 아래 과거의 정보만을 이용하여 예측결과를 생산한다는 한계를 지니고 있다(Milly et al., 2008; Pathiraja et al.
가뭄의 발생원인은 무엇인가? 가뭄은 강수의 부족이 주요 원인이지만, 강수, 토양 수분, 대기온도, 증발산 등 다양한 수문기상학적 인자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발생된다. 가뭄은 홍수와 다르게 진행속도가 느리기 때문에 초기에 가뭄의 발생가능성 및 지속가능성을 예측한다면 그로 인한 피해를 크게 줄일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AghaKouchak, A., Farahmand, A., Melton, F. S., Teixeira, J., Anderson, M. C., Wardlow, B. D., and Hain, C. R. (2015). "Remote sensing of drought: progress, challenges and opportunities." Reviews of Geophysics, Vol. 53, No. 2, pp. 452-480. 

  2. Aviles, A., Celleri, R., Solera, A., and Paredes, J. (2016). "Probabilistic forecasting of drought events using markov chain-and bayesian network-based models: a case study of an andean regulated river basin." Water, Vol. 8, No. 2, pp. 1-37. 

  3. De Jesus, A., Brena-Naranjo, J. A., Pedrozo-Acuna, A., and Yamanaka, V. H. A. (2016). "The use of TRMM 3B42 product for drought monitoring in Mexico." Water, Vol. 8, No. 8, pp. 325. 

  4. De Linage, C., Famiglietti, J. S., and Randerson, J. T. (2014). "Statistical prediction of terrestrial water storage changes in the Amazon Basin using tropical Pacific and North Atlantic sea surface temperature anomalies." Hydrology and Earth System Sciences, Vol. 18, No. 6, pp. 2089-2102. 

  5. Hao, Z., Singh, V. P., and Xia, Y. (2018). "Seasonal drought prediction: advances, challenges, and future prospects." Reviews of Geophysics, Vol. 56, No. 1, pp. 108-141. 

  6. Jang, S., Rhee, J., Yoon, S., Lee, T., and Park, K. (2017). "Evaluation of GPM IMERG applicability using SPI based satellite precipita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 Vol. 59, No. 3, pp. 29-39. 

  7. Jang, S., Yoon, S., Lee, S., Lee, T., and Park, K. (2018). "Evaluation of drought monitoring using satellite precipitation for un-gaged basin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 Vol. 60, No. 2, pp. 55-63. 

  8. Jeong, M.-S., Kim, J.-S., Jang, H.-W., and Lee, J.-H. (2016). "ROC evaluation for MLP ANN drought forecasting model." Journal of Korea Water Association, Vol. 49, No. 10, pp. 877-885. 

  9. Kim, T. W., and Valdes, J. B. (2003). "Nonlinear model for drought forecasting based on a conjunction of wavelet transforms and neural networks." Journal of Hydrologic Engineering, Vol. 8, No. 6, pp. 319-328. 

  10. Lee, J. H., Jeong, S. M., Kim, J. H., and Ko, Y. S. (2006). "Development of drought monitoring system: II. Quantitative drought monitoring and drought outlook methodology."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Vol. 39, No. 9, pp. 801-812. 

  11. Liu, W., and Juarez, R. N. (2001). "ENSO drought onset prediction in northeast Brazil using NDVI." International Journal of Remote Sensing, Vol. 22, No. 17, pp. 3483-3501. 

  12. Lui, Z., Lu, G., He, H., Wu, Z., and He, J. (2018). "A conceptual prediction model for seasonal drought processes using atmospheric and oceanic standardized anomalies: application to regional drought processes in China." Hydrology and Earth System Sciences, Vol. 22, No. 1, pp. 529-546. 

  13. Madadgar, S., AghaKouchak, A., Shukla, S., Wood, A. W., Cheng, L., Hsu, K. L., and Svoboda, M. (2016). "A hybrid statistical dynamical framework for meteorological drought prediction: application to the southwestern United States." Water Resources Research, Vol. 52, No. 7, pp. 5095-5110. 

  14. Madadgar, S., and Moradkhani, H. (2014). "Spatio-temporal drought forecasting within Bayesian networks." Journal of Hydrology, Vol. 512, pp. 134-146. 

  15. Milly, P. C. D., Betancourt, J., Falkenmark, M., Hirsch, R. M., Kundzewicz, Z. W., Lettenmaier, D. P., and Stouffer, R. J. (2008). "Stationarity is dead: whither water management?" Science, Vol. 319, No. 5863, pp. 573-574. 

  16. Mishra, A. K., and Desai, V. R. (2005). "Drought forecasting using stochastic models." Stochastic Environmental Research and Risk Assessment, Vol. 19, No. 5, pp. 326-339. 

  17. Mishra, A. K., and Singh, V. P. (2011). "Drought modeling: a review." Journal of Hydrology, Vol. 403, No. 1-2, pp. 157-175. 

  18. Mishra, A., Desai, V., and Singh, V. (2007). "Drought forecasting using a hybrid stochastic and neural network model." Journal of Hydrologic Engineering, Vol. 12, No. 6, pp. 626-638. 

  19. Morid, S., Smakhtin, V., and Bagherzadeh, K. (2007). "Drought forecasting using artificial neural networks and time series of drought indices." International Journal of Climatology, Vol. 27, No. 15, pp. 2103-2111. 

  20. Mwangi, E., Wetterhall, F., Dutra, E., Di Giuseppe, F., and Pappenberger, F. (2014). "Forecasting droughts in East Africa." Hydrology and Earth System Sciences, Vol. 18, No. 2, pp. 611-620. 

  21. Nam, W.-H., Tadesse, T., Wardlow, B. D., Jang, M.-W., and Hong, S.-Y. (2015). "Satellite-based hybrid drought assessment using vegetation drought response index in South Korea (VegDRISKore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Vol. 57, No. 4, pp. 1-9. 

  22. Pathiraja, S., Marshall, L., Sharma, A., and Moradkhani, H. (2016). "Detecting non-stationary hydrologic model parameters in a paired catchment system using data assimilation." Advances in Water Resources, Vol. 94, pp. 103-119. 

  23. Rhee, J., Im, J., and Kim, J. (2014). "Hydrological drought assessment and monitoring based on remote sensing for ungauged area."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Vol. 30, No. 4, pp. 525-536. 

  24. Russell, S. and Norvig, P. (1995). Artificial intelligence: a modern approach. Englewood Cliff, Prentice Hall. 

  25. Shin, J. Y., Ajmal, M., Yoo, J., and Kim, T.-W. (2016). "A Bayesian network-based probabilistic framework for drought forecasting and outlook." Advances in Meteorology, Vol. 2016, No. 9472605, pp. 1-10. 

  26. Shin, J. Y., Kwon, H.-H., Lee, J.-H., and Kim, T.-W. (2017). "Bayesian networks-based probabilistic forecasting of hydrological drought considering drought propagation."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Vol. 50, No. 11, pp. 769-779. 

  27. Sohn, S. J., Ahn, J. B., and Tam, C. Y. (2013a). "Six month-lead downscaling prediction of winter to spring drought in South Korea based on a multimodel ensemble." Geophysical Research Letters, Vol. 40, No. 3, pp. 579-583. 

  28. Sohn, S. J., Min, Y. M., Lee, J. Y., Tam, C. Y., Kang, I. S., Wang, B., Ahn, J. B., and Yamagata, T. (2012). "Assessment of the long-lead probabilistic prediction for the Asian summer monsoon precipitation (1983-2011) based on the APCC multimodel system and a statistical model."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Vol. 117, No. D4, pp. 1-12. 

  29. Sohn, S. J., Tam, C. Y., and Ahn, J. B. (2013b). "Development of a multimodel-based seasonal prediction system for extreme droughts and floods: a case study for South Korea." International Journal of Climatology, Vol. 33, No. 4, pp. 793-805. 

  30. Son, K.-H., Bae, D.-H., and Cheong, H.-S. (2015). "Construction & evaluation of GloSea5-based hydrological drought outlook system." Atmosphere, Vol. 25, No. 2, pp. 271-281. 

  31. Tadesse, T., Demisse, G. B., Zaitchik, B., and Dinku, T. (2014). "Satellite-based hybrid drought monitoring tool for prediction of vegetation condition in eastern Africa: a case study for Ethiopia." Water Resources Research, Vol. 50, No. 3, pp. 2176-2190. 

  32. Yan, H., Moradkhani, H., and Zarekarizi, M. (2017). "A probabilistic drought forecasting framework: a combined dynamical and statistical approach." Journal of Hydrology, Vol. 548, pp. 291-304. 

  33. Yoon, J. H., Mo, K., and Wood, E. F. (2012). "Dynamic-modelbased seasonal prediction of meteorological drought over the contiguous United States." Journal of Hydrometeorology, Vol. 13, No. 2, pp. 463-482.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